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세손위종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16)
- 세손위종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종래 왕세손이 가지던 의미와는 달리 그 지위와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커지게 되었다. 그에 따라서 『경국대전』에는 규정되어 있지도 않은 왕세손을 위한 배위(陪衛 : 왕세자‧왕세손을 모심.)의 기관으로서의 세손위종사가『대전통편』에 오르게 되었던 것이다. 세...
- 세손위종사(世孫衛從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세손위종사 세손위종사 世孫衛從司 병조(兵曹) 계방(桂坊) 세손(世孫)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세종, 인조, 영조, 순조 오종록 1448년(세종 30) 병조(兵曹) [정의]...상위어병조(兵曹) | 동의어계방(桂坊) | 관련어세손(世孫)
- 우장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세손위종사(世孫衛從司)에 소속된 관직. [내용] 품계는 종6품이다. 좌장사(左長史) 1인과 함께 있었다. 왕세손의 배종호위(陪從扈衛 : 곁에서 호위를 함)를 담당하였다. 입직(入直) 1인이 왕세손을 위한 경서(經書)의 강(講)에...
- 우종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세손위종사(世孫衛從司)에 소속된 관직. [내용] 품계는 종7품이다. 좌종사(左從史) 1인과 함께 있었다. 왕세손의 배종호위(陪從扈衛 : 곁에서 호위함.)를 담당하였다. 입직(入直) 1인이 왕세손을 위한 경서강독(經書講讀)에 참가...
- 종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세손위종사(世孫衛從司)의 종7품 관직. [내용] 정원은 2인이다. 좌우 각 1인씩을 두어 세손의 배위(陪衛)를 담당하였다. 입직 1인이 왕세손을 위한 경서 강독과 질의‧응답에 참석하였다. 1448년(세종 30...
고서·고문서(2)
- 니포(泥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8087 B038087 니포 泥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38年 7月 25日_016 ○兵批, 行判書金聖應進, 參判李泰和入直進, 參議金尙重病, 參知朴昌潤病。 兵批啓曰, 世孫衛從司左長史吳載維, 素患狐疝之症, 漸成痼疾, 委頓床第, 萬無起動供仕之望, 呈狀乞遞, 實病如此,...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翊衛司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nk?DCI=ITKC_MP_0597A_1070_010_0080_2015_024_XML 024 翊衛司。翊衛下大夫一人,司禦上士二人,衛率中士四人,洗馬下士六人。○書吏二人,皁隷十六人。 臣謹案 衛率四人,則其二人副率也。洗馬六人,則其二人侍直也。例見前。 世孫衛從司。長史中士二人,...권차명經世遺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7)
-
세손위종사 / 世孫衛從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세손을 모시고 호위하는 임무를 맡았던 관서. 조선시대에 왕세손을 위한 강학이나 시위를 맡는 기관이 설치된 것은 1448년(세종 30) 세종의 왕세손을 위한 경우와, 1649년(인조 27) 인조의 왕세손을 위한 경우, 그리고 1751년(영조 27) 영조의 왕
-
우장사 / 右長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손위종사에 소속된 관직. 품계는 종6품이다. 좌장사 1인과 함께 있었다. 왕세손의 배종호위를 담당하였다. 입직 1인이 왕세손을 위한 경서의 강에 참석하였다. 1448년(세종 30)에 세손위종사가 세손강서원에서 분리됨에 따라 동반의 다른 관원이 겸직하였으며,
-
좌장사 / 左長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손위종사에 소속된 관직. 품계는 종6품으로 무관직이다. 우장사(右長史)와 함께 왕세손의 배종호위를 담당하였다. 입직 1인이 왕세손을 위한 경서의 강(講)과 질의응답에 참석하였다. 1448년(세종 30) 세손위종사가 세손강서원에서 분리됨에 따라 동반의 다른
-
장사 / 長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세손위종사의 종6품 관직. 정원은 2인이다. 좌·우에 각 1인씩을 두었다. 세손위종사는 1448년(세종 30) 당시 세손이었던 단종의 호위와 시종업무를 위하여 처음 설치되었다. 그 뒤 오랫동안 세손이 책봉된 일이 없어 폐지되었다가, 1751년(영조 27)
-
우종사 / 右從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손위종사에 소속된 관직. 품계는 종7품이다. 좌종사 1인과 함께 있었다. 왕세손의 배종호위를 담당하였다. 입직 1인이 왕세손을 위한 경서강독에 참가하였다. 1448년(세종 30)에 세손위종사가 세손강서원에서 분리됨에 따라 동반의 다른 관직이 겸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