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세자익위사” 에 대한 검색결과 3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8)

사전(240)

  • 세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의 정9품 관직. [내용] 정원은 2인이다. 좌우세마 각 1인이 있었다. 『대전회통(大典會通)』
  • 우위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의 종6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세자를 배위하는 일을 맡았다. 『경국대전(經國大典)』 『대전회통(大典會通)』
  • 우부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에 속한 정7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경국대전(經國大典)』 『대전회통(大典會通)』
  • 익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의 정5품 관직. [내용] 정원은 2인이다. 좌‧우 각 1인씩을 두었다. 1418년(태종 18)에 좌‧우사어(左右司禦)를 고친 이름이다. 이들은 왕세자를 위하여 경서를 강하고 또한 질문에 응답하는 데 참가하...
  • 익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의 정6품 관직. [내용] 정원은 2인이다. 좌‧우익찬 각 1인씩이었다. 1418년(태종 18)에 좌‧우익위(左右翊衛)를 고친 이름이다. 처음 익위사를 설치하여 세자좌우사(世子左右司)로 고치면서 좌‧...

고서·고문서(38)

  • 임진년 포폄제목(褒貶題目)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포폄문서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포폄문서 | 현소장처제천 한수 연안이씨
  • 한원진 부솔 고신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1721년(康熙60) 8월 23일에 병조에서 임금의 명을 받아 韓元震을 廸順副衛行世弟翊衛司副率로 임명하는 고신이다. 이 고신은 5품이하의 문무관원에게 발급한 敎牒이다. 廸順副衛는 서반 정7품 상계인데 정7품의 世子翊衛司副率에 임명되어 관직명 앞에 품계는 높은데 비해...
    분야문학 | 유형문헌
  • 한원진 사어 고신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1727년(雍正4) 5월에 兵曹에서 왕명을 받들어 前注簿宣務郞韓元震을 秉節校尉守世子翊衛司司禦로 임명하는 교첩이다. 秉節校尉는 서반 종6품 하계로 이 고신은 5품이하의 문무관원에게 발급한 敎牒이다. 秉節校尉는 서반 종6품 하계인데 종5품의 世子翊衛司司禦에 임명되어 관직...
    분야문학 | 유형문헌
  • 한원진 사어 고신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1727년(雍正4) 10월 27일에 병조에서 임금의 명을 받아 韓元震을 敦勇校尉守世子翊衛司司禦로 임명하는 고신이다. 이 고신은 5품이하의 문무관원에게 발급한 敎牒이다. 敦勇校尉는 서반 종6품 상계인데 종5품의 世子翊衛司司禦에 임명되어 관직명 앞에 품계는 낮은데 비해...
    분야문학 | 유형문헌
  • 한원진 사어 고신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1727년(雍正4) 10월에 병조에서 임금의 명을 받아 韓元震을 顯信校尉守世子翊衛司司禦로 임명하는 고신이다. 이 고신은 5품이하의 문무관원에게 발급한 敎牒이다. 顯信校尉는 서반 종5품 상계이다. ‘兵曹之印’을 찍었으며, 參判과 左郞이 서압하였다. 년호 우측에 丙午(1...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37)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세자를 모시고 호위하는 임무를 맡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조선 초에는 세자관속이 설치되어 세자에 대한 강학과 시위의 일을 함께 관장하였다. 그 뒤 강학에 관한 것은 세자시강원, 시위는 가 분업되었다. 는 조선 후기까지 그대로 존치되면

  • 좌위수 / 左衛率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 종6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세자를 배위하는 일을 맡았다.

  • 익위사관원별단 / 翊衛司官員別單 [정치·법제]

    1879년(고종 16) 12월 당시 관원 명부. 는 왕세자의 호위를 담당하던 관청이다. 1879년 12월 21일 왕세자의 병이 나은 것을 기념해 시상할 때의 명단과 동일하다. 작성 당시 관원의 구성 및 이속의 현황 파악이 가능한 문서이다

  • 김근행 / 金謹行 [종교·철학/유학]

    1712(숙종 38)∼?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성균관 진사 시서, 어머니는 은진송씨로 비안현감 이석의 딸이다. 강규환의 문인이다. 세마, 사어, 김포군수, 인천부사를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용재문집』15권이 있다.

  • 위수 / 衛率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에 소속된 종6품 관직. 정원은 2인이다. 좌우에 각 1인씩이었다. 무관직으로 왕세자를 배호하며 입직 1인이 세자강서에 참석하였다. 참하는 사만 12∼36삭(朔)을 채운 뒤 비로소 승품하여 위수가 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