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성제원” 에 대한 검색결과 5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8)

사전(35)

  • 동주일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전기의 학자 ()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06년 의 후손 성기운(成璣運)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송병선(宋秉璿)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송병준(宋秉俊)과 성기운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
  • 향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 1584년(선조 17) 보은군의 주민들이 그 고을 현감을 지내면서 선정을 베풀어 군민을 은휼한 ()의 음덕을 기리기 위하여 보은에 향사를 세운 것이 우리나라 향사의 효시가 되었다. 그 뒤 1675∼1800년(숙종 1...
  • TD_L7_D_0237 남자 校理, 放浪, 詩酒, 草廬, 饘粥, 蕭然, 遺世, 出塵, 遺逸 己卯, 中廟壬子 昌寧, 報恩 子敬, 聃年, 東洲, 笑仙 D_07_01_101 대동운부군옥 7권 1장 101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7권 1장 10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행정가관료/문신, 교육·언론인/유일 인물 한국 조선 명종 이기순 이범직 2008 자경(子敬) 동주(東洲), 동주소선(東洲笑仙) ...
  • 정지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구원지(具元之)의 딸이다. [내용] 일찍이 이중호(李仲虎)로부터 학문을 배워 그 문하에서는 가장 명망이 높았으며, 뒤에 이황(李滉)ㆍ서경덕(徐敬德)ㆍ()의 문하에 출입하여 많은 영향을 받았다. 1549년(명종 4) 사마양시에 모두 합격한 뒤...
    이칭별칭 연지(衍之)| 남봉(南峰)

고서·고문서(13)

  • 동주선생일고(東洲先生逸稿)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星州 晴川書院에서 臨皐書院으로 보낸 통문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尙難支堪況此實枚之規何等宏大權 宜之奉何許之節有非一鄕擅便之事玆因本 院文會以明正月十八日更定道會于仁同崑 山書院伏願道內老濟濟來臨合席 爛商克完大事幸甚 有司主宅 臨皐書院 정세아 종가 한국국학진흥원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八月 削尹元衡官爵 放歸田里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妄作。 但居官稍廉, 故聚怨亦輕, 只罷其職 職: 전홍, 전순 및 외연 두주에 “此下一本有一段. 元本以墨圈之”. 。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유금강산기(遊金剛山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유금강산기(遊金剛山記) () 遊金剛山記 嘉靖十年辛卯, 余隨外舅往金化縣. 是年, 五月八日. 自金化縣發, 途宿金城縣. 九日. 至兜坡院. 十日. 行到斷髮嶺. 石路盤曲, 如往復者十許里. 登嶺頭, 倚樹東而望之, 所謂金剛山者, 雄亘一面, 峻極于天. 僧家謂,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성제원(成悌元)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 馬韓考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之灾,不仁也。’ 不從。乃遣使吊慰。” ○鏞案 赫居世初年不過是斯盧國之酋長。及其晩年,已爲辰韓之總王。故聘吊,皆得主之也。 後十年,百濟王獻鹿于馬韓。○後三年,百濟遷都漢南,告于馬韓。○後五年,百濟王獻俘于馬韓。 〈百濟史〉云:“溫祚王十年 【漢延四年】秋,王出獵,獲神鹿,以送馬韓。” ○“...
    권차명我邦疆域考 其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유학]

    1506년(중종 1)∼1559년(명종 14). 조선 전기의 문신. 부원군 성여완의 고손, 부친은 성몽선, 모친은 평양조씨이다. 유우의 문하에서 수학, 과거공부 보다는 고도에 힘썼다. 산경‧지지‧의학‧복술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1553년(명종 8) 6품관에 제수되었다가

  • 보은 상현서원 / 報恩象賢書院 [교육/교육]

    충청북도 보은군 장안면 서원리에 있는 서원. 1549년(명종 4) ()을 중심으로 한 지방유림의 공의로 삼년성(三年城) 안에 서원을 창건하여 김정(金淨)을 봉안하고 삼년성서원이라 하였다. 1610년(광해군 2) ‘象賢(상현)’이라고 사액되었으며, 1672년

  • 금화서원 / 金華書院 [교육/교육]

    충청북도 보은군 삼승면 선곡리에 있는 서원. 1758년에 지방유생 강재문(姜在文) 외 105인이 발기하여 최운(崔澐)·성운(成運)·조식(曺植)·()·최흥림(崔興霖)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 송응상 / 宋應祥 [종교·철학/유학]

    1524년(중종 19)∼1586년(선조 19). 쌍청당 5대손, 송세영의 맏아들로 1524년(중종 19) 3월 3일 대전 동구 송촌에서 태어났다. 타고난 성품이 영오하고 학문을 좋아하여 그 아우인 송응서와 함께 동주 의 문하에서 공부하여 크게 이루었다. 광해 조

  • 대곡집 / 大谷集 [종교·철학/유학]

    人)」과 보은현감으로 재직 중이던 의 학문과 행실을 칭송하며 지은 「상읍재성동주(上邑宰成東洲)」의 오언(五言) 장편시 2수와 잡저가 수록되어 있다. 하권에는 김벽(金碧)의 아내에 대해 지은 「유씨묘갈(柳氏墓碣)」, 친구인 조식에 대해 지은 「남명선생묘갈(南溟先生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