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세총통”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
사전(14)
- 세총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 평안도에 많이 보내졌는데, 이는 휴대와 발사가 모두 간편하고 말 위에서 휴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와 부녀자도 능히 다룰 수 있는 것이라고 하여 장려된 때문이다. 남아 있는 유물에 따르면, 세총통은 청동제로서 총길이는 13.8㎝에 지나지 않지만, 통신...
- 세총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편 이 총통에 대해 ≪국조오례서례 國朝五禮序禮≫의 군례 ‘세총통조’에서는 그 제원설명에서 약통장(藥筒長)‧격목통장(檄木筒長)‧취통장(觜筒長) 등으로 구분하고 총길이는 4치 4분 8리, 무게는 3량5전이라 하였고, 발사물로는 차세전(次細箭)을 사용하며 발사할...연계항목세총통(細銃筒)
- 철흠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세종 때 만들어진 세총통(細銃筒)을 사용할 때 손잡이용으로 쓰던 집게. [내용] 세총통은 길이가 4촌 4분 8리(13.7㎝)로 조선시대의 총 중에서 가장 작다. 따라서 총을 쏠 때 총을 잡을 곳이 없고, 총을 쏘고 나면 화약의 폭발...
- 차세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세종 때 개발하였던 화기인 사전총통(四箭銃筒)‧팔전총통(八箭銃筒)‧세총통(細銃筒)에 사용하던 화살. [내용] 세전과 모양과 길이는 같으나 굵기가 조금 가는 대나무 화살로, 세종 말엽(1448)에 그 규격과 제도가 확정되어 총통에서
- 삼총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토된 52점 중의 하나이고, 이와 동일한 삼총통이 1970년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에서도 23점이 출토되어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그 외로는 경희대학교 박물관과 부산대학교 박물관에서도 각각 소장되어 있다. 이 삼총통은 이미 세종조에 세총통(細銃筒)‧사...
주제어사전(1)
-
세총통 / 細銃筒 [정치·법제/국방]
조선 전기에 사용한 불씨를 손으로 선혈에 점화, 발사하는 유통식 화포. 1432년(세종 14)에 창제, 사정거리가 겨우 200보밖에 되지 않아서 존폐론이 대두되기도 하였다. 세총통은 청동제로서 총길이는 13.8㎝에 지나지 않지만, 통신과 약실로 구성, 통신 구연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