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성석린” 에 대한 검색결과 1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4)

사전(82)

  • TD_L14_D_0552 인물 自修, 獨谷, 奇節, 詩詞俊逸, 筆法妙健, 孝親, 大提學, 議政, 文景, 桑谷, 判書, 靖平 恭愍朝, 本朝 昌寧 石因 D_04_01_37 대동운부군옥 4권 1장 37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1장 3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여러 사자를 보냈으나 감히 문안을 전달하지 못하였다. 이에 이 태조의 옛 친구로서 조용히 인륜의 변고를 처리하는 도리를 진술, 비로소 태조와 태종이 화합하게 되었다. 검소한 생활을 즐겼으며, 초서를 잘 쓰고 시를 잘 지었다. 말년에 관직에서 물러나 한가롭게...
    이칭별칭 자수(自修)| 독곡(獨谷)| 문경(文景)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이성계가 이방원의 무력 행위에 분노하여 함흥으로 떠난후 함흥으로 간 사자들을 모두 죽이자 자청하여 함흥 차사가 된다. 그리하여 관복을 벗고평상복 차림으로 함흥으로 가 성계를 만나 부자간의 의리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그러나 성계가 사신으로 온 것에 대해 분노하자, 사신으...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고려~조선 충혜왕~세조 이기순 이범직 2008 자수(自修) 독곡(獨谷) 문경(文景)...
  • 이정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첨서승추부사(簽書承樞府事)에 이르렀다. 1402년(태종 2)에는 예문관제학으로 우의정 ()과 함께 전해의 고명인장(誥命印章) 하사를 사례하기 위한 대명사행(對明使行)을 수행하였다. 『고려사(高麗史)』 ...

고서·고문서(22)

  • 1402년 ()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402년(태종 2) 11월 18일에 태종이 을 영의정부사 겸 판개성유후사사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문서의 발급 연도에 찍혀 있는 도장은 당시의 어보로서 ‘조선국왕지인(朝鮮國王之印)’이라고 새겨져 있다. 은 1357년(고려 공민왕 6) 과거에 급제한 뒤 고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진안 창녕성씨 옥천사 어서각
  • 汝知以啓, 上曰: “太祖得國, 故言之若此耳。 若非得國, 當與浚等比之矣。” 命收種善告身, 流遠方; 君禮則勿論。 臺諫請曰: “種善之罪非輕, 毋從輕典。 君禮亦有罪。” 命加種善杖一百收贖, 罷君禮職。 遂流種善于東萊鎭。 三功臣左政丞 ...
    출처전거太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新撰初等歷史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新撰初等歷史 卷二 新撰初等歷史_卷二 本朝紀第七十五課 유근 1910 광덕서관 개화기교과서총서 개화기 사찬독본 한국어 현대띄어쓰기를 적용하였음 定宗大王게오셔 太祖의 傳禪ᄒᆞ심을 受ᄒᆞ샤 位에 即ᄒᆞ신ᄃᆡ 平壤府尹이 欹器圖를
    서명新撰初等歷史 | 자료명本朝紀第七十五課
  • 初等大韓歷史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殿에셔 羣臣의 朝賀ᄅᆞᆯ 受ᄒᆞ실ᄉᆡ 平壤,府尹,은 欹器圖ᄅᆞᆯ 進ᄒᆞ고 京畿左道觀察使,李廷俌ᄂᆞᆫ 歷年圖ᄅᆞᆯ 進ᄒᆞ고 右道,觀察使,崔有慶은 無逸圖ᄅᆞᆯ 進ᄒᆞᆫᄃᆡ 上이 嘉納ᄒᆞ시다 是年에 松京으로 還都ᄒᆞ시다
    서명初等大韓歷史 | 자료명第四篇 現世 第一章 本朝 第六節 朝賀,進圖
  • 初等本國歷史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初等本國歷史 卷1 初等本國歷史_卷1 第四章 國朝 第二節 本朝二 유근 1908 광학서포 국립중앙도서관 개화기 사찬독본 한국어 현대띄어쓰기를 적용하였음 定宗ᄭᅴ셔 太祖의 禪位ᄒᆞ심을 受ᄒᆞ샤 正殿에셔 羣臣의 朝賀를 受ᄒᆞ실ᄉᆡ 平壤府尹...
    서명初等本國歷史 | 자료명第四章 國朝 第二節 本朝二

주제어사전(6)

  • / [종교·철학/유학]

    1338(충숙왕 복위 7)∼1423(세종 5).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할아버지는 군미, 아버지는 여완이다. 어머니는 나천부의 딸이다. 해주목사, 정당문학, 개성부판사, 좌정승, 좌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이어 1415년 영의정이 되었으나 다시 부원군으로 물러나서 쉬니

  • 구리태조건원릉신도비 / 九里太祖健元陵神道碑 [예술·체육/서예]

    정승(左政丞) ()이 글씨를 썼으며 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 정구(鄭矩)가 전액(篆額)을 담당하였다. 비의 음기(陰記)는 예조좌참의(禮曹左參議) 변계량(卞季良)이 글을 지었고 역시 이 글씨를 썼다. 총 높이 448㎝의 규모에 귀부이수(龜趺螭首) 양식을 갖

  • 좌명공신 / 佐命功臣 [역사/조선시대사]

    제2차 왕자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1등에는 이저·이거이·하륜·이무·조영무·이숙번·민무구·신극례·민무질 등 9명을 책록, 2등에는 이래·이화·이천우 등 3명을 책록. 3등에는 ·이숙·이지란·황거정·윤저·김

  • 함흥차사 / 咸興差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함흥에 가 있던 태조에게 보낸 사신. 1400년(정종 2) 제2차왕자의 난이 일어나자 방원에게 환멸을 느낀 태조는 1401년(태종 1) 고향 함흥으로 갔다. 태종은 평소 태조가 신임하던 을 보내어 그해 4월에 겨우 데리고 왔으나, 1402년 11월

  • 관란정첩 / 觀瀾亭帖 [예술·체육/서예]

    최치원(崔致遠)·영업(靈業), 고려의 탄연(坦然)·문공유(文公裕)·이암(李嵓)·한수(韓脩), 조선의 ()·신장(申檣)·최흥효(崔興孝)·강희안(姜希顔)·박팽년(朴彭年)·안평대군(安平大君)·성임(成任)·정난종(鄭蘭宗)·성세창(成世昌)·김희수(金希壽)·김구(金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