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성석용” 에 대한 검색결과 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

사전(1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03(태종 3).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개설]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자옥(自玉), 호는 회곡(檜谷). 할아버지는 판도총랑(版圖摠朗) 군미(君美)이고, 아버지는 창녕부원군(昌寧府院君) 여완(汝完)이며, 어머니는 지신사(知...
    이칭별칭 자옥(自玉)| 회곡(檜谷)| 문숙(文肅)
  • TD_L14_D_0132 인물 辛禑二年 昌寧 伯玉, 獨谷, 文肅 D_01_02_29 대동운부군옥 1권 2장 29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권 2장 2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이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84(성종 15)∼?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덕수(德水). 초명은 환(芄). 자는 자패(子佩), 호는 산북(山北). 할아버지는 지온양군사(知溫陽郡事) 추(抽)이고, 아버지는 사간 의무(宜茂)이며, 어머니는 증대제학 ...
    이칭별칭 자패(子佩)| 산북(山北)
  • 성담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인수(仁叟), 호는 정재(靜齋). 예문관대제학 석용(石瑢)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개(槪)이고, 아버지는 승문원교리 희(熺)이며, 어머니는 호조판서 이견기(李堅基)의 딸...
    이칭별칭 인수(仁?)| 정재(靜齋)
  • 성석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14(태종 14).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개설] 본관은 창녕(昌寧). 초명은 석인(石珚)이었으나 국왕의 휘(諱)를 피하여 석인(石因)으로 개명하였다. 자는 자유(自由), 호는 상곡(桑谷). 할아버지는 판도총랑(版圖摠朗) 군미...
    이칭별칭 자유(自由)| 상곡(桑谷), | 정평(靖平)|석인(石?)|석인(石因)

고서·고문서(3)

  • 城君 徐益, 坡平君 尹坤, 陽城君 洪恕, 興城君 李敷, 驪川君 閔汝翼, 漆原君 尹子當, 會寧君 馬天牧, 豊川君 沈龜齡, 利城君 徐愈, 鐵城君 李原, 潘城君 朴訔, 瑞寧君 柳亢, 漢平君 趙涓, 東平君 (石+容), 沔城君 韓煃, 通原君 李從茂, 谷城君 延嗣宗, 熙川君...
    분야문학 | 유형문헌
  • 감사수록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행적에 대해 기록하였다. 성여완은 28세에 문과에 합격하여 고려의 내외 요직을 거치며 6명의 왕을 섬겼다. 圃隱 鄭夢周가 살해당하자 포천 왕방산에 은거하였다. 태조 이성계가 벼슬을 내리며 회유했으나 듣지 않았다. 그의 아들 成石璘, , 성석연은 모두 조선에서 높은...
    분야문학 | 유형문헌
  • 문적략 [伊藤東涯의 三韓紀略 연구 | 고려대학교]
    의 批點을 받고 문생 등이 1400년에 금산에서 목판으로 초간하였으나 산일되었다. 8대손 浚謙이 1602년에 재간하였고, 1863년에도 후손 在益이 목활자본으로 중간하였다.가 지었다. 『선집』. 승려 선탄 선탄(생몰연대 미상). 고려시대 승려. 호는 幻翁이다....
    대표표제어문적략 | 편명_제목문적략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403(태종 3).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할아버지는 군미, 아버지는 여완, 어머니는 나천부의 딸이다. 영의정 석린의 아우이다. 1376년(우왕 2)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대사헌, 개성유후, 보문각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 성삼문 / 成三問 [종교·철학/유학]

    1418(태종 18)∼1456(세조 2). 조선 전기의 문신. 증손, 할아버지는 성달생, 아버지는 성승이다. 어머니는 박첨의 딸이다. 1438년에는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했으며, 1447년에 문과중시에 장원으로 다시 급제하였다. 집현전학사로 뽑혀 세종의 지극

  • 유항시집 / 柳巷詩集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문신 한수의 시 「팔월초구일야좌」·「봉화한산군소시」등을 수록하여 1400년에 간행한 시집. 1책. 이 책의 초간본은 저자의 둘째아들 상질(尙質)이 유고를 수집·편차하여 1398년권근(權近)의 비점(批點)을 받아 정고본(定稿本)을 만들고, 이를 문생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