검색결과 필터

[전체] “소경” 에 대한 검색결과 2,93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05)

사전(66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정ㆍ종4품 관직. [내용] 봉상시(奉常寺)ㆍ종정시(宗正寺)ㆍ대복시(大僕寺)ㆍ예빈성(禮賓省)ㆍ사농시(司農寺)ㆍ사재시(司宰寺)ㆍ위위시(衛尉寺)ㆍ대부시(大府寺) 등에 속한 경(卿) 다음의 벼슬이다. 대부분 1인으로 종4품직이었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초기의 종4품 문관직. [내용] 고려시대의 태상시(太常寺)‧전중성(殿中省)‧위위시(衛寺)‧태복시(太僕寺)‧예빈시(禮賓寺)‧대부시(大府寺) 등에 둔 것을 1392년(태조 1) 7월 조선 관제제정 때 봉상시‧전중시‧사복시(司僕寺)‧내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문관직. [내용] 1894년(고종 31) 갑오경장의 신관제에 따라 장례원(掌禮院)과 태의원(太醫院)에 두었던 관직이다. 장례원 은 칙임관(勅任官)으로 임명하였고, 태의원 은 주임관(奏任官)이었으나 비서승(...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동경에 사는 처사로,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고향에 내려와 지낸다. 유요란의 시비 옥낭이 찾아와 양식을 빌자 주인을 데려 오라고 한다. 요란에게 자신의 집에서머물다가 금주로 가는 사람이 있으면 함께 길을 떠나라고 한다. 낙안으로 유배를 가던 이현이 찾아와 쉬기를 청하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좌승상이다. 최윤성이 황제와 국사를 의논하자 시기하여 최한림을 모해하여 유배를 보낸다. 서달이 난을 일으켜 정국이 혼란할 때, 양철명, 황순과 함께 최현이 난을 일으킬 것이라 이간질하지만, 황제는 현이 돌아오도록 기다렸다가 현에게 직접 응징하라고 한다. 황제가 서달의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1,858)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권 흑룡강성(黑龙江省) 목단강시(牡丹江市) 밀산현(密山县) 연주산공사 홍광학교 4 4 , 초불권적, 랑비, 불가...
    대표표제어소경 | 성씨
  • 歐蘇手簡 第二卷 與薛公期 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25 與薛公期 某頓首再啓東園一別自夏涉秋今倏冬矣溯汴絕淮泛大江凡五千裏一百一十程纔至荊南見家兄言出京時有公期書渴得一見要知別後事然數日尋之不見遂已某自南行所幸老幼皆無病恙風波不甚惡凡舟行人所懼處皆坦然而過今至此向夷陵江水極善亦不...
    서명歐蘇手簡 | 저자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원등록(園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예조에서 원(園)에 관한 제향, 봉심(奉審) 규례, 포폄 규식, 제기고 물건, 각종 공문 양식 등을 기록해 놓은 등록이다. 원은 인조의 장자인 소현세자(1612~1645)가 묻힌 곳이다. 소현세자는 1612년 1월에 태어나 1625년 세자로 책봉되었다. 1...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29~1867년 별보임안(別補任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교육/문화-서원/향교-재임안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현소장처거창 거창향교
  • 1735~1811년 별보임록(別補任錄)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교육/문화-서원/향교-재임안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현소장처거창 거창향교

구술자료(23)

  • 과 아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설화 50]을 이야기하고 있는 신호철 할머니댁에 우연히 제보자가 들렀다. 그래서 이야기를 청했더니, 순순히 응해 주었다. 이야기하기를 꽤 좋아하시는 분인것 같았다. *
    조사일시1981-01-23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무안면 | 제보자지흥우
  • 영험한 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저녁에 조사자의 숙소인 강재성씨 댁 사랑방에 노래와 이야기를 잘 한다는 노부인 5명과 남자 2명을 모셨다. 툇마루에 구경꾼도 대여섯 명 있었다. 술과 과자를 대접하고 있는데, 이 마을의 이장인 제보자가 술에 만취되어 와서 내 이야기 좀 하자면서 자청하여 구술하였다...
    조사일시1980-08-06 | 조사장소경상남도 진양군 명석면 | 제보자구상회
  • 점장이와 술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2-01-18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 제보자김채란
  • 의 지혜에 속은 처첩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는 [설화 22]에 이어서 ‘친구 사이의 우애에 관한 설화’를 구술했으나 줄거리의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었다. 그러나 제보자의 구술능력 즉 입담 때문에 흥미있게 들었다. 앞 설화가 끝나자 제보자가 웃으면서 이 설화를 꺼내니까 청중은 몇 번 들은 것인 듯 미리 웃...
    조사일시1982-01-18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 제보자김채란
  • 신통한 점장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 설화를 마치고 조사자가 과자를 먹으라고 권하니 조금 먹다가 “내 또 봉사 이바구 하나 한다.”고 하면서 시작했다.*
    조사일시1982-01-18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 제보자김채란

기초학문(15)

  • 沈從文의 ≪月下≫과 ≪法苑珠林≫ 비교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경구, 게재일 : 2013
    51673 강경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중국학회 2013 沈從文의 ≪月下≫과 ≪法苑珠林≫ 비교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新羅 中代 地方統治體制와 의 機能_preprint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윤선태
    03221 윤선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新羅 中代 地方統治體制와 의 機能_preprint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a1635
    유형논문
  • 염화 에텐류 화합물의 환원성 탈염소화 과정에서 전자수용체간 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50473 한국연구재단 인하대학교 염화 에텐류 화합물의 환원성 탈염소화 과정에서 전자수용체간 수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
    유형논문
  • 섬 지역 고령자의 장험과 의미: Aging in place는 가능한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우국희, 게재일 : 2017
    59951 우국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2017 섬 지역 고령자의 장험과 의미: Aging in place는 가능한가? https://www.krm.or.kr/
    유형논문 | 게재일2017
  • 미국 지역대학 스포츠공간에서의 장험, 장소이미지, 장소성, 지역공동체 간의 가설적 인과모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혁기, 게재일 : 2011
    44629 이혁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체육학회 2011 미국 지역대학 스포츠공간에서의 장험, 장소이미지, 장소성, 지역공동체 간의 가설적 인과모형 https://www.krm.or.kr/krmts/search
    유형논문 | 게재일2011

신문·잡지(274)

  • 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하오 삼시에 쥬뎐원에셔 칙교를 봉승야 경무쳥으로 뎐화고 경무를 명쵸옵시 쇼명을 젼지라 맛참 경무 김묵씨 훈련원학교 운동쟝에젼왕얏다가 소명이 계심을듯고 즉시입궐 폐현얏 황상폐하계옵셔 권군대 건에 피슈 학부협판 민형식씨의 건이 엇지 된것과...
    게재일1907년 5월 4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황성신문 商告 1909년 1월9일 기타 기타 상업회의소에서 본 희의소 요강, 사업, 회원자격 등에 대해 각 상공가에 발포한...
    대표표제어商所警告 | 연월일1909년 1월9일 | 지역기타
  • 叅政의景况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신임 참졍 리완용씨 삼작일에 직소를 봉뎡고 집에셔비지를 기다리 당일하오구시경에 대에셔 뎐화로 셰번이나 입시기를 쵹압시 동씨 엇지된 하회들 아지못고 급히예궐야 비로소 참졍을 피임쥴알고 그 당셕에셔 졍부를 죠직라신 칙교를 봉승야 급급히 각대신을...
    게재일1907년 5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商業支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쥬군 실업가에셔 상업을 발달기 위야 군에 상업지회소를 셜립기로 경영즁 이라더라
    게재일1907년 9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부하 젼고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근년이로 각군슈령을 부대신이 긔 의결로 긔집식구가 안이면 뢰물쥬쟈 인용의 뎨일 근본으로알더니 작년이로 젼고소라고 셜시고 슈령 구 쟈의 리력셔밧아셔 가부 뎡론야 원을기로 다 사마다 젼고소가 시된이후로 필경 학식이 도뎌고 디방졍...
    게재일1907년 3월 15일 | 기사분류논설

기타자료(69)

  • 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0077 남한 경북 대구농업학교 2-15 졸업대장(1회~33회) n.r. 36면 득;得 경북 칠곡군 동명면 봉암동 339 제12회 4257년 3월 22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윤묘숙;尹卯淑;평자;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6627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慶雲 1942―12―03 77면 (학과)본과신제도 윤묘숙;尹卯淑;평자;平子 경성부 관철정 117 19회 1941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윤경은;尹敬殷;평은;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4365 남한 전북 전주농업학교 2-42 회원씨명부 1942―12―10 28면 윤경은;尹敬殷;평은;平殷 제8회 1919년
    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윤경호;尹景浩;평호;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7548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회원명부 1943―09 78면 윤경호;尹景浩;평호;平浩 함북 경성군 주북면 용중리 제36회 1942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당이 신라에 최릉을 조제책립사로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당→신라 【번역】 7월 경오일(14)에 신라 질자 시위위(試衛尉)·사자금어대(賜紫金魚袋) 김면(金沔)을 시광록(試光祿) 충조제책립부사(充弔祭冊立副使)로 삼아 최릉(崔稜)을 따라 신라로 가게 하였다. (󰡔冊府元龜󰡕 976 外臣部 21 褒異 3) 【원...
    대표표제어당이 신라에 최릉을 조제책립사로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12년(壬辰/신라 헌덕왕 4/발해 定王 永德 4, 僖王 朱雀 1/唐 元和 7/日本 弘仁 3)

주제어사전(30)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의 종4품 문관직. 고려시대의 태상시·전중성·위위시·태복시·예빈시·대부시 등에 둔 것을 1392년(태조 1) 7월 조선 관제제정 때 봉상시·전중시·사복시·내부시·예빈시 등에 그대로 두었다. 1414년(태종 14) 관제경정 때 소윤으로 개칭하였다가, 1466년

  • 도 /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여수시 경호동에 있는 섬. 동경 127°42′, 북위 34°42′에 위치하며, 여수항에서 남쪽으로 약 1㎞ 지점에 있다. 동쪽에 대경도가 있다. 면적은 0.42㎢이고, 해안선 길이는 3.5㎞이다.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178명(남 98명, 여 80명)이

  • 무 / [예술·체육/무용]

    신라 신문왕 9년(689) 왕이 신촌(新村)에서 잔치를 베풀었을 때 춘 7가지 춤 중의 하나. 감(監) 2인, 금척(琴尺) 1인, 무척(舞尺) 1인, 가척(歌尺) 3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춤의 형태는 알 길이 없다. ()은 국원(國原)을 일컫는 것이므로, 문무

  • 긍기 / 改矜記 [경제·산업/산업]

    부내면(府內面)·부남면(府南面) 등을 통폐합하면서 새로 생긴 면 이름이기 때문이다. 또, 작성양식이 옛날의 토지대장인 양안(量案)보다 발전되었고 노비에 대한 개작자가 뚜렷이 나타나는 것 등으로 미루어보아 1902년인 임인년으로 믿어지기 때문이다. 제1책은 군내면,

  • 자탄가 / [문학/고전시가]

    1931년박제원(朴齊元)이 지은 천주가사. 총 156구로 4·4조의 연속체이다. 당시 박제원은 이미 이 되어 있었고, 병을 앓고 있어서 필기를 할 수 없었다. 벽에 기대어 구술한 것을 제자 김익배와 강한태가 받아썼다. 붓글씨로 쓴 필사본과 화산 천주교회에서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