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세마” 에 대한 검색결과 68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52)

사전(34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종5품의 동궁관직. [내용] 1068년(문종 22)에 처음 두어졌으며, 정원은 1인이다. 그 뒤 1098년(숙종 3)에 태자궁료(太子宮僚)를 둘 때에는 설치되지 않았고, 1390년에 춘방원(春坊院)에 정7품, 정원 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정9품 관직. [내용] 정원은 2인이다. 좌우 각 1인이 있었다. 『대전회통(大典會通)』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조선 시대 때 왕세자의 시위(侍衛)를 맡아보던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에 속한 정구품 벼슬. 歲元正出膺啣 仍上直桂坊, 정병조(鄭丙朝), 35-120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정9품 관직. [내용] 좌(左)와 함께 잡직(雜職)을 담당하였다. 왕세자를 배호(陪扈)하면서 사만(仕滿) 900일이 지나면 참상(參上)으로 승급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그러나 처음에는...

고서·고문서(239)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240 附 雜纂集 二 ITKC_MP_0597A_0240_040_004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
    권차명附 雜纂集 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네 동살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05587 창가 챵가집 22032 1915년 2월 6일 발행 1920년 9월 1일 재판 발행 안애리(安愛理) 베어드 선교사 부인 平壤鐘路 耶蘇敎書院, 京城鐘路 朝鮮耶蘇敎書會 배위량(裵緯良) 베어드 선교사 村岡平吉(촌강평길) 겟네 동...
    구분창가 | 편저자안애리(安愛理) 베어드 선교사 부인
  • 禿山城臺略史及重建經緯, 1957년 8월 15일 [“미공개 이승만문서” 정리·분류 및 DB화 사업 | 연세대학교]
    15730 우남C-7-1-0006 禿山城臺略史及重建經緯, 1957년 8월 15일 문서 1957.8.15 禿山城臺古蹟重建委員會 兪喜勳 43 한국어 1948년 이후 사회문화 기타
    자료명禿山城洗馬臺略史及重建經緯, 1957년 8월 15일 | 자료형태문서 | 작성일1957.8.15 | 작성자兪喜勳 | 작성언어한국어
  • 萬物門1_果下馬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果下馬 子美詩: “時鳴金腰褭, 佳人屢出董嬌饒.” 按, 《西域ㆍ烏秅國》“出小步馬”, 孟康曰: “種小, 能步也.” 師古曰: “小, 細也. 細步, 言其能蹀足, 卽今所謂百步千蹄者也.” 彼云“”, 恐是指小步者也. 又“濊國出果下馬, 漢時, 恒獻之, 高三尺, 行於果樹下.”...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四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1532년 김의정(金義貞)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임진년 7월 3일에 아우 뻘인 공직이 이에게 보낸 편지이다. 계절 인사로 안부를 물었다. 늘 그리운 마음으로 지낸다고 하며 받은 시를 보고 상대방에 대한 그리움이 점점 커진다고 했다. 지난 해 가을에 죽은 친구를 생각하니 인생 무상을 느낀다고 했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구술자료(44)

  • 지기 보리를 지게로 진 장사 형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읍리 양성 이씨 집안의 효행담이다. 3년 동안 정성스레 시묘하고 부모의 병"<page id="807"/>세를 대변 맛으로 보았다는 효자 이야기가 끝나자. 청중들은 요즘은 보기 드문 효자라며 입을 모았다.*
    조사일시1984-07-09 | 조사장소전라남도 신안군 팔금면 | 제보자이강철
  • 거짓말 디로 팔자고친 사람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사자에게 “더 하야겠지?”하면서 계속했다. *
    조사일시1980-11-10 | 조사장소충청북도 청주시 사직동 | 제보자유영준
  • 04_230 충남 충청남도 아산시 충청남도 아산시_1.디소리 2.궁글레 1.디소리 2.궁글레 1. 논매기 삼장소리 2. 궁굴레소리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 매곡리1구 (맹골) 1989.8.29 素 89-8-29A 서용원 서용원(1928년생.남. 토민) 이소
    녹음지역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 매곡리1구 (맹골) | 녹음날짜1989.8.29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04_260 충남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남도 예산군_만물소리 만물소리 치소리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 구만리 1989.8.30 素89-8-30②A 최광덕 최광덕(1912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입말형의 두마디소리 멕받형식(선후창) 아- 하, 에헤호, 아, 에이
    녹음지역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 구만리 | 녹음날짜1989.8.30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 회닫이소리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상] (00:28) 2) 회닫이소리-자진소리, \"에이허라 달호\"후렴[선후창: 미상] (07:52) 3) 회닫이소리-치, (15:08) 4) 회닫이소리-\"에이허리 달호\"후렴[선후창: 미상] (17:22): \"세상천지나 만물중에\"로 시작 5) 회닫이소리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영선

기초학문(1)

  • 근세 일본에서 대중관광의 발달과 종교 - ‘이이리(伊勢まいり: 이세신궁참배)’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권숙인, 게재일 : 1997
    08423 권숙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지역종합연구소 1997 근세 일본에서 대중관광의 발달과 종교 - ‘이이리(伊勢まいり: 이세신궁참배)’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
    유형논문 | 게재일1997

신문·잡지(16)

  • 地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부협판 최셕민 탁지협판 류졍슈씨등 인이 됴샤위원을 피임은 디방됴샤를 다시됴뎡랴이라고 작일본보에 긔얏더니 그됴사 디방됴사가 안이오 외국규례를 의방야 각디방셰랍을 됴사랴일인 그셰랍은결셰나 호포젼이 안이오 그디방소산을라 각장시에던지 기타각쳐로 슈츌...
    게재일1906년 11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근일에 졍부에셔 각부 관원에 승등이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근일에 졍부에셔 각부 관원에 승등이며 로 벼 사들을 리력셔를 써오라 엿 로 즁츄원 의관즁 분은 삼품이라 엿 삼품이 모호다고  김씨 분은 고 참봉엿다 셰마나 참봉 사은 얼골을 몰으드도 엇던 사인쥴은 알터인 소위 김씨에 ...
    게재일1899년 2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가톨릭청년_1959_13_0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니의 밤 최민순 42 사랑의 불 하한주 47 사도의 문 김남조 50 시단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9
  • 실업과생활_1967_05_1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혁신과 반발과 질투에 얽힌 나 수강 샐러리맨 62 맥스 훽타의 상법 68 표지의 인물 70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7
  • 서나 앉으나 만리경이라 김만점 구술, 진승기 정리 50 거짓말 디 김민호 구술, 김광철 정리 51 고독감을 없애려면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7

멀티미디어(1)

기타자료(8)

  • 오산 독산성‧대지 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j3-0058 유구 2013-03-05_0.1003687_경기문화재연구원_오산 독산성‧대지 시굴조사보고서_표지.jpg 오산 독산성‧대지 시굴조사보고서 2001 오산시/기전문화재연구원 208 김성태,김아관,이창원 원고:김성태,김...
    발행연도2001 | 발굴기관오산시/기전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기도
  • 발해 입조사 고정사를 태자 로 삼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발해 입조사 고정사를 태자 로 삼다. 교류담당 928년(戊子/신라 경순왕 2/후백제 견훤 29/고려 태조 11, 天授 11/後唐 天成 3/日本 延長 6)...
    대표표제어발해 입조사 고정사를 태자 세마로 삼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928년(戊子/신라 경순왕 2/후백제 견훤 29/고려 태조 11, 天授 11/後唐 天成 3/日本 延長 6)
  • 발해 입조사 고정사를 태자선마로 삼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6) 발해 후당→발해 【번역】 (후당 명종 천성 4년) 7월 을유(乙酉:18)에 발해국의 전입조사(前入朝使) 고정사(高正詞)를 태자선마(太子)로 삼았다. (『册府元龜』 976 外臣部 21 褒異 3) 【번역】 (천성) 4년 7월에 정사(正詞)를 태자선마(太...
    대표표제어발해 입조사 고정사를 태자선마로 삼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928년(戊子/신라 경순왕 2/후백제 견훤 37/고려 태조 天授 11/後唐 明宗 天成 3/日本 醍醐天皇 延長 6)
  • 신라가 보낸 진조를 일본이 공상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4월 경오 초하루 무자일(19)에 신라가 바친 조(調)를 츠쿠시(筑紫)에서 올려 보냈는데, () 1마리, 노새 1마리, 개 2마리, 조각한 금 그릇과 금·은, 하금(霞錦)·능라(綾羅), 호랑이와 표범 가죽, 약 등 100여 종이었다. 또 신라 사신 지상(智祥)과...
    대표표제어신라가 보낸 진조를 일본이 공상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86년(丙戌/신라 신문왕 6/唐 垂拱 2/倭 天武 15, 朱鳥 1)
  • 신라가 보낸 조(調)를 일본이 공상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筑紫) 츠쿠시(筑紫) : 현재의 큐수 북부의 후쿠오카현 일대에 해당하며, 고대 일본에 외국 사신이 바다를 건너 처음으로 내착한 곳이다. 에서 올려 보냈는데, () 1마리, 노새 1마리, 개 2마리, 조각한 금 그릇과 금·은, 하금(霞錦) 하금(霞錦) : 일본에...
    대표표제어신라가 보낸 조(調)를 일본이 공상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86년(丙戌/신라 신문왕 6/唐 垂拱 2/倭 天武 15, 朱鳥 1)

주제어사전(31)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종5품의 동궁관직. 1068년(문종 22)에 처음 두어졌으며, 정원은 1인이다. 그 뒤 1098년(숙종 3)에 태자궁료를 둘 때에는 설치되지 않았고, 1390년에 춘방원에 정7품, 정원 1인의 관직으로 다시 두어졌다.

  • / 左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정9품 관직. 우(右)와 함께 잡직을 담당하였다. 왕세자를 배종보위하면서 900일을 근무하여야만 참상인 6품으로 승급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그러나 처음에는 재임연한에 따른 승급기간이 없어서 폐단이 되자, 이에 1년을 지낸 뒤 시직

  • 효력부위 / 効力副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직으로는 ()·사용(司勇)·수문장 등이 있다.

  • 견마꾼 / 牽馬─ [사회/사회구조]

    출입을 할 때에는 반드시 과하마(果下馬)라도 타고 다녀야 체면치레가 되었다. 과하마를 탈지언정, 또한 반드시 따라야 하는 것이 견마꾼이어서 편발의 동자라도 견마를 잡히었다. 그러나 원행을 해야 할 때에는 마방에서 ()를 이용하는 예가 많아서 를 낼 경우 말과

  • 김근행 / 金謹行 [종교·철학/유학]

    1712(숙종 38)∼?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성균관 진사 시서, 어머니는 은진송씨로 비안현감 이석의 딸이다. 강규환의 문인이다. 세자익위사 , 사어, 김포군수, 인천부사를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용재문집』15권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