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세자빈” 에 대한 검색결과 75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13)

사전(561)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신씨부인의 혈족으로, 으로 간택이 되어 궐에서 잔치를 열 때 신씨부인을 청하여 모신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책왕의(冊王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왕의 책왕의 冊王儀 책빈(冊嬪) 왕실왕실의례/가례 의식 행사 대한민국 조선 김세은 [정의] 왕(王)을 책봉(冊封)하는 의례. [개설]
    관련어책빈(冊嬪)
  • 김씨, 김휘빈(廢金氏, 金徽嬪)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김씨, 김휘빈 폐김씨, 김휘빈 廢金氏, 金徽嬪 왕족후궁 인물 한국 조선 세종 정주영 박종국 2014 휘빈(徽嬪) 왕족 여자 안동(安東) 서울 김묘(金昴) ...
  • 봉씨, 봉순빈(廢奉氏, 奉純嬪)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봉씨, 봉순빈 폐봉씨, 봉순빈 廢奉氏, 奉純嬪 왕족후궁 인물 한국 조선 세종 정주영 박종국 2014 순빈(純嬪) 왕족 여자 하음(河陰) 서울 봉유례(奉...
  • 죽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왕세자(王世子)와 왕(王)을 책봉하고 존호(尊號)를 올릴 때 그에 관한 글을 대쪽[竹片]에 새겨 엮은 문서. [내용] 왕세자와 왕을 책봉할 때에는 국왕의 교명(敎命)과 함께 책인(冊印 : 죽책과 인장)을 내려준다...

단행본(1)

  • (조선왕실의 일상 3) 조선의 세자로 살아가기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심재우(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학부 교수), 한형주(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교수), 임민혁(한...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3.04.08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2) 세자와 , 잊지 말아야 할 한가지 (3) 의 집안 4. 세자의 대리청정 (1) 세자의 국정참여, 대리청정 (2) 대리청정시 세자의 권위와 역할

고서·고문서(145)

  • 효명궁혼궁도감의궤(孝明宮魂宮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830년(순조 30) 순조(純祖)의 원자(元子)인 효명세자(孝明世子, 추존 翼宗, 후에 다시 文祖로 추존, 1809~1830)의 예장(禮葬) 때 빈궁(殯宮)과 혼궁(魂宮)의 설치와 운영에 대해 기록한 책이다. 효명세자의 이름은 영(旲: 원래의 음은 대이나 영으로 부...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소현궁도감의궤(昭顯宮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645년(인조 23) 4월부터 6월까지 소현세자(昭顯世子, 1612~1645) 예장(葬禮)때의 殯宮에 관한 기록으로, 빈궁도감에서 편찬하였다. 소현세자는 인조(仁祖)의 맏아들이고, 어머니는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 한준겸(韓浚謙)의 딸 인열왕후(...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문효궁혼궁도감의궤(文孝宮魂宮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786년(정조 10) 정조(正祖)의 아들 문효세자(文孝世子, 1782∼1786)가 사망한 후 빈궁(殯宮)과 혼궁(魂宮)의 설치와 운영에 관해 기록한 책으로 빈궁혼궁도감(殯宮魂宮都監)에서 간행하였다. 문효세자는 정조가 의빈성씨(宜嬪成氏)에게서 얻은 아들로, 왕세자에 책...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효장궁도감의궤(孝章宮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趙文命)의 딸 효순왕후(孝純王后)이다. 능은 영릉(永陵)이다. 조선시대에 세자와 의 장례는 예장(禮葬)이라 칭해졌으며, 훙서한 날로부터 시신을 매장하고 신주를 혼궁에 모시기까지 약 3개월이 소요되었다. 왕실의 장례는 절차가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기 때문...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사도궁혼궁도감의궤(思悼宮魂宮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762년(영조 25) 사도세자(思悼世子, 1735~1762)의 예장(禮葬) 때 빈궁(殯宮)과 혼궁(魂宮)의 설치와 운영에 관해 기록한 책으로, 빈궁혼궁도감(殯宮魂宮都監)에서 간행하였다. 조선시대에 세자와 의 장례는 예장(禮葬)이라 칭해졌으며, 훙서한 날로부터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기초학문(5)

  • 조선후기 禮葬 의례와 그 특징: 賢嬪의 예장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현진, 게재일 : 2016
    59103 이현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6 조선후기 禮葬 의례와 그 특징: 賢嬪의 예장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
    유형논문 | 게재일2016
  • 1718년(숙종 44) 昭顯姜氏復位와《昭顯姜氏[愍懷嬪]復位宣諡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정민, 게재일 : 2004
    01462 이정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4 1718년(숙종 44) 昭顯姜氏復位와《昭顯姜氏[愍懷嬪]復位宣諡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1762년(영조 38) 思悼世子의 薨逝와《思悼宮魂宮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경구, 게재일 : 2004
    01322 이경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4 1762년(영조 38) 思悼世子의 薨逝와《思悼宮魂宮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조선후기 綏嬪 朴氏의 喪葬 의례와 성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현진, 게재일 : 2016
    tegory=ResearchPaper&m201_id=10025957&local_id=10055662 조선 왕실의 상장(喪葬) 의례 - 세자・・후궁의 상장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
    유형논문 | 게재일2016
  • 정조대 文孝世子의 喪葬 의례와 그 특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현진, 게재일 : 2012
    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25957&local_id=10055661 조선 왕실의 상장(喪葬) 의례 - 세자・・후궁의 상장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46)

  • / [정치·법제/법제·행정]

    왕세자의 정부인. 조선왕조 초에는 왕비·왕에게는 모두 휘호를 가하여 모비(某妃)·모빈(某嬪)이라고 일컫던 것을 1432년(세종 14)부터는 고제(古制)에 따라 다만 왕비·왕이라고만 일컫게 되었다.

  • 책빈교명 / 王冊嬪敎命 [정치·법제]

    1882년(고종 19) 2월 19일 고종이 인정전에 나아가 왕의 책빈례를 거행할 때에 내린 교명의 초도서(初圖書). 교명은 왕비, 왕세자, 왕세자 빈 등을 책봉할 때 내리는 훈유문서이다.《고종실록》19권에 이 문서와 같은 내용의 기사가 실려 있어 작성된 시기와

  • 옥규 / 玉圭 [정치·법제]

    왕, 왕비, 세자비, 이 대례복을 착용하고 손에 쥐는 것. 옥으로 만든 규의 총칭이다. 왕과 왕세자는 청옥으로 하고, 왕비와 왕은 백옥으로 한다. 신분에 따라 길이와 넓이가 달라 왕과 왕비는 9촌, 왕세자와 빈은 7촌으로 한다. 고려 문종 3년(1059)

  • 죽책 / 竹冊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왕세자와 왕을 책봉하고 존호를 올릴 때 그에 관한 글을 대쪽에 새겨 엮은 문서. 왕세자와 왕을 책봉할 때에는 국왕의 교명과 함께 책인(冊印)을 내려준다. 죽책에 쓴 글을 죽책문이라 하는데, 왕세손을 책봉할 때에도 왕세자의 경우와 같이 죽책이 만들

  • 책빈 / 冊嬪 [정치·법제/법제·행정]

    빈으로 책봉하는 의식. 빈은 임금의 후궁과 세자의 적실을 가리키며, 책빈은 빈으로 삼는 의식을 나타낸다. 의궤에 나오는 책빈은 왕세자와 왕의 혼례 때 나오는 의식이다. 국혼은 사대부가의 여자를 왕비 또는 왕으로 삼는 것이기 때문에 사가의 혼례와 달리 책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