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성수침” 에 대한 검색결과 9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2)

사전(57)

  • 청송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의 유고와 아우 수종(守琮)의 『절효선생유고(節孝先生遺稿)』를 부편(附編)한 유문집. [내용] 4권 1책. 목판본. 1806년(순조 6) 8세 손 긍주(肯柱) 등이 간행하였다. 규장각 도서와 고려대학교 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해동잡록(海東雜錄)』 『기묘록보유(己卯錄補遺)』 『대동기문(大東奇聞)』 (1493-1564) 필적 1493(성종...
    이칭별칭 중옥(仲玉)| 청송(聽松), 죽우당(竹雨堂), 파산청은(坡山淸隱), 우계한민(牛溪閒民)| 문정(文貞)
  • TD_L7_D_0235 남자 綺紈, 名利, 築室, 松林, 聽松, 硏究, 力行, 古道, 風姿, 和粹, 學行, 純備, 士大夫, 逸民, 諫院, 執義 昌山, 白岳 仲玉, 思肅公, 世純, 靜庵 D_07_01_101 대동운부군옥 7권 1장 1...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7권 1장 10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박하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어머니는 진주하씨(晋州河氏)로 숙부(叔溥)의 딸이다. ()을 사사했다. 경사(經史)를 비롯하여 제자백가(諸子百家)를 통하고 공경(恭敬)과 근신(謹愼)으로 수신하는 요점으로 삼고 평생을 『소학(小學)』과 『대학(大學)』을 연구했다. 효성이 지극하여 도천...
    이칭별칭 성천(聖千)| 병재(甁齋), 서암(西巖)
  • 정희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老)의 딸이다. ()의 문인이다. [내용]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아들 경(鏡)과 건(鍵)을 근왕병(勤王兵)으로 보내고, 자신도 강항(姜沆) 등 50여명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고향을 지켰다. 또 영광이 곡창지대임을 감안, 많은 군량미를 모아...
    이칭별칭 호연(浩然)| 고산(孤山), 선양정(善養亭)

고서·고문서(35)

주제어사전(6)

  • / [종교·철학/유학]

    1493(성종 24)∼1564(명종 19). 조선 중기의 학자. 득식 증손, 할아버지는 충달, 아버지는 세순이다. 어머니는 김극니의 딸이다. 조광조의 문인으로 1519년(중종 14)에 현량과에 천거되었다. 내자시주부, 예산현감, 토산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청송

  • 파산서원 / 坡山書院 [교육/교육]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눌로리에 있는 서원. 1568년(선조 1) 백인걸(白仁傑)·이이(李珥) 등의 관료와 파주 일대 유생의 발의에 의하여 적성현감 ()을 제향하고, 유생의 장수처(藏修處)로 삼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은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이며, 중종

  • 김기보 / 金基報 [종교·철학/유학]

    1531년(중종 26)∼1588년(선조 21). 조선 중기 문신‧유학자. 증조는 김영수, 조부는 승지 김영, 처부는 이문량이다. 금계 황준량은 동서이다. 죽우당 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향시에 합격하여 언양‧거창‧회인 등지의 현감을 역임하였다. 문집으로 1850

  • 계음만필 / 溪陰漫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 윤흔이 인물·역사·지리·풍속 등 광범위한 내용을 일정한 체계 없이 기술한 만록집. 3권 3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기대승(奇大升)·() 등 78편, 권2에 성세창(成世昌)·장주(莊周) 등 105편, 권3에 이언적(李彦迪)·조

  • 순흥안씨족보 / 順興安氏族譜 [사회/가족]

    발문 또는 후지는 모두 6건이다. 안위(安瑋)의 서문은 1546년(명종 1)에 간행된 병오보(丙午譜)의 서문이며, 이준(李埈)의 후지(1614)는 () 친필의 병오보 서문에 대한 후지이다. 안현(安玹)과 안승종(安承宗)의 발문 역시 병오보 발문이다. 즉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