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세종특별자치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4)
사전(5)
- 연기 송담리 유적_SN06201 [동북아 기후변화 맥락에서 본 한국 선사시대 도구문화의 추이 | 충북대학교]역사 물품도구 선사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충북대학교 김범철 연기 송담리 유적_SN06201 SN06201 충청도 연기 송담리 유적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 36° 32' 49.03'' N 127...대표표제어연기 송담리 유적_SN06201 | 지역충청도 | 시기청동기전기
- 공주영상대학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 있는 사립전문대학. [연원 및 변천] 학교법인 안산학원이 유지, 경영하다가 유재원(柳在元)이 재단을 인수하고 명칭을 인풍학원으로 바꾸었다. 웅진전문대학으로 1993년에 개교하여 전산과ㆍ사무자동화과ㆍ관광...이칭별칭웅진전문대학|공주영상정보대학
- 연기 대평리 유적_SN06101 [동북아 기후변화 맥락에서 본 한국 선사시대 도구문화의 추이 | 충북대학교]역사 물품도구 선사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충북대학교 김범철 연기 대평리 유적_SN06101 SN06101 충청도 연기 대평리 유적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대평동,신촌동 36° 28' 16.92'' N ...대표표제어연기 대평리 유적_SN06101 | 지역충청도 | 시기청동기전기
- 비암사(飛庵寺)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의 절. [개설] 비암사(飛庵寺)는 7세기경의 유물이 남아 있어서 백제가 멸망한 직후에 창건된 사찰로 추정된다. 현존하는 유물에서 계유년에 사찰을 창건했다고 했는데 그 명문에 신라와 백제의 관등명이 함께 등장하는 것으로 볼 때 계...동의어비암사(碑巖寺) | 관련어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癸酉銘全氏阿彌陀佛碑像), 기축명아미타불비상(己丑銘阿彌陀佛碑像), 예송(禮訟), 이유태(李惟泰)
- 금사역(金沙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집단 기구 충청도 조선 성주현 [정의] 조선시대 충청도 지역의 역도 중 하나인 성환도에 속한 역으로, 오늘날의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에 위치해 있었음. [개설] 금사역(金沙驛)은 고려전기 전국의 525개 역을 22...상위어성환도(成歡道) | 관련어충청주도(忠淸州道), 역도(驛道), 속역(屬驛), 역승(驛丞), 찰방(察訪), 연기현(燕岐縣), 율봉도(栗峯道), 역리(驛吏), 역노(驛奴), 역비(驛婢), 증약도(增若道)
고서·고문서(18)
- 세종특별자치시_ST2016002455 [동북아 기후변화 맥락에서 본 한국 선사시대 도구문화의 추이 | 충북대학교]역사 물품도구 선사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충북대학교 김범철 세종특별자치시_ST2016002455 ST2016002455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도계리 273-15 도계리 127°12'6.14"E대표표제어세종특별자치시_ST2016002455 | 유적명도계리
- 매일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매일 양 남자 세종특별자치시 흑룡강성(黑龙江省) 가목사시(佳木斯市) 경편인자장 2 2 매일, 삼촌, 형님누나, 사정,...대표표제어매일 | 성씨양
- 렴치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렴치 양 남자 세종특별자치시 흑룡강성(黑龙江省) 가목사시(佳木斯市) 경편인자장 2 1 렴치, 삼촌들, 이국땅, 흑룡강...대표표제어렴치 | 성씨양
- 그리움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그리움 양 남자 세종특별자치시 흑룡강성(黑龙江省) 가목사시(佳木斯市) 경편인자장 2 2 그리움, 애탄심정, 삼촌, 기...대표표제어그리움 | 성씨양
- 형님누나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형님누나 양 남자 세종특별자치시 흑룡강성(黑龙江省) 가목사시(佳木斯市) 경편인자장 2 1 형님누나, 희망, 아버지,대표표제어형님누나 | 성씨양
신문·잡지(1)
- 55. 한국전쟁에 대한 『타임스』의 사설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 성균관대학교]러나 짧은 시간을 준 후에 중국의 반응이 없거나 답이 부정적이라면 유엔군은 평양과 ‘개미고개’ 한국전쟁 당시 격전지로 현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과 전동면 사이에 위치한 고개.까지 진군을 계속해야 할 것이라는 주장입니다. 『타임스』는 이것이 최근 유엔군의 승리를 최대한 활...대표표제어55. 한국전쟁에 대한 『타임스』의 사설 | 자료유형외교문서(전보) | 작성연월1951년 5월 | 작성일26일
멀티미디어(60)
- 불교 재의식의 장엄구 10주차. 한국불교의례와 물질 김성순 전남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 재직 전 전라북도 무형문화재위원회 위원 현 세종특별자치시 무형문화재위원회 위원 현 조계종 성보보존위원회 무형분과 위원 불교의례_01주차 가이드북.pdf 불교의례의강좌제목불교 의례 | 강의자김성순
- 불교 재의식의 장엄구 11주차. 한국불교의례와 물질 김성순 전남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 재직 전 전라북도 무형문화재위원회 위원 현 세종특별자치시 무형문화재위원회 위원 현 조계종 성보보존위원회 무형분과 위원 불교의례_01주차 가이드북.pdf 불교의례의강좌제목불교 의례 | 강의자김성순
- 불교 재의식의 장엄구 12주차. 한국불교의례와 물질 김성순 전남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 재직 전 전라북도 무형문화재위원회 위원 현 세종특별자치시 무형문화재위원회 위원 현 조계종 성보보존위원회 무형분과 위원 불교의례_01주차 가이드북.pdf 불교의례의강좌제목불교 의례 | 강의자김성순
- 불교 재의식의 장엄구 13주차. 한국불교의례와 물질 김성순 전남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 재직 전 전라북도 무형문화재위원회 위원 현 세종특별자치시 무형문화재위원회 위원 현 조계종 성보보존위원회 무형분과 위원 불교의례_01주차 가이드북.pdf 불교의례의강좌제목불교 의례 | 강의자김성순
- 불교 재의식의 장엄구 14주차. 한국불교의례와 물질 김성순 전남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 재직 전 전라북도 무형문화재위원회 위원 현 세종특별자치시 무형문화재위원회 위원 현 조계종 성보보존위원회 무형분과 위원 불교의례_01주차 가이드북.pdf 불교의례의강좌제목불교 의례 | 강의자김성순
주제어사전(16)
-
세종특별자치시 / 世宗特別自治市 [지리/인문지리]
쪽은 충청남도 천안시와 경계를 이룬다. 면적은 464.90㎢이고, 인구는 21만 884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가 건설된 구역은 72.91㎢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개 읍, 9개 면, 3개 행정동(14개 법정동)이 있다. 시청은 세종특별자치시 보람동에 있
-
국도43호선 / 國道43號線 [경제·산업/교통]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에서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에 이르는 일반 국도. 세종~고성선이라고도 한다.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을 기점으로 천안시, 아산시를 지나 경기도 서남부, 서울특별시, 경기도 동북부 지역을 차례로 관통한 다음 강원도 김화읍까지 남북 대각선 방향으로 뻗어 있
-
나성독락정 / 羅城獨樂亭 [예술·체육/건축]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독락정역사공원에 있는 조선전기 양양도호부사 임목이 건립한 누정.문화재자료.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건물.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8호. 금강 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고려 말의 전서(典書) 임난수(林蘭秀)가 조선왕조의 역성혁명에 반대하여
-
덕성서원 / 德星書院 [교육/교육]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에 있는 서원. 885년(고종 22)에 관북지방의 유림들이 함경도 홍원에서 문경공(文敬公) 임헌회(任憲晦, 1811∼1876)를 배향하기 위해 숭덕사(崇德祠)를 창건하였다. 분단 이후 1978년에 전국 유림의 발기로 그의 유허지가 있는 현재
-
금이성 / 金伊城 [예술·체육/건축]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석축 성곽.산성. 시도기념물.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5호. 연기군 전의면에서 공주로 가는 도로를 따라 약 4㎞ 정도 남쪽으로 가면 달전리 부락에 이르게 된다. 이 부락의 동쪽 표고 424m의 금성산에 둘레 약 500m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