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성학집요”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9)
사전(65)
- 성학집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575년(선조 8)에 이이(李珥)가 제왕(帝王)의 학(學)을 위해 선조에게 지어 바친 책. 이재(李縡)와 이진오(李鎭五)가 1742년에 편집하고 1749년에 간행한 ≪율곡전서≫ 권19∼26에 수록되어 있다. ≪성학집요≫ 1은 진차(進箚)‧서(序)‧범례‧목록도...
- 성학집요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575년(선조 8)에 이이가 제왕의 배움을 위해 선조에게 지어 바친 책정의1575년(선조 8)에 이이가 제왕의 배움을 위해 선조에게 지어 바친 책 | 문광부표기Seonghak jibyo | MR표기Sŏnghak chiby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성학집요(聖學輯要)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성학집요 성학집요 聖學輯要 유학서 한문 한국 조선 선조 성낙수 박종국 2015 이이(李珥) 1575년 13권 7책 무신자본(戊申字本) 규장각 [정의] ...
- 성학집요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이이(李珥)의 『성학집요』를 그 절목에 따라 4, 5구 또는 6구의 변려체(騈驪體)로 찬을 붙인 책. [내용] 1책(14장). 필사본. 일명 『성학집요삼십삼찬(聖學輯要三十三贊)』으로 불린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규장각도서해제』...이칭별칭성학집요삼십삼찬(聖學輯要三十三贊)
- 홍의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울여 행서(行書)와 초서에 뛰어났다. 여러 화사(畫師)들과 교유하여 좋은 그림에 제(題)를 쓴 것이 매우 많았다. 저서에는 『북관기사(北關記事)』‧『성학집요33찬(聖學輯要三十三贊)』이 있다. 『국조방목(國朝榜目)』이칭별칭 정칙(正則)| 간재(艮齋)
고서·고문서(73)
- 성학집요(聖學輯要)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聖學輯要序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十九 聖學輯要【一】 5 聖學輯要序 19_036_013.jpg 序 序: 영조본에는 이 앞에 “御製聖學輯要序”와 “御製聖學輯要小識”가 있음. 臣 臣: 인조본, 숙종본, 영조본에는 작은 글씨로 기록됨.按道妙無形, 文以形道。 四書六經旣明且備, 因文求道...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聖學輯要 凡例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十九 聖學輯要【一】 5 聖學輯要 凡例 19_036_020.jpg 凡 凡: 인조본은 이 앞에 “聖學輯要”가 있음. 숙종본은 이 앞에 목록도가 있음. 영조본은 이 앞에 목록과 목록도가 있으며 凡字 앞에 “聖學輯要”가 있음.例 一, 先擧撮要之言爲章【卽大...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聖學輯要目錄圖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十九 聖學輯要【一】 5 聖學輯要目錄圖 19_036_022.jpg 目 目: 인조본은 이 앞에 목록이 있고 目字 앞에 “聖學輯要”가 있음. 숙종본은 이 앞에 목록이 있음.錄圖 目錄圖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進聖學輯要箚【見本編】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六 疏箚 四 8 進聖學輯要箚【見本編】 06_065_013.jpg 進聖學輯要箚 箚 : 중규1에는 뒤에 “乙亥七月”. 【見本編】 進聖學輯要箚 ▶1575년(乙亥, 선조 8, 40세) 9월 27일, 서울. * 資料考: 초국1․중1․중2 권4 01箚-10...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기초학문(1)
- 退溪와 栗谷의 工夫論 比較硏究 : [聖學十圖]와 [聖學輯要]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350072 한국연구재단 2003 退溪와 栗谷의 工夫論 比較硏究 : [聖學十圖]와 [聖學輯要]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유형논문 | 게재일2003
주제어사전(3)
-
성학집요 / 聖學輯要 [종교·철학/유학]
이이가 <대학>을 성리학의 입장에서 풀이한 책. 그는 <대학>의 본뜻을 좇아 <사서오경> 및 성현의 말을 표출하고 여기에 선현과 자신의 주석을 덧붙였다. 13권 7책으로 되어 있다. 편찬동기는 임금의 학문과 치도를 돕기 위해 학문의 요령을 앋을 수 있는 자료로 편찬하는
-
이상정 / 李象靖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11∼1781). 경학에 통달하고 문장·율려 등 제도문물에 밝았다. 연일현감을 사직하고 안동에서 퇴계 학통을 이은 학술 강론으로 많은 학자들을 배출했다. 저서로는《독성학집요》·《퇴도서절요》·《약중편》 등이 있다.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
강연설화 / 講筵說話 [역사/조선시대사]
요(聖學輯要)』 등이었으며, 별강(別講)에서는 일상적인 국사 등이 다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