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소격서” 에 대한 검색결과 17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2)

사전(126)

  • 상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에 소속된 종8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의 초제(醮祭) 책임자로서 도교의 도사(道士)출신 가운데서 임명하였다. 지도(志道) 1인과 함께 잡직(雜職)에 편성되어 있었으나, 그들의 품계는 마의(馬醫)...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하였다. 태종은 재초에 관심이 컸고, 당시 소격전의 제조(提調)를 지낸 김첨(金瞻)과 공부(孔俯)가 도교 재초에 조예가 깊고 열성이 있어 소격전은 비교적 활발하게 운영되었다. ≪증보문헌비고≫에 따르면, 에는 삼청전(三淸殿)이 있어 삼청 성신(星辰)의 초제...
    이칭별칭소격전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도교의 재초(齋醮)를 거행하기 위하여 설치한 관청.
    정의조선시대 도교의 재초(齋醮)를 거행하기 위하여 설치한 관청.[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Sogyeokseo | MR표기Sogyŏks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E2_D_0209 관직 終夜, 論啓, 臺諫, 玉堂, 僚員, 政院, 承旨, 蒙允, 依案, 熟睡, 厭苦, 己卯禍, 復立 正德戊寅 趙靜庵光祖 摭言 D_10_02_20 대동운부군옥 10권 2장 20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2장 2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전기 ()에 소속된 종9품 잡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도류(道類 : 도사로 불리는 도교승려 수행자) 출신의 전문직으로서 삼청전(三淸殿)‧태일전(太一殿) 등에서 초제(醮祭)를 담당하였다. 에는 15인의

고서·고문서(35)

  • 31591 B031591 금성산 錦城山 산악 中宗實錄 十一年(1516) 六月 중종실록_11106003_002 , 自有法司, 可以檢擧。 則至於設官, 自祖宗朝不廢。” 安老曰: “所謂淫祀, 如外方城隍堂之類也。 有時城隍神下降云, 則一道塡咽奔波, 安有如此無理之事乎? ...
    출처전거中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跋十世遺墨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Link?DCI=ITKC_MP_0597A_0140_020_0050_2014_003_XML 003 右《十世遺墨》一卷,余族祖父【卽六寸大父】遁翁之所蒐集也。丁氏之顯,自令以後,連八世蟬聯不絶,自吾高祖始不顯,而遁翁自其禰泝而至令,適十世也。於是求其手墨,求之四方,積十餘年...
    권차명文集 卷十四 | 문체序跋類|題跋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6813 B016813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明宗實錄 九年(1554) 七月 명종실록_10907018_001 ○丙辰 / 傳曰: “近者東風連日吹之, 日氣太曝, 昨與今日, 天有雲氣, 故意其驟雨, 而專無下雨之徵。 旱氣至此, 前日及摩利山塹城, 醮、【摩利山塹城, 在江華府...
    출처전거明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永寧殿、社稷、、三角山、木覓山、白岳、漢江及京畿、五冠山、紺岳山、楊津、德津等處書啓曰: “此皆壬午年大妃未寧時, 依成宗朝例, 遣官祈禱處也。” 傳曰: “依壬午年例, 遣官祭之。”
    출처전거中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9605 B049605 덕진 德津 군사교통 成宗實錄 二十五年(1494) 十二月 성종실록_12512023_004 ○以吏曹判書李克墩爲社稷祈禱行香使, 左贊成韓致亨宗廟行香使, 右參贊尹孝孫行香使, 奉常正金永貞白岳、三角山行香使, 宗簿正李仁亨木覔山行香使, 司僕正朴林宗楊州城...
    출처전거成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1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도교의 재초를 거행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의 직제는 ≪경국대전≫에 실려 있는데, 서원(署員) 이외에 도학 생도가 10여 인 있었고, 금단을 낭송시키고 ≪영보경≫을 읽혔으며, 과의는 ≪연생경≫·≪태일경≫·≪옥추경≫·≪진무경 ≫·≪용왕경≫ 가운데

  • 상도 / 尙道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에 소속된 종8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의 초제(醮祭) 책임자로서 도교의 도사(道士)출신 가운데서 임명하였다. 지도(志道) 1인과 함께 잡직에 편성되었다. 는 도교식 초제를 관장하던 기관으로 여기에는 15인의 도류(도교 승)가 소속되어

  • 도류 / 道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에 소속된 관직. 도교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였다. 정원은 15원이다. 잡직으로 4품에서 그만 두며, 근무성적이 좋아 계속 근무하는 자를 위하여 서반 체아직 셋이 배당되었다. 둔갑술을 하는 둔갑도류 8원도 함께 에 소속되었다.

  • 한훈 / 韓訓 [종교·철학/유학]

    ?∼1504(연산군 10). 조선 중기의 문신. 영정 증손, 할아버지는 전, 아버지는 충인, 어머니는 김중엄의 딸이다. 도승지 신수근의 처남이다. 1494년(성종 25) 별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정언, 수찬, 영 등을 역임하였다.

  • 지도 / 志道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전기 에 소속된 종9품 잡직. 정원은 1인이다. 도류(道類) 출신의 전문직으로서 삼청전·태일전 등에서 초제를 담당하였다. 에는 15인의 도류와 8인의 둔갑도류가 소속되어 있었는데, 이들을 위한 정규관직은 지도 1인과 종8품 상도 1인 의 두 자리밖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