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소강진” 에 대한 검색결과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5)

  • 옹진부(瓮津府)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옹진부 옹진부 瓮津府 황해도(黃海道) ()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강석화 [정의] 황해도 서남부에 있으며 북쪽으로 벽성, 동쪽으로 강령, 남쪽으로...
    상위어황해도(黃海道) | 관련어소강진(所江鎭)
  • 진관법(鎭管法)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즉 나주진(羅州鎭)·장흥진(長興鎭)·남원진(南原鎭)·순천진(順天鎭), 수군첨절제사 2원, 즉 사도진(蛇渡鎭)·임치도진(臨淄島鎭) ⑤ 황해도(黃海道): 병마첨절제사 2원, 즉 황주진(黃州鎭)·해주진(海州鎭), 수군첨절제사 1원 () ⑥ 강원도(江原道...
    동의어진관체제(鎭管體制) | 관련어주진(主鎭), 거진(巨鎭), 제진(諸鎭), 자전자수(自戰自守), 대적견수(對敵堅守)
  • 방어영(防禦營)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강(京江)이나 강화 연해로 침입하는 적을 막으면서 해적을 소탕하기 위해 에, 1711년 해적과 외국군의 침략으로부터 충청도 바다를 지키면서 강화도를 지원하기 위해 안흥진 등에 수군 방어영이 설치된 바 있다. 하지만 조선전기 삼포왜란과 을묘왜란 때 방어사가 파...
    상위어병조(兵曹), 순영(巡營) | 관련어방어사(防禦使), 병영중군(兵營中軍), 병영(兵營), 수영(水營)
  • 관방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옹진현(瓮津縣) (), 관량수(館梁戍) 은율현(殷栗縣) 광암량영(廣巖梁營) ...
  • 옹진군(인천광역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도는 고려시대의 유배지로 유명하였다. 1397년(태조 6) 옹진현에 진이 설치되고 병마사로 하여금 현령을 겸임하게 하더니 1423년(세종 5) 첨절제사로 바뀌고, 뒤에 다시 현령으로 복구되었다. 옹진현에는 수군첨절제영인 ()이...

고서·고문서(5)

  • 31795 B031795 기린도 猉獜島 도서 황해남도 大東地誌 권9 황해도 甕津 鎭堡 西四十里舊置水軍僉節制使後兼防禦使設水營後罷鎭爲節度使行營自三月至八月水使出屯行營自九月至二月入守本營○別將一人○館梁戍西八里舊有守禦軍○追捕防所氐作浦 磨蛤浦 葛蛤浦右三處有追捕武士○魚化島 猉...
    출처전거大東地誌 | 지역분류황해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3900 B023900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肅宗 20年 6月 8日_016 ○又以義禁府言啓曰, 再昨日因臺啓, 疊配罪人等移配之際, 南海圍籬安置罪人李玄紀配 古今島, 誤以沃溝書入。 初不致察, 不勝惶恐。 原草記中, 以康津改付標之意, 敢啓。 傳曰,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3913 B023913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肅宗 20年 6月 8日_016 ○又以義禁府言啓曰, 再昨日因臺啓, 疊配罪人等移配之際, 南海圍籬安置罪人李玄紀配古今島, 誤以沃溝書入。 初不致察, 不勝惶恐。 原草記中, 以康津改付標之意, 敢啓。 傳曰, 知道...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則揆以軍政, 實涉踈虞, 傍近蝟島·黔毛浦·古群山·群山等四鎭, 各有戰兵船, 鎭下各卒, 皆以漁採爲業。 故春操, 則節値漁採, 例不赴操, 秋操, 則合操於右水營, 而道里險遠, 或不免敗船之患, 民情極以爲憫。 曾聞, 亦不管束於京畿水營, 自本鎭聚率傍近邊鎭, 設操於前洋云, 格浦,...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 第一統統首李奉國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婢 吾音山前逃亡婢芿叱德時居梁山等辛卯戶口相准 第二戶 幼學金光寶年柒拾貳癸未本高靈父學生瑞鳳祖學生河一曾祖學生成輝外祖折衝將軍行管防禦使 兼水軍僉節制使崔根本慶州率子幼學應天年參拾肆辛酉率婦金氏年貳拾捌丁卯籍金海奴奉安良妻三所生奴莫 乃三所生婢守今買得婢忠禮二所生奴時云同婢次進二所生婢次月...
    연도_면이름1774년_온양면(溫陽面) | 면이름온양면(溫陽面) | 마을이름第二新夜里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국방]

    황해도 옹진현(瓮津縣)에 있던 수군의 거진. 『신증동국여지승람』권 43 옹진현(瓮津縣) 관방조(關防條)에 “ 有水軍僉節制使營 所管 廣岩梁 阿郞浦 吾叉浦 許沙浦 茄乙浦 龍媒梁”이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