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세초”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17)
사전(117)
- 세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과 함께 각 사고(史庫)에 보존했으나, 1616년(광해군 8) 『선조실록』을 편찬한 뒤부터 세초가 정례화되었다. 세초는 조지서(造紙署)가 있던 세검정의 개천에서 행해졌다. 이 때 실록 편찬에 참여했던 사람들의 노고를 위로하기 위해 부근 차일암(遮日巖)에서 세초연...
- 세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日守)‧악생보(樂生保)‧창준(唱準), 사복시‧상의원‧전설사의 제원, 의녀보(醫女保)‧내관보(內官保)‧나장‧차비(差備)‧진부(津夫)‧봉군호보(烽軍戶保) 등이 보충되었다. 세초 때에는 일정한 법률에 의거하여 충정하도록 하였으며, 법령을 위반하여 충군하였을 경우에는...
- 세초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6월과 12월에 결원된 군사를 뽑아서 보충하는 일. 扶餘懷仁 以歲抄之 以生爲死作罷, 정재원(丁載遠), 21(智)-138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세초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음력 정월 초하룻날.정의음력 정월 초하룻날.[국립민속박물관 한국세시풍속사전] | 문광부표기secho | MR표기sech’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세초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군인 중 사망‧도망‧질병자를 조사하여 6월과 12월에 군병 또는 군보(軍保)의 결원을 보충하던 제도.정의조선시대 군인 중 사망‧도망‧질병자를 조사하여 6월과 12월에 군병 또는 군보(軍保)의 결원을 보충하던 제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secho | MR표기sech’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505)
- 농사직설초(農事直說抄)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비망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비망기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매용한설초(梅翁閒說抄)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十二月。 歲鈔恩例之下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三十 經筵日記三 56 ○十二月。 歲鈔恩例之下 30_189_051.jpg ○十二月。 歲鈔恩例之下, 尹斗壽三父子皆承敍用之命。 諫官皆以爲“李銖獄事, 時未究竟, 與者方受鞫問, 而受者復職, 非政事之體。” 大司諫鄭澈獨以銖獄爲冤 冤: 대규에는 “不實”., 不肯...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慶尙道庄土文績_제11책 : 慶尙南道金海郡梁山所在庄土龍洞宮明禮宮提出圖書文績類 112. 己卯四月初七日細山蘆田植蘆稅邑下抄記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06365 奎 19302 慶尙道庄土文績 제11책 : 慶尙南道金海郡梁山所在庄土龍洞宮明禮宮提出圖書文績類 11-107 112. 己卯四月初七日細山蘆田植蘆稅邑下抄記 식로세초기 1 27.4x27.6 한지, 관인 무 1장, 27.4x2...자료명慶尙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內閣親試,歲杪計畫居首,特賜廏馬,謝上箋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220 文集 卷二十二 ITKC_MP_0597A_0220_030_0010 內閣親試,歲杪計畫居首,特賜廏馬,謝上箋 정약용(丁若鏞) 公車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권차명文集 卷二十二 | 문체公車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기초학문(12)
- 浮世草子と朝鮮王朝野談の女性像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861914 한국연구재단 東京大学文学部国文学研究室 2008 浮世草子と朝鮮王朝野談の女性像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조선후기 실록의 세초 기록물과 절차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469253 한국연구재단 한국고문서학회 2014 조선후기 실록의 세초 기록물과 절차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유형논문 | 게재일2014
- 근세초 西日本 지역 '조선인 집단거주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윤유숙, 게재일 : 200946527 윤유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대학교/역사연구소 2009 근세초 西日本 지역 '조선인 집단거주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중세초기 기독교여성연구: 라드군트에서 흐로츠비트까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재현, 게재일 : 200621487 김재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세르네상스영문학회 2006 중세초기 기독교여성연구: 라드군트에서 흐로츠비트까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사이카쿠(西鶴)우키요조시(浮世草子) 속 미망인 인식 소고(小考)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163213 한국연구재단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1 사이카쿠(西鶴)우키요조시(浮世草子) 속 미망인 인식 소고(小考)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유형논문 | 게재일2011
신문·잡지(23)
- 범망경고적기(梵網經古迹記) 58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범망경고적기(梵網經古迹記) 58 梵網経古迹記 범망경고적기 형태서지 梵網經古迹記 卷下 [太賢] [新羅] [韓國] 木版本 [日本] 近世初期 折本 1...대표표제어범망경고적기(梵網經古迹記) 58 | 대표서명梵網経古迹記 | 한글서명범망경고적기 | 서지형태형태서지
- 천태사교의집주증휘기(天台四敎儀集註增煇記) 6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1712年(正德 2) 7冊 正德第二壬辰歲杪秋月穀旦 叡山文庫 內6-62-141 無 叡山文庫毘沙門堂藏識語集成(叡山文庫調査會編,2016), p.81.대표표제어천태사교의집주증휘기(天台四敎儀集註增煇記) 6 | 대표서명天台四敎儀集註增輝記 | 한글서명천태사교의집주증휘기 | 서지형태형태서지
- 천태사교의집주증휘기(天台四敎儀集註增煇記) 7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線裝 7卷7冊 26.2×19.0 正德第二壬辰歲杪秋月穀旦 智山書庫 3-25 無 智山書庫所藏目錄第一卷P.305대표표제어천태사교의집주증휘기(天台四敎儀集註增煇記) 7 | 대표서명天台四敎儀集註增輝記 | 한글서명천태사교의집주증휘기 | 서지형태형태서지
- 천태사교의집주증휘기(天台四敎儀集註增煇記) 8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線裝 7卷7冊 28.0×19.1 正德第二壬辰歲杪秋月穀旦 智山書庫 3-25 無 智山書庫所藏目錄第一卷P.305대표표제어천태사교의집주증휘기(天台四敎儀集註增煇記) 8 | 대표서명天台四敎儀集註增輝記 | 한글서명천태사교의집주증휘기 | 서지형태형태서지
- 천태사교의집주증휘기(天台四敎儀集註增煇記) 9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線裝 7卷7冊 17.9×19.4 正德第二壬辰歲杪秋月穀旦 智山書庫 29-52 無 智山書庫所藏目錄第一卷P.306대표표제어천태사교의집주증휘기(天台四敎儀集註增煇記) 9 | 대표서명天台四敎儀集註增輝記 | 한글서명천태사교의집주증휘기 | 서지형태형태서지
멀티미디어(60)
- 다. 학생들은 다른춤문화의경험을 통해 글로벌 에티켓과 다문화 관용 정신을 기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1주차. 한국춤의 기원과 부족국가 시대의 춤문화 2주차.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춤문화 3주차. 조선전기의 춤문화 4주차. 조선후기의 춤문화 5주차. 20세초강좌제목한국춤을 통한 한국문화읽기1(기원부터 K-POP까지) | 주차별강좌한국춤을_통한_한국문화_읽기_I_1주차-1차시
- 다. 학생들은 다른춤문화의경험을 통해 글로벌 에티켓과 다문화 관용 정신을 기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1주차. 한국춤의 기원과 부족국가 시대의 춤문화 2주차.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춤문화 3주차. 조선전기의 춤문화 4주차. 조선후기의 춤문화 5주차. 20세초강좌제목한국춤을 통한 한국문화읽기1(기원부터 K-POP까지) | 주차별강좌한국춤을_통한_한국문화_읽기_I_1주차-2차시
- 다. 학생들은 다른춤문화의경험을 통해 글로벌 에티켓과 다문화 관용 정신을 기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1주차. 한국춤의 기원과 부족국가 시대의 춤문화 2주차.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춤문화 3주차. 조선전기의 춤문화 4주차. 조선후기의 춤문화 5주차. 20세초강좌제목한국춤을 통한 한국문화읽기1(기원부터 K-POP까지) | 주차별강좌한국춤을_통한_한국문화_읽기_I_1주차-3차시
- 다. 학생들은 다른춤문화의경험을 통해 글로벌 에티켓과 다문화 관용 정신을 기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1주차. 한국춤의 기원과 부족국가 시대의 춤문화 2주차.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춤문화 3주차. 조선전기의 춤문화 4주차. 조선후기의 춤문화 5주차. 20세초강좌제목한국춤을 통한 한국문화읽기1(기원부터 K-POP까지) | 주차별강좌한국춤을_통한_한국문화_읽기_I_1주차-4차시
- 다. 학생들은 다른춤문화의경험을 통해 글로벌 에티켓과 다문화 관용 정신을 기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1주차. 한국춤의 기원과 부족국가 시대의 춤문화 2주차.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춤문화 3주차. 조선전기의 춤문화 4주차. 조선후기의 춤문화 5주차. 20세초강좌제목한국춤을 통한 한국문화읽기1(기원부터 K-POP까지) | 주차별강좌한국춤을_통한_한국문화_읽기_I_1주차-5차시
주제어사전(4)
-
세초 / 洗草 [정치·법제/법제·행정]
년(광해군 8) ≪선조실록≫을 편찬한 뒤부터 세초가 정례화되었다.
-
세초 / 歲抄 [정치·법제/국방]
사의 제원, 의녀보·내관보·나장·차비·진부·봉군호보 등이 보충되었다. 세초를 그 기한에 마치지 못한 수령은 허물을 들어 문책하여 강등한다는 규정이 있었다.
-
경연일기 / 經筵日記 [역사/조선시대사]
포함되었다.또, 조강(朝講)·주강(晝講)·석강(夕講) 및 야대(夜對)를 모두 기록하였다. 경연일기는 사관들이 작성하여 보관하였다가, 왕이 죽은 뒤에 실록을 편찬할 때 자료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실록을 편찬한 뒤에는 세초(洗草)하여 없앴으므로 현재 남아 있는 것이 별로
-
권벌 종가 고문서 / 權橃宗家古文書 [사회/가족]
가장 오래된 것이고,『연산군일기세초지도』와『산릉도감제명록』은 그 내용이 사료적 가치가 있으며, 권벌의 어머니 윤씨 남매의 분재기와 권벌이 삼촌에게서 받은 분재문서 등도 매우 희귀한 자료들로 개별적으로 지정할 가치가 있는 것들이다. 이 고문서 가운데에는 1414년(태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