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세골장” 에 대한 검색결과 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

사전(2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등 다양하게 불리고 있다. 이와 같은 은 민속학적으로 볼 때, 농경문화 복합현상의 하나로서, 현재 남아 있는 진오기굿이나 씻김굿은 이와 관련된 의식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고고학적인 자료는 우리 나라의 땅이 산성인 관계로 실제의 유골이 나타나지 않아서...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시신을 상당 기간 동안 보존한 후 남은 뼈만 씻어서 다시 장사지내는 장법
    정의시신을 상당 기간 동안 보존한 후 남은 뼈만 씻어서 다시 장사지내는 장법 | 문광부표기segoljang | MR표기segolch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울진후포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유물들은 강원도 춘천시 교동(校洞)동굴유적에서 발견된 것과 유사하여 이 매장유적의 연대는 대개 신석기시대 말기로 추정된다. 이와 같이, ()이 행하여졌던 집단매장유적은 우리나라 신석기시대에 속하는 다른 유적에서 발견례가 없는 매우 희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장성쌍웅리지석묘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없이 석관만 발견되는 예는 춘천 대곡리1호, 제천 황석리 2호, 진양 어은리 2호 고인돌 주변에서 발견되는 점 등으로 미루어볼 때 그러하다. 피장자의 매장방법은 형태가 신전장(伸展葬)과 함께 측와굴장(側臥屈葬)이다. 2차장인 제(制)가 함께 성행한 증...
  • 화순월산리지석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되었다. 형식은 바닥에 수매의 판석을 깔고 할석으로 벽을 쌓아서 석실을 만든 뒤 그 위에 커다란 상석을 덮은 개석식(蓋石式)이다. 매장한 방법은 제1호분은 , 제2호분은 신전장(伸展葬)이다. 머리방향은 동서장축형 또는 남북장축형이다. 출토유물 가운데 주목되...

기초학문(1)

  • 오키나와의 문화적 정체성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창민, 게재일 : 2015
    64559 김창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5 오키나와의 문화적 정체성과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15

기타자료(3)

  • 형태의 시설을 만든 다음 시설 내부에 매납하는 형태가 있고, 두 번째로 소형의 석곽 형태로, 어린아이의 무덤으로 보아야 될지 아님 의 분묘로 보아야 될지는 확실치 않지만, 직경 50㎝ 내외의 크기로 바닥에 전면 시상석이 깔리는 형태가 확인된다. 후자의 형태는 화장...
    발행연도2004 | 발굴기관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박물관 | 발굴지역경상북도
  • 제천 하소동 아파트 신축부지내 제천 하소동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후대의 분묘 조성과 자연경사로 인해 삭평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태가 비교적 양호하다. 이중 묘광의 길이가 160cm이하인 것은 관을 사용하지 않고 규모가 작은 것으로 보아 유아장 또는 으로 판단된다. 추정사직단지는 사직단과 연결되는 계단이나 부속건물이 확인되지는...
    발행연도2007 | 발굴기관중앙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충청북도
  • 와편만 출토되었고 이 유구가 있는 곳이 중심부에 해당하며 건물의 방향이 남향을 하고 있어 그 축조시기를 도선국사 부도가 조성될 때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추정이 옳다면 이 석곽과 석관은 2차장, 즉 의 장법에 의하여 묻힌 유구로서 불교장법 가운데 새로운 형식의 장...
    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광양시/순천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전라남도

주제어사전(4)

  • / [역사/선사시대사]

    (複葬)’·‘구토롱’ 등 다양하게 불리고 있다. 이와 같은 은 민속학적으로 볼 때, 농경문화 복합현상의 하나로서, 현재 남아 있는 진오기굿이나 씻김굿은 이와 관련된 의식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고고학적인 자료는 우리나라의 땅이 산성인 관계로 실제의 유골이 나타나

  • 나주보산동지석묘 / 羅州寶山洞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의 북쪽 끝 굄돌 밑에는 길이 1m, 너비 40㎝의 매장용 소형 돌널이 축조되어 있었다. 이 돌널은 크기로 볼 때 성인을 한 것이거나 어린애를 묻은 것으로 생각된다. 만약 후자의 경우라면 이를 통해 어린애도 어른과 마찬가지로 계급과 신분을 향유했던 것으로 생각되어

  • 화순월산리지석묘 / 和順月山里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은 개석식(蓋石式)이다. 매장한 방법은 제1호분은 , 제2호분은 신전장(伸展葬)이다. 머리방향은 동서장축형 또는 남북장축형이다. 출토유물 가운데 주목되는 것은 2호분에서 나온 끌·석도(石刀)·돌도끼편 등이다.

  • 굽혀묻기 / [역사/선사시대사]

    이 그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토양이 산성인 관계로 시체가 쉽게 부식되기 때문에 굽혀묻기에 대한 확실한 흔적은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대구 진천동, 진양 대평리 등 고인돌과 소규모 돌널무덤일 경우는 굴장일 가능성도 있다. 왜냐하면, 돌널의 크기로 보아 이나 두벌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