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성주민란” 에 대한 검색결과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172년(명종 2) 지방관의 탐학에 시달리던 성주(成州 : 평안남도 성천) 주민들이 일으킨 민란. [내용] 1170년(의종 24)에 정중부(鄭仲夫) 등에 의해 무신정권이 성립되면서 신분질서의 해이와 하극상의 풍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62년(철종13) 3월 26일과 4월 12일 두 차례에 걸쳐 경상도 성주에서 일어난 농민운동. [내용] 삼정(三政:田政‧軍政‧還穀)의 교혁(矯革)을 주장하고 봉기한 농민군은 1차봉기 때는 수만 명이 읍내에 난입하여 관리의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83년(고종 20) 경상도 성주에서 일어난 민란. [내용] 민란이 발생한 시기와 원인은 정확하지 않으나 경상감사 조강하(趙康夏)의 장계에 의하면, 시기는 8월 초 이전이며 결가(結價)를 바르게 정하지 않은 것이 ...
  • 조병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민란과 의 안핵사(按覈使)를 겸임, 민란을 진압, 처리하였다. 1884년 갑신정변 후 사대당(事大黨) 중심의 정부조직 때에는 독판교섭통상사무(督辦交涉通商事務)에 특탁(特擢)되어 일본에 망명중인 김옥균(金玉均)‧박영효(朴泳孝) 등의 소환을 일본정부에 요구하는 등...
    이칭별칭 덕경(德卿)| 문헌(文獻)

고서·고문서(1)

  • 1862년 성주(星州) 대소민인(大小民人) 등장(等狀)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요구대로 영구히 준행될 것이라고 하였지만, 결가(結價)를 바르게 정하지 않은 폐단은 다시 누적되어 성주에서는 결국 1883년에 민란이 발생한다.[]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주제어사전(2)

  • / [역사/근대사]

    1862년 3월 26일과 4월 12일 두 차례에 걸쳐 경상도 성주에서 일어난 농민운동. 농민군은 1차봉기 때는 수만 명이 읍내에 난입하여 관리의 가옥을 파괴한 것이 32호, 재산을 분탕한 것이 30여 호에 이르렀으며, 2차봉기 때는 읍외의 명암장터에 모여 지탄받던 민가

  • 조병호 / 趙秉鎬 [정치·법제/정치]

    조사시찰단 참가. 외교관(1847∼1910). 동부승지·성균관대사성·이조참의를 거쳐 1881년 수신사로 일본에 가서 관세문제를 논의하고 돌아왔다. 임오군란 당시에는 일본공사를 피신시켰고, 청군을 안내하였다. 1883년 동래민란과 을 진압하였다. 갑신정변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