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성팽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4)
- 성팽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40(중종 35)∼1594(선조 27).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이옹(頤翁), 호는 석곡(石谷). 안음(安陰) 출신. 아버지는 교위(校尉) 한량(漢良)이다. 1564년(명종 19) 사마시에 합격하여 성균...이칭별칭 이옹(?翁)| 석곡(石谷)
- 구연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그 뒤 성팽년(成彭年)과 1808년에 신수이(愼守彛)를 추가 배향하여, 선현 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다.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어 아직 복원되지 않고 있으며, 서원 터에 사적비와 신권을 위한 산고수장비(山高水長碑)만 남아 있다. ...
- 석곡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ㆍ의병장 성팽년(成彭年)의 시문집. [내용] 2권 2책. 목활자본. 1804년(순조 4)에 구연서원(龜淵書院)에서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의조(李宜朝)의 서문, 권말에 윤수정(尹守正)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으며...
- 갈천서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자들을 양성한 곳이다. 임영이 요절하자 폐지되었다. 그 후 갈계동에 갈천서당이 건립되었다. 이 때 옥계(玉溪) 노진(盧禛)이 도내 유생과 함께 건립하였으나 임란으로 소실되었다. 다시 석곡(石谷) 성팽년(成彭年)과 역양(嶧陽) 정유명(鄭惟明)의 주도하에 갈천의 서...연계항목갈천서당(葛川書堂)
고서·고문서(2)
- 석곡선생문집(石谷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강재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다. 全州 南門 밖 鉢山의 남쪽 玉流洞에 있으며, 최담은 崔德之(1384∼1455)의 아버지이다. 龜淵書院事蹟碑 (10) 龜淵書院의 事蹟碑이다. 安義縣 북쪽 猿鶴洞에 위치하고 있으며, 愼權․成彭年(1540∼1594)․愼守彝를 배향하고 있다는 것 등의 사적을 기록하고...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3)
-
성팽년 / 成彭年 [종교·철학/유학]
1540(중종 35)∼1594(선조 27).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한량이다. 1564년(명종 19) 사마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유생으로 있었다. 그러던중 1569년(선조 2) 아버지가 죽자 학업을 그만두고 오직 어머니에게 효성을 다하였다. 저서로는 문집인『석곡집』이
-
구연서원 / 龜淵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대정리에 있었던 서원. 1694년(숙종 20)에 지방유림이 신권(愼權)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신권이 제자를 가르치던 구주서당(龜州書堂) 자리에 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성팽년(成彭年)과 1808년에 신수이(愼守彛)를
-
신권 / 愼權 [종교·철학/유학]
1501년(연산군 7)∼1573년(선조 6) 12월 23일. 선교랑 훈도를 지냈다. 아내는 임득번의 딸이다. 구암 이정, 갈천 임훈과 여러 날 학문을 강마하다가 더러는 시를 주고 받기도 하였다. 인조 연간에 후손 신경직이 성팽년의 후손 성경창 등과 함께, 신권이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