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성해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
사전(29)
- 성해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996) 成海應의 經學思想에 관한 考察(徐坰遙, 大東文化硏究 15, 1982) 성해응(1760-1839) 필적 1760(영조 36)-1839(헌종 5). 조선 후기의 학자, 문신. 글씨는 ≪근묵≫에...이칭별칭 용여(龍汝)| 연경재(硏經齋)
- 일민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성해응(成海應)이 쓴 일민(逸民)들의 전기. [내용] 1권 1책. 필사본. 조선초부터 숙종 때까지의 학문과 덕행이 있으면서도 세상에 나서서 벼슬하지 않고 초야에 파묻혀 지낸 사람들의 전기를 쓴 책. 필사본....
- 서이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柳得恭) 등과 함께 정조의 특명으로 규장각검서관(奎章閣檢書官)에 임명되었고, 승문원이문학관(承文院吏文學官)을 겸임하였다. 당시 이 네 사람은 4검서로 유명하였다. 1788년에 검서관 취재(取才)가 있었는데, 이때 진사 성해응(成海應)과 지난해 합격자 이공무(李功...이칭별칭 이중(而仲)
- 다고비첩(多胡碑帖)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특별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성해응(成海應)의 『연경재전집속집(硏經齋全集續集)』16 서화잡지(書畵雜識)에 「제다호비후(題多胡碑後)」라는 제후(題後)가 수록되어 있는데 처음 문장을 보면 “다호비가 일본에서 나왔는데 돌아가신 부친의 문집 속에 모두 수록되어 있다. 글자...유형분류유물
- 생우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걱정을 덞. 家眷.無事 是可謂省憂耶, 성해응(成海應), 25-54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5)
- 성해응이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何足 掛念, 而關節甚多, 故方欲 祛此等之習, 是公之見拔, 亦緣此也, 孤負勤托, 慚愧無已, 後當 延答之地, 此事寧可忘耶, 公山試圍, 榜眼或可下送否, 萬萬不備禮, 壬戌九月初五日, 成海應再拜。 公州李源順, 果見 參否。秋氣猝寒、伏惟 體候萬安、試役當已了분야문학 | 유형문헌
- 1824년 봉송운석조시랑출위영변부백서(奉送雲石趙侍郞出爲寧邊府伯序)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서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서
- 동국명산기(東國名山記)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지리-지지 | 형식분류고서-지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載允, 生員鄭淞·鄭昌耆, 進士趙鍾永, 幼學李鍾翼, 京畿三下進士成海應, 幼學李命錫·洪秉喆·宋禧永, 華城府三下幼學李心會·金魯文·李文在, 開城府三下進士韓敬素, 廣州府三下幼學李仁謙·李惠默, 江華府三下幼學洪秉恒·沈昌賢, 江原道三下進士權漢玉, 幼學李相延·元有永, 黃海道三下幼學鄭德...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조선시대 한글편지:1760~1812년 성대중이 아내와 자녀에게 보낸 편지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알 수 없다. 성대중의 생몰년은 1732년부터 1812년까지인데, 아들에게 쓴 한문편지가 있는 것으로 보아 아들 성해응(1760~1839)이 출생한 이후인 1760년부터 성대중이 죽은 1812년까지로 시기를 좁혀 추정하였다. 부인 전주이씨와 어린 자녀에게 각각 따로 편...발신자성대중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팀(연구책임자:황문환 교수)
기초학문(2)
- 硏經齋 成海應의 書畵趣味와 書畵觀 연구 - 「書畵雜識」를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정애, 게재일 : 201242925 박정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진단학회 2012 硏經齋 成海應의 書畵趣味와 書畵觀 연구 - 「書畵雜識」를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유형논문 | 게재일2012
- 18~19세기 초반 문인들의 서화감상과 비평에 관한 연구 -成海應의 「書畵雜誌」와 南公轍의 「書畵跋尾」를 中心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손혜리, 게재일 : 200826417 손혜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우리한문학회 2008 18~19세기 초반 문인들의 서화감상과 비평에 관한 연구 -成海應의 「書畵雜誌」와 南公轍의 「書畵跋尾」를 中心으로유형논문 | 게재일2008
주제어사전(2)
-
성해응 / 成海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문신(1760∼1839). 1783년(정조 7)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788년 규장각 검서관으로 임명되었다. 뒤에 내각에 있으면서 북학파 인사들과 교유하였으며 각종 서적을 두루 섭렵하였다. 관직은 금정찰방·음성현감 등을 지냈다. 문집으로《연경재전집
-
동국명산기 / 東國名山記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실학자 성해응이 전국의 명승지에 대하여 정조 연간에 편찬한 지리서. 1책 66장. 사본. 이 책은 전국을 경도(京都)·기로(畿路)·해서(海西)·관서·호중(湖中)·호남·영남·관동·관북 등 9구역으로 구분하여 내용을 엮었다. 경도산수편(京都山水篇)에는 인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