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세종실록지리지” 에 대한 검색결과 2,0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05)

사전(63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년에 편사한 ≪≫ 8권 8책이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고, 1937년에 조선총독부 중추원에서도 ≪교정≫를 발간하였다. 慶尙道地理志 校訂(朝鮮總督府 中樞院, 1937) ...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454년에 완성된 《세종장헌대왕실록(世宗莊憲大王實錄)》의 제148권에서 제155권까지 8권에 실려 있는 전국 지리지.
    정의1454년에 완성된 《세종장헌대왕실록(世宗莊憲大王實錄)》의 제148권에서 제155권까지 8권에 실려 있는 전국 지리지.[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Sejong sillok jiriji | MR표기Sejong sillok chirij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흑성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면 교촌리에 있는 삼국 시대의 산성. [내용]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64호. 일명 흑성 또는 흑산석성이라 한다. 『』에는 험준하고 둘레 739보(步)이며, 성 안에 우물과 샘이 하나씩 있다고...
    이칭별칭흑성(黑城)|흑산석성(黑山石城) | 연계항목흑성산성(黑城山城)
  • 보통(普通)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서는 『()』에서 보통(普通) 연호를 확인할 수 있는데, 각 지방의 유래 및 변천을 설명하는 가운데 연대(年代)를 표시하기 위하여 이 연호를 사용하고 있다. 『()』 『양서(梁書)』 ...
  • 정시(正始)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 지역의 유래 및 변천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정시(正始) 연호가 등장하고 있다. 이것은 조선(朝鮮)이 독자 연호 대신 중국의 연호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과거의 연대도 중국의 연대로 표시하였던 것이다. 『(...

고서·고문서(354)

신문·잡지(1)

  • 독도의 사적유래와 연혁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는 삼봉도(三峯島)로 불리던 우리나라 영토이며 이러한 사실은 와 성종실록, 동국여지승람 등 고문헌에 명기되어있음. 숙종 시대에 울릉도 소속 문제가 일어났을 때 일본 역시 독도를 울릉도와 함께 우리나라 영토로 승인했음. 일본 구상서, 독도 문제, 일본 독...
    대표표제어독도의 사적유래와 연혁 | 자료유형기관지 | 집필자신석호 | 출처『독도관계자료집』(외무부)(pp.17-21, 23-30) | 키워드일본 구상서, 독도 문제, 일본 독도 강탈, 독도 한국 영토

멀티미디어(1,001)

기타자료(14)

  •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내용과 더불어 「()」에 부(府) 남쪽 창로리에 요지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현재 파악되지 않고 있다. 부(府) 남쪽 창로리와 ‘남면(南面)’, ‘서남면(西南面)’과의 관계도 추적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발행연도2005/12 | 발굴기관강원문화재연구소 | 발굴지역강원도
  • 칠곡 학하리 분청사지 요지II -칠곡 가산 컨트리클럽 조성부지내-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로 판단해볼때 가마의 조업시기는 1400년 전후로 나타난다. 또한 이 지역은 고대에 인동현에 속하였다. 조선시대 인동현의 요업에 대한 기록은 []에서 찾아볼 수 있다. []에서는 인동현에 품질이 하품인 자기소 1개와 도기소 1개가 있다고 기록되...
    발행연도2009/08/25 | 발굴기관(재)영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북도
  • 칠곡 학하리 분청사지 요지I -칠곡 가산 컨트리클럽 조성부지내-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후로 나타난다. 또한 이 지역은 고대에 인동현에 속하였다. 조선시대 인동현의 요업에 대한 기록은 []에서 찾아볼 수 있다. []에서는 인동현에 품질이 하품인 자기소 1개와 도기소 1개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도기소는 약목현의 북쪽에 위치하고...
    발행연도2009/08/25 | 발굴기관(재)영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북도
  • 있어 중요한 조사자료를 확인하였다. 문헌기록을 통해 보았을 때, 현 좌수영성의 축조연대는 가(1454) 편찬된 전후 부산에 경상좌수영의 관하로서 해운포성이 축조될 때부터라 할 수 있으며, 종중 9(1514)년에 비로소 해운포영성을 석축으로 쌓았다는 기록이...
    발행연도2001 | 발굴기관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발굴지역부산광역시
  • 증평 지방산업단지 조성부지내 문화재 발굴조사 증평 미암리유적 I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의 잔존 상태가 양호한편이다. 1호 건물지는 2차례의 증축, 개축을 걸쳤으며 ㄷ자형 건물이 초축부터 있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1호 건물지는 2기의 담장유물도 부속유물로 확인되었다. 건물지는 고려의 것으로 추측되며 []의 시화현으로 추정된다. 청자의 뚜...
    발행연도2008 | 발굴기관중원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충청북도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9)

  • / 錄 [지리/인문지리]

    1454년(단종 2)에 완성된 『세종장헌대왕실록(世宗莊憲大王實錄)』의 제148권에서 제155권까지 8권에 실려 있는 전국 지리지. 조선시대에는 실록에 수록되어 있던 것이기 때문에 거의 이용될 수 없었다. 일제강점기인 1929년에 독립된 『』8권 8책이 편

  • 계화도간척지 / 界火島干拓地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부안군 계화면 일대에 조성된 간척지. 『()』에는 계화 대신 ‘계건이(界件伊)’라는 지명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계화라는 지명의 유래에 대해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다. 계화도 간척지는 2006년 새만금 간척사업의 일환인 방조제 물막이공

  • 어달산봉수대 / 於達山烽燧臺 [경제·산업/통신]

    》에 어을달산(於乙達山)으로, 신증동국여지승람 新增東國輿地勝覽》 및 그 이후의 문헌에는 어달산(於達山)으로 나타나며, 북쪽으로는 12.5㎞ 떨어진 강릉시 강동면 심곡리의 오근산(吾斤山)과, 남쪽으로는 14.5㎞ 떨어진 삼척시 교동의 광진산(

  • 마니산 / 摩尼山 [지리/자연지리]

    마리란 고어(古語)로 머리를 뜻하며 강화도에서 가장 높은 땅의 머리를 의미한다. 더우기 산 정상에는 하늘에 제를 지내는 단이 있어 강화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 민족, 전 국토의 머리 구실을 한다는 뜻이다. 『고려사(高麗史)』 지리지와 『()』에

  • 송변 / 宋邊 [지리/인문지리]

    허가하고 거제군의 직촌(直村)으로 삼았다.『』에 간전(墾田) 709결(結)이라고 기록된 점으로 보아 송변의 행정구역은 섬 남쪽의 다포리 일대까지 미쳤을 것이다. 송변은 조선시대에 군사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었으므로 지세포(知世浦) 수군만호의 지휘를 받았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