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성중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별시위
연구성과물(49)
사전(40)
- 성중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및 조선시대 왕의 시종과 궁궐의 숙위를 담당하거나 각 관사(官司)에 속해 장관을 시종하던 관인층. [내용} 원래 성중관은 『고려사』 선거지(選擧志)에는 설치된 시기를 알 수 없다고 하였다. 그러나 대체로 고려 중기경부터 그 명칭이이칭별칭성중애마|성중아막
- 성중관(成衆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성중관 성중관 成衆官 근시사위(近侍四衛), 사막(司幕), 사순(司楯), 사옹(司饔), 사의(司衣), 사이(司彞), 충용사위(忠勇四衛) 성중아막(成衆阿幕), 성중애마(成衆愛馬) 금군(禁軍), 다방좌우번(茶房左右番), 사문(司門) 정치...하위어근시사위(近侍四衛), 사막(司幕), 사순(司楯), 사옹(司饔), 사의(司衣), 사이(司彞), 충용사위(忠勇四衛) | 동의어성중아막(成衆阿幕), 성중애마(成衆愛馬) | 관련어금군(禁軍), 다방좌우번(茶房左右番), 사문(司門)
- 軍役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F3_D_0056 軍役 조세 規避, 麗制, 成衆官, 內侍, 茶房, 㱕鄕里, 徭役 禁闥 百官志 D_20_01_124 대동운부군옥 20권 1장 124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1장 12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司盾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D_0217 司盾 관직 麗制, 成衆官, 司彝, 上書, 備廵衛 趙浚 本史 D_10_05_38 대동운부군옥 10권 5장 38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5장 3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석파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부암동에 있는 조선 말기의 건물. [내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6호.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이하응(李昰應)의 별서(別墅)로서 안태각(安泰閣)‧낙안당(樂安堂)‧망원정(望遠亭)‧유수성중관풍루(流水聲中觀風...연계항목석파정(石坡亭)
고서·고문서(9)
- 대저도(大楮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出之後, 都司李馬骨馳入本城, 㺚兵不意追至, 毛兵盡被殺戮, 城中官舍, 竝皆焚燒云。”출처전거仁祖實錄 | 지역분류부산광역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성(江華城)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燕行時, 見長城及山海關矣。 山海關, 卽明朝徐達所築, 以屬于長城者, 而登望海亭, 察其形勢, 則入海沮洳處, 皆築鐵爲基, 而關門爲三重, 如是以後, 可以禦賊矣。 以一面城禦賊者, 臣未之聞也。 江華城, 臣嘗笑之, 旣有走路, 則敵來, 安有不走之理乎? 山海之鐵城重關, 尙不能禦虜騎,...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녹동(鹿洞)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耶 ○申纘新鄕校移創記文廟舊在州之城中觀德亭下一里許地而嘉靖十三年甲午沈相公連源出刺是州越三年丙申以明倫堂建久將圮因其舊基撤而改構又爲手記其事以備後觀今以其記而究其當時齋舍之多寡施設之規制則班班可稽也然旣移舊校之後只傳沈公之序而尙欠移創之記 ...출처전거耽羅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八里鋪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壽 사회 監軍御史方震孺備陳東行聞見言本月初九日伶仃東行過八里舖副使張應吾踉蹌一騎來見是夜同坐敗垣中達旦次日寧前舊將倪承勳亦以數騎相從至中前所有西虜二十騎見臣遯去城中官舍無恙又三日至芝蔴灣見未狼藉急諭守関軍士各給一月粮聽其自取又三日問前屯路據哨役称城中有虜三百人搬粮糧握鐵比至不過數虜亦皆...출처전거『明實錄』 熹宗哲皇帝實錄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沙河所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月尚未給領安得不飢不死即纔赴教塲之兵亦在走差之中職所親見不覺為之咽哽伏乞敕議各城戰守正兵外每處另設聽差兵一百名馬五十匹專供差遣員役之用不許仍前勒撥戰守兵馬以致疲于奔𠇮如此庶可以優飬士馬又免于藉口公差使賫扣剋之弊一曰議聚義民関外以至寧遠延袤二百餘里止有前屯衛中前後沙河所四城可堪保障而城中官舍軍民雜處...출처전거『明實錄』 附錄 明熹宗七年都察院實錄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주제어사전(3)
-
성중관 / 成衆官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및 조선시대 왕의 시종과 궁궐의 숙위를 담당하거나 각 관사에 속해 장관을 시종하던 관인층. 대체로 고려 중기경부터 그 명칭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 성중관을 형성하는 관인층은 고려시대에는 내시·다방·사순·사의·사막·사옹 등 궁내직, 따라서 국왕을 시종하고 궁궐을
-
석파정 / 石坡亭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종로구 부암동에 있는 조선 말기의 건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6호.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별서로서 안태각, 낙안당, 망원정, 유수성중관풍루 등 8채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사랑채인 대원군별장은 1958년 종로구 홍지동으로 옮겨져 따로 서울특별시유형문화
-
별시위 / 別侍衛 [정치·법제/국방]
조선 전기의 군제인 오위 중 좌위에 속했던 군대조직. 1400년(태종 즉위년)에 고려 말 이래의 성중관을 폐지하는 대신 설치한 국왕의 친병이었다가 뒤에 위병으로 바뀌었다. 정원은 1419년(세종 1)의 200인에서 1458년(세조 4)에는 5,000인으로 늘어났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