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세종” 에 대한 검색결과 16,95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286)

사전(10,623)

  • 영해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35( 17)∼1477(성종 8). 조선 전기의 왕자. [내용] 처음 이름은 장(璋)이며, 뒤에 당(瑭)으로 바꾸었다. 의 아홉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신빈 김씨(愼嬪金氏)이다. 1442년( 24) 영해군으로 피봉(被封)되고...
    이칭별칭 안도(安悼)|장(璋)|당(?)
  • 임영대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18(태종 18)∼1469(예종 1). 조선 전기의 왕자. [개설] 이름은 구(璆). 자는 헌지(獻之). 의 넷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沈氏)이다. 부인은 의령남씨(宜寧南氏)로, 우의정 지(智)의 딸이며,
    이칭별칭 헌지(獻之)| 정간(貞簡)
  • 이상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33( 15). 조선 전기의 문신. [내용] 으로부터 신임을 받아 경성절제사ㆍ의주목사ㆍ중추원부사ㆍ돈녕부동지사(敦寧府同知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1432년( 14)길주에 큰 재해가 있자 선위사(宣慰使)로 파견되어 임무를
  • 광평대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25( 7)∼1444( 26). 조선 전기의 왕자. [개설] 이름은 여(璵). 자는 환지 (煥之), 호는 명성당(明誠堂). 아버지는 이며, 어머니는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沈氏)이다. [생애]
    이칭별칭 환지(煥之)| 명성당(明誠堂)| 장의(章懿)|이여(李璵)
  • 평원대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27( 9)∼1445( 27). 조선 전기의 왕자. [개설] 이름은 임(琳), 자는 진지(珍之), 호는 근행당(謹行堂). 의 아들로, 어머니는 소헌왕후 심씨(昭憲王后沈氏)이다. [내용] 1434년( 16)...
    이칭별칭 진지(珍之)| 근행당(謹行堂)| 정덕(靖德), 정헌(定憲)|임(琳)

단행본(5)

  • 저자 : 박현모 ... | 출판사 : 서해문집 | 출판일 : 20160810
    유형단행본
    “세종에게 책은 존재 그 자체다” “세종은 어떤 계기로 그런 어진 마음을 가진 지도자가 되었나요?” 2013년 초봄, 미국 워싱턴에 있는 조지 메이슨 대학교에서 세종 리더십을 강의할 때 어떤 분이 던진 질문이다. 링컨을 전공한 그분은 ‘링컨을 링컨으로 만든’ 이야기...
  • 시대의 과학기술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 전북대학교]
    저자 : 구만옥... | 출판사 : 도서출판 들녘 | 출판일 : 20160930
  • 의 고백, 임금 노릇 제대로 하기 힘들었습니다 [조선 초기 군주 평전: 권력과 이념 | 고려대학교]
    저자 : 송재혁 ... | 출판사 : 푸른역사 | 출판일 : 20221229
    세종은 이순신과 함께 대표적인 ‘민족의 영웅’으로 꼽히는 인물이다. 특히 오늘날 한국의 핵심적인 문화적 정체성으로 간주되는 한글의 창시자로서 그의 위대성은 이미 주어진 당연한 사실로 받아들여져 왔다. 이 평전은 세종을 둘러싼 ‘성역과 신화’에 도전하고자 했다. 세종 이...
  • 국역 〈요사〉 상 [<요사> 번역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저자 : 김위현(단국대학교), 이성규(단국대학교), 이상훈(단국대학교), 김한기(단국대학교), 변... | 출판사 : 단국대학교 출판부 | 출판일 : 2012.12.31
    권5 본기 제5 () 야율원(耶律院) 권6 본기 제6 목종(穆宗) 야율경(耶律璟) 상 권7 본기 제7 목종 야율경 하 권8 본기 제8 경종(景宗) 야율현(耶律賢) 상 권9 본기
  • 韓國學研究論文集(四)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
    저자 : ... | 출판사 : 中國文化大學華岡出版部 | 출판일 : 2015.12.
    유형단행본
    Ÿ‧ 대마도(對馬島) 종가문서(宗家文書) 한글 서간류에 대하여 - 岸田文隆ŸŸ ‧ 한국어의 공손성과 간접표현 - 호정환ŸŸ ‧ 말뭉치 문어자료를 활용한 정도부사의 분류와 그 사용 양상–용언과의 2원 네트워크 분석 - 정

논문(8)

고서·고문서(3,690)

  • 追崇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ES_00119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續編終 答安順菴問目_僿說禮論編 追崇 追崇 이익(李瀷, 1681~1763) DRAC_7:1:5:53 嘉靖議禮, 本非難斷. 父子之倫, 自天子達於庶人. 人謂“帝王家, 與閭巷之禮不同”者, 非是. 以群下視上,...
    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로 최 남자 길림성(吉林省) 용정시(龙井市) 용정고중 6 5 로, 보신각, 타종, 현장, 종소리, 온누리, 울려...
    대표표제어세종로 | 성씨
  • 실록강요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분류전적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실록대조표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분류전적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1936년 축문(祝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구술자료(121)

  • 대왕 일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4-08-23 | 조사장소경상남도 울주군 두동면 | 제보자윤성오
  • 대왕의 암행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앞 설화에 이어서 계속에서 구술했다. 제보자는 한시가 있는 이 설화를 자랑스러운 듯이 이야기했다, *
    조사일시1984-07-21 | 조사장소경상남도 울주군 청량면 | 제보자손영수
  • 대왕능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점재이 예언이나 풍수에 관한 이야기를 요청하자 들려준 이야기다. 야담에다 있을 것이라고 한 것을 보아 이 자료 또한 야담집에서 읽은 자료라고 본다.*
    조사일시1979-02-25 | 조사장소경기도 여주군 여주 | 제보자안평국
  • 유적조사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유적조사 ① 예술·체육 작품 현대 A-036 1732 전북 유적조사자료 1) 김이 살았다고 알려진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복실
    자료구분상세유적조사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규한
  • 유적조사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유적조사 ② 예술·체육 작품 현대 A-037 1900 전북 유적조사자료 1) 명창 김의 거처 및 활동지역인 순창에서 김
    자료구분상세유적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권상규

기초학문(115)

  • 대 대마도정벌의 군사적 전개과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일환, 게재일 : 2012
    42448 김일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대 대마도정벌의 군사적 전개과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의 ‘新樂’은 韓國의 雅樂인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한흥섭, 게재일 : 2008
    40912 한흥섭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8 의 ‘新樂’은 韓國의 雅樂인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朝鮮 朝에 간행된 唐人 別集類 略考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당윤희, 게재일 : 2012
    54545 당윤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연구회 2012 朝鮮 朝에 간행된 唐人 別集類 略考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시대 〈봉래의〉의 무용구조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손선숙, 게재일 : 2013
    56849 손선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무용학회 2013 시대 〈봉래의〉의 무용구조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대왕의 효제(孝悌)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남욱, 게재일 : 2015
    59772 조남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유교학회 2015 대왕의 효제(孝悌)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160)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 원산 李 - 上里1洞 - - 일용(日用)부엌용(荒物)잡화 판매 8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世鍾(-)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일용(日用)부엌용(荒物)잡화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 원산 李 - 海岸通6 - - 일용(日用)부엌용(荒物)잡화 판매 22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世鍾(-)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일용(日用)부엌용(荒物)잡화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守(大成百貨店) 서울 守 大成百貨店 義州通 2-171 복장품 - 일본/서양식 잡화(和洋雜貨) 소매 16.2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
    대표표제어洗鍾守(大成百貨店) | 지역서울 | 품목복장품 | 영업종목일본/서양식 잡화(和洋雜貨)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학교 선생님들 9 토끼반 10 나비반 14 개나리1...
    발행국가미국 | 발행연도2007
  • 정치와 무관심 그 진단과처방 (2) 로1번지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20) 박정희 정치관 정치와 무관심 그 진단과처방 (2) 로1번지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65년 10월 30일 동아일보사 동아일보 기사/사설 4 이 글은 박정희의 정치관과 그에 따르는 사람들의 정치무관심에 대해 말함. 박정희...
    대표표제어정치와 무관심 그 진단과처방 (2) 세종로1번지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동아일보사 | 출처동아일보 | 키워드박정희 정치관, 강경행정, 강경책, 민족적 민주주의, 기갑차식 정치작업, 정치무관심

멀티미디어(1,369)

  • 실록지리지』 단계의 진도
    [행정구역 및 수륙교통로 복원을 통한 조선시대 역사지리환경의 현재적 재현 | 성신여자대학교]
    577 13. 『실록지리지』 단계의 진도.pdf 『실록지리지』 단계의 진도 수로망
    자료문의성신여대 양보경 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단
  • 실록지리지』에 수록된 진도
    [행정구역 및 수륙교통로 복원을 통한 조선시대 역사지리환경의 현재적 재현 | 성신여자대학교]
    592 28. 『실록지리지』(1454)에 수록된 진도.pdf 『실록지리지』에 수록된 진도 수로망
    자료문의성신여대 양보경 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단
  • 대왕과 그의 시대 - ‘대왕’ 관련 역사소설_3주차_1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양화와 과거의 재발견 2주차. ‘이순신’ 역사소설 - 임진왜란과 이순신 3주차. 대왕과 그의 시대 - ‘대왕’ 관련 역사소설 4주차. 조선시대의 기생 이야기-명기(名技)황진이 관련 역사소설 5주차. 민중의 영웅, 의적의 탄생과 역사소설의 계보 6주차. 역사 서사
    강좌제목한국 역사소설의 과거와 현재 | 강의자공임순 교수, 김미란 교수
  • 대왕과 그의 시대 - ‘대왕’ 관련 역사소설_3주차_2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양화와 과거의 재발견 2주차. ‘이순신’ 역사소설 - 임진왜란과 이순신 3주차. 대왕과 그의 시대 - ‘대왕’ 관련 역사소설 4주차. 조선시대의 기생 이야기-명기(名技)황진이 관련 역사소설 5주차. 민중의 영웅, 의적의 탄생과 역사소설의 계보 6주차. 역사 서사
    강좌제목한국 역사소설의 과거와 현재 | 강의자공임순 교수, 김미란 교수
  • 대왕과 그의 시대 - ‘대왕’ 관련 역사소설_3주차_3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양화와 과거의 재발견 2주차. ‘이순신’ 역사소설 - 임진왜란과 이순신 3주차. 대왕과 그의 시대 - ‘대왕’ 관련 역사소설 4주차. 조선시대의 기생 이야기-명기(名技)황진이 관련 역사소설 5주차. 민중의 영웅, 의적의 탄생과 역사소설의 계보 6주차. 역사 서사
    강좌제목한국 역사소설의 과거와 현재 | 강의자공임순 교수, 김미란 교수

기타자료(195)

  • ;崔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6937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65면 (38) 제36회 163명(1940년 3월 졸업) 최;崔 間島省 延吉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玉 경상남도 통영 소화14년 3월3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宋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5645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47면 송;宋 마산세무서 제13회 1935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9200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47면 이;李 제2회 1942-11-26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8908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44면 이;李 제1회 1941년 3월 19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4)

주제어사전(659)

  • / [역사/조선시대사]

    1397(태조 6)∼1450(32). 조선 제4대 왕. 태종의 셋째아들, 어머니는 원경왕후 민씨이다. 비는 심온의 딸 소헌왕후이다. 1408년(태종 8) 충녕군에 봉해지고, 1412년 충녕대군에 진봉되었으며, 1418년 6월 왕세자에 책봉되었다가 같은 해 8월에

  • / 警 [문학/현대문학]

    김필수(金弼秀)가 지은 신소설. 유산객(遊山客)들이 엿보는 가운데, 산속에서 여러 동물들이 친목회를 가진다. 이 모임에는 갖가지 동물들이 참석하고 있으나 주로 토론에 참여하여 발언하는 것은 사슴을 비롯한 원숭이·까마귀·제비·올빼미·고슴도치·박쥐·공작·나비·개미·자벌레·

  • 실록지리지 / 實錄地理志 [지리/인문지리]

    1454년(단종 2)에 완성된 『장헌대왕실록(莊憲大王實錄)』의 제148권에서 제155권까지 8권에 실려 있는 전국 지리지. 조선시대에는 실록에 수록되어 있던 것이기 때문에 거의 이용될 수 없었다. 일제강점기인 1929년에 독립된 『실록지리지』8권 8책이 편

  • 특별자치시 / 特別自治市 [지리/인문지리]

    쪽은 충청남도 천안시와 경계를 이룬다. 면적은 464.90㎢이고, 인구는 21만 884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가 건설된 구역은 72.91㎢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개 읍, 9개 면, 3개 행정동(14개 법정동)이 있다. 시청은 특별자치시 보람동에 있

  • 대왕기념사업회 / 大王紀念事業會 [언어/언어/문자]

    대왕의 성덕과 위업을 추모해 이를 후손에게 계승하기 위한 목적으로 1957년 5월 14일에 설립된 공익 법인. 1956년 10월 9일 510돌 한글날에 학계·예술계와 교육계 및 28개 문화 단체 대표들의 발의로 발기 창립되었고, 1957년 5월 14일 문교부장관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