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성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4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금난전권
연구성과물(930)
사전(158)
- 성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도성을 축조하였다. 이 도성의 바깥쪽에서부터 10리까지를 서울의 관할 구역으로 하고 이곳을 성저 10리라고 하였다. 조선 초기에 서울은 오부(五部)와 성저 10리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모두 한성부(漢城府)의 관할에 속하였다. 성저 10리의 경계는 동쪽으로 양주의...
- 성저십리(城底十里)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성저십리 성저십리 城底十里 도성(都城), 오부(五部), 한성부(漢城府) 정치행정/행정구획 집단 기구 서울 조선시대 조선시대 이상배 [정의] 조선시대 서울 도성 밖 10여 리...관련어도성(都城), 오부(五部), 한성부(漢城府)
- 성저야인(城底野人)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성저야인 성저야인 城底野人 야인(野人) 번리(藩籬), 번호(藩胡), 오진(五鎭), 육진(六鎭), 여진(女直), 두만강(豆滿江) 정치외교/외교사안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전기 조선전기 계승범 ...상위어야인(野人) | 관련어번리(藩籬), 번호(藩胡), 오진(五鎭), 육진(六鎭), 여진(女直), 두만강(豆滿江)
- 김일성저작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94년 7월 8일 김일성 사망까지를 다룬 책이 44권(1992년 12월 14일부터 1994년 7월 6일까지 포괄)으로 1996년에 출간되었다. [내용] 『김일성저작집』에는 ‘해방자로서의 소련’에 관한 문구를 모두 삭제하고 김일성의 식민지기 항일투쟁...
- 현의온(玄義溫)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9154 인물 현의온(玄義溫) 현의온 玄義溫 1765 ? 조선 후기의 역관. 본관은 천녕(川寧). 자는 성저(聖著). 1798년 34세 때 무오 식년시(式年試) 역과에 합격하였고, 왜학(倭學)을 전공하여 사역원 교...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728)
- 騎省作【乙卯二月十九日,以兵曹參議入直】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20 詩集 卷二 ITKC_MP_0597A_0020_010_0720 騎省作【乙卯二月十九日,以兵曹參議入直】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권차명詩集 卷二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九月十六日,攜兩少年,【金世俊ㆍ黃裳】 游淨水寺,過南城作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50 詩集 卷五 ITKC_MP_0597A_0050_010_0320 九月十六日,攜兩少年,【金世俊ㆍ黃裳】 游淨水寺,過南城作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권차명詩集 卷五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고려도경_王城諸門 大率草創 唯宣義門 以使者出入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5371 중국 정서 고려도경 外門 038 인종(仁宗) 1 1123 王城諸門 大率草創 唯宣義門 以使者出入之所 北昌門 爲使者回程祠廟之路 故極加嚴飾 他不逮也 自會賓長霸等門 其制略同 唯當其中爲兩戶 無尊卑 皆得出入 其城皆爲夾柱 護以鐵筩 上爲小...국가중국 | 서명고려도경 | 왕대인종(仁宗) 1
- 子謂仲弓,曰:“犂牛之子,騂且角,雖欲勿用,山川其舍諸?”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370 論語古今注 卷三 ITKC_MP_0597A_0370_010_0030 子謂仲弓,曰:“犂牛之子,騂且角,雖欲勿用,山川其舍諸?”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권차명論語古今注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무장간첩들이 지니고 있던 무기와 옷가지등이 22일 오후 강릉시 어단리 칠성저수지둑에서 군수색대에 의해 공개됐다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무장간첩들이 지니고 있던 무기와 옷가지등이 22일 오후 강릉시 어단리 칠성저수지둑에서 군수색대에 의해 공개됐다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대표표제어무장간첩들이 지니고 있던 무기와 옷가지등이 22일 오후 강릉시 어단리 칠성저수지둑에서 군수색대에 의해 공개됐다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무장공비, 침투, 간첩
구술자료(2)
- 고양 이무기제 ➁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간서, 장촌, 성저) 중 3마을(양촌, 김서, 김동)이 제사를 주관한다. 양촌과 내촌은 가까웠으나, 농사를 별로 하지 않고 품을 팔았기 때문에 이무기제를 보기만 하였다. 김동은 김서방네가 가운데 있다는 뜻이고, 김서는 김서방네가 서쪽에 있다는 뜻이다. 양촌은 볕이 먼저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현규
- 고양 이무기제 ➁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간서, 장촌, 성저) 중 3마을(양촌, 김서, 김동)이 제사를 주관한다. 양촌과 내촌은 가까웠으나, 농사를 별로 하지 않고 품을 팔았기 때문에 이무기제를 보기만 하였다. 김동은 김서방네가 가운데 있다는 뜻이고, 김서는 김서방네가 서쪽에 있다는 뜻이다. 양촌은 볕이 먼저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조경희
기초학문(2)
- 소집단별 수업계획과 반성저널 쓰기가 예비교사의 수업에 대한 반성 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길양숙, 게재일 : 201025479 길양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교육연구원 2010 소집단별 수업계획과 반성저널 쓰기가 예비교사의 수업에 대한 반성 정도에 미치는 영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유형논문 | 게재일2010
- 탄성저항운동의 집중화 , 분산화 빈도조건이 최대힘효율 및 근특성변화에 미치는 효과_preprint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채홍원, 게재일 : 200006403 채홍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운동과학회 2000 탄성저항운동의 집중화 , 분산화 빈도조건이 최대힘효율 및 근특성변화에 미치는 효과_preprint https://www.krm.or.kr/krmts/li유형논문 | 게재일2000
신문·잡지(22)
- 毁城作路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평양대동문 겻셔 남문겻지 퇴비 셩쳡을 헐어치우고 로길을 슈츅야 일본 대병이 지나던지 혹 유슉에 필요도록라고 일본병참령부에셔 도관찰에게 죠회고로 관찰가 루 교셥되 군용의 필요일이라고 일향 불쳥다더라게재일1905년 10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副業共進會紀念京城著名案內 (부업공진회 기념 경성 명소 안내)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작품명_원문副業共進會紀念京城著名案內 | 게재일19231014 | 게재판석 | 게재면05 | 게재단3
- 副業共進會紀念京城著名案內 (부업공진회 기념 경성 명소 안내)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작품명_원문副業共進會紀念京城著名案內 | 게재일19231014 | 게재판석 | 게재면06 | 게재단3
- 第二回京城著名會社商店とマ-ク合せ縣賞募集 (제2회 경성 저명회사 상점 마크 현상모집)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기사명_원문第二回京城著名會社商店とマ-ク合せ縣賞募集 | 기사명_한글제2회 경성 저명회사 상점 마크 현상모집 | 게재일19230402 | 게재판무 | 게재면02 | 게재단6-8
- 第二回京城著名會社商店とマ-ク合せ縣賞募集 (제2회 경성 저명회사 상점 마크 현상모집)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기사명_원문第二回京城著名會社商店とマ-ク合せ縣賞募集 | 기사명_한글제2회 경성 저명회사 상점 마크 현상모집 | 게재일19230403 | 게재판조 | 게재면04 | 게재단전면
멀티미디어(1)
- 저축을 잘하는 모범주부들의 청와대 방문 소식 및 알뜰한 주부상 시상식 소식을 전달하는 뉴스이다. 육영수 여사는 12명의 모범주부들을 청와대로 초청해 환담을 나누고, 광목 한 필씩을 선사하였다. 여성저축생활중앙회에서는 모범주부 표창을 하였는데, 이 소식을 시상식 장면과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70년 3월 14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기타자료(17)
- 고산성작;高山盛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1737 남한 충남 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졸업증서교부부(1925년도 이후) n.r. 188면 18. 제31회 졸업생 고산성작;高山盛作 1944년 12월 20일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최현숙;崔賢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6722 남한 경성 정신여학교 1-40 정신 제2호 1936 84면 1. 졸업생 상황 (1936년 1월 조사) 최현숙;崔賢淑 전남 광주 城底里 (졸업기수)16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정신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최현숙;崔賢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6951 남한 경성 정신여학교 1-40 정신 제3호 1937 83면 1. 졸업생 상황 (1937년 1월 조사) 최현숙;崔賢淑 전남 광주 城底里 (졸업기수)16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정신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남계현;南啓賢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5727 남한 충북 충주농업학교 2-53 교우회보 제2호 1935―06―25 120면 남계현;南啓賢 경상북도 문경군 문경면 성저리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충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남계현;南啓賢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5875 남한 충북 충주농업학교 2-53 교우회보 제3호 1936―10―30 119면 남계현;南啓賢 경상북도 문경군 문경면 성저리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충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3)
-
성저 / 城底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울의 행정구역 중 성밖 10리 이내에 해당하는 지역. 선초에 서울은 오부와 성저(城底) 10리로 이루어졌는데 그 경계는 동으로 양주(楊州)의 송계원(松溪院) 및 대현(大峴), 서로 양화진(楊花津) 및 고양(高陽) 덕수원(德水院), 남으로 한강도(漢江渡)
-
문경모산굴 / 聞慶茅山窟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성저리에 있는 석회동굴. 석회암으로 형성된 자연동굴로 입구는 높이 1m, 폭 70m 정도의 자연석으로 막혀져 출입이 불편하다. 동굴내부는 높이 5∼7m, 폭 5∼15m, 전체길이 170m 정도로 비교적 넓은 편에 속한다. 성저리 뒷산 모산 기슭
-
금난전권 / 禁亂廛權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육의전이나 시전상인이 난전을 금지시킬 수 있었던 권리. 국역을 부담하는 육의전을 비롯한 시전이 서울 도성 안과 성저십리(城底十里) 이내의 지역에서 난전의 활동을 규제하고, 특정 상품에 대한 전매 특권을 지킬 수 있도록 조정으로부터 부여받았던 상업상의 특권
-
광덕대부 / 光德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1품 상계 의빈계의 위호. 1444년(세종 26) 7월 이성제군소(異姓諸君所)를 부마소(駙馬所)로 개편하면서 의빈계를 정비하여 설치하였다. 공주에게 장가든 부마에게 수여하는 위계였다.
-
수록대부 / 綏祿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빈계 정1품 상계의 위호. 1447(세종 26) 7월에 이성제군소(異姓諸君所)가 부마부(駙馬府)로 개칭되고 부마(駙馬)에게 정1품에서 종3품에 이르는 품계명을 정하여 주면서 의빈문산계가 정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