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성여완” 에 대한 검색결과 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1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309(충선왕 1)∼1397(태조 6).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개설] 본관은 창녕(昌寧). 초명은 한생(漢生 : 일명 匡自), 호는 이헌(怡軒). 창녕 성씨의 시조인 인보(仁輔)의 현손으로, 할아버지는 전객서부령 공필(公弼)이고,...
    이칭별칭 이헌(怡軒)| 문정(文靖)
  • TD_L14_D_0797 인물 潛邸, 故人, 議政, 府院君, 文靖 昌寧 我太祖, 石璘, 石瑢 D_04_04_34 대동운부군옥 4권 4장 34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4장 3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성석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03(태종 3).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개설]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자옥(自玉), 호는 회곡(檜谷). 할아버지는 판도총랑(版圖摠朗) 군미(君美)이고, 아버지는 창녕부원군(昌寧府院君) 여완(汝完)이며, 어머니는 지신사(知...
    이칭별칭 자옥(自玉)| 회곡(檜谷)| 문숙(文肅)
  • 성석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14(태종 14).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개설] 본관은 창녕(昌寧). 초명은 석인(石珚)이었으나 국왕의 휘(諱)를 피하여 석인(石因)으로 개명하였다. 자는 자유(自由), 호는 상곡(桑谷). 할아버지는 판도총랑(版圖摠朗) 군미...
    이칭별칭 자유(自由)| 상곡(桑谷), | 정평(靖平)|석인(石?)|석인(石因)
  • 성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386(우왕 12)∼1448(세종 30).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내용] 본관은 창녕(昌寧). 판도사총랑(版圖司摠郎) 군미(君美)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당문학(政堂文學) 여완(汝完)이고, 아버지는 예조판서 석인(石?)이다. ...
    이칭별칭 희정(僖靖)

고서·고문서(4)

  • 감사수록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관직 및 가족 관계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嘉善大夫漢城府尹公紀實 (3) 창녕 성씨의 선조 중 하나인 漢城府尹公 成得識에 대한 사실을 기록한 글이다. 시조 성인보 이후 창녕 성씨의 가계는 성송국, 성공필, 성군미, , 成石珚, 成抑으로 이어지며 성득식은 성억의...
    분야문학 | 유형문헌
  • 上巡使書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
    設有貪官汚吏, 寧肯區區於數卷之紙, 加徵於節目之外? 而官屬輩方爲該寺所脅持, 兢業度日, 猶恐其一毫執頉, 亦安敢橫肆十倍之侵徵乎? 揆以利害, 萬萬無此理也. 辭, 則以若無所顧忌之寺僧, 何不枚擧節目, 辨正于本官? 亦何不卽呈議送于巡按之下? 而乃敢不有營邑, 越訴京司, 無難搆捏,...
    대표표제어上巡使書 | 목차孔雀舘文稿○書
  • 조션가곡목록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官 右相 文忠公 崔 沖 號 惺齋 高麗穆宗時 官 太師 文憲公 林慶業 仁祖時 官 平安兵使 忠愍公 金裕器 肅宗時 名歌 散人 成世昌 號 遯齋 仁宗時 官 左相 文狀公 李鼎輔 號 三洲 英祖時 官 大提學 高麗 愍恭王時 官 侍中 文靖公 李華鎭 號 默齋 肅宗時 官 監司 楊士...
    구분잡가 | 편저자지송욱
  • 陽伯洪永通 昌寧府院君이 與焉하니 潛邸故人也라 南陽은 本高句麗唐城縣이니 新羅改爲唐恩郡하고 高麗復爲唐城縣하며 顯宗이 屬水州任內라가 後移屬仁州하고 明宗始置監務하며 忠烈王이 以縣人洪茶丘仕元爲征東行省右丞으로 陞爲知益州事라가 後又陞爲江寧道護府하고 又陞爲益州牧하며 忠宣王汰諸牧...
    서명龍飛御天歌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309(충선왕 1)∼1397(태조 6).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창녕 성씨의 시조인 인보의 현손, 할아버지는 공필, 아버지는 군미, 어머니는 오천의 딸이다. 첨서밀직, 정당문학 등을 역임하였다.

  • 성제원 / 成悌元 [종교·철학/유학]

    1506년(중종 1)∼1559년(명종 14). 조선 전기의 문신. 부원군 의 고손, 부친은 성몽선, 모친은 평양조씨이다. 유우의 문하에서 수학, 과거공부 보다는 고도에 힘썼다. 산경‧지지‧의학‧복술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1553년(명종 8) 6품관에 제수되었다가

  • 성진령 / 成震齡 [종교·철학/유학]

    1682년(숙종 8)∼1739년(영조 15). 조선 후기 문신·유학자. 창녕부원군 후손, 증조는 성하창, 조부는 성초일, 부친은 성인동이다. 형으로 성석령·성현령이 있다. 1711년(숙종 37) 식년시 진사 2등 8위로 합격하고, 1713년(숙종 39) 증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