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성서조선” 에 대한 검색결과 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투옥되었으며, 고정 독자들의 집까지도 수색을 당하여 잡지는 전부 소각되었다. 김교신의 『』의 이념과 방식은 오늘날 함석헌의『씨알소리』, 송두영의 『성서신애』, 노평구(盧平久)의 『성서연구』 등으로 이어져 왔으며, 1982년 5월에 전 158권의 영인본(影...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김교신(金敎臣, 1901-1945) 등 한국의 무교회주의자들이 1927년 7월에 창간한 동인지(同人誌).
    정의김교신(金敎臣, 1901-1945) 등 한국의 무교회주의자들이 1927년 7월에 창간한 동인지(同人誌).[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Seongseo Joseon | MR표기Sŏngsŏ Chos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유영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자에게 큰 감화를 주었다. 1928년 YMCA 성경연구반 지도를 맡아 35년간 계속하는 한편, 김교신의 『()』지에 신앙의 글들을 발표하여 사건으로 1942년 종로경찰서에 구금되어 문초를 받기도 하였다. 1940년 후반 생애를 하루...
    이칭별칭 다석(多夕)
  • 함석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김교신(金敎臣)‧송두용(宋斗用)‧정상훈(鄭相勳) 등과 함께 무교회주의신앙클럽을 결성하였다. 1927년 동인지 ≪ ≫ 창간에 참여하여 글을 발표하기 시작하였다. 1928년 4월 귀국하여 모교인 오산학교의 교사로 부임하였다가 1938년 3...
  • 김교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던 송두용(宋斗用)‧유석동(柳錫東)‧양인성(楊仁性)‧정상훈(鄭相勳)‧함석헌(咸錫憲) 등은 조선성서연구회를 조직하여 우리말 성경을 읽고 연구하였다. 또, 이들은 졸업하고 귀국하여, 1927년 7월 월간 동인지 ≪ ≫을 창간하였다. 1930년 5월 제...

고서·고문서(1)

  • 대촌양원(손양원) 판결문( 大村良源(孫良源) 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회자가 없는 교회를 순회하며 설교를 하거나 부흥사경회를 인도하거나 교회 개척 전도를 했다. 손양원은 1929년 3월 6일 경남성경학원을 졸업하고 나서도 부산지역에서 전도사로서 목회활동을 계속했다. 그 무렵 그는 김교신이 발행하던 의 애독자였던 것 같다. 기성 교...
    제목대촌양원(손양원) 판결문( 大村良源(孫良源) 判決文) | 사건유형치안유지법 위반 | 소장처국가기록원

신문·잡지(10)

  • 조선출판경찰월보 067호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67호 () 제62호 미기재 김교신(金敎臣) 경기 고양군(高陽郡) 조선_1934년 03월 15일 불허가 미기재 한국어 성서(城西)통신...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67호 성서조선 | 출판물명성서조선(聖書朝鮮) 제62호
  • 조선출판경찰월보 071호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71호 () 미기재 김교신(金敎臣) 경기 고양군(高陽郡) 조선_1934년 7월 3일 불허가 미기재 한국어 , 조선 역사, 오산학교 1....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71호 성서조선 | 출판물명성서조선(聖書朝鮮)
  • 조선출판경찰월보 082호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82호 () 제77호 미기재 김교신(金敎臣) 경성(京城) 조선_1935년 6월 17일 삭제 미기재 한국어 , 조선역사 (발췌) 1.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82호 성서조선 | 출판물명성서조선(聖書朝鮮) 제77호
  • 조선출판경찰월보 088호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88호 () 83호 미기재 김교신(金敎臣) 경기도(京畿道) 고양군(高陽郡) 조선_1935년 12월 2일 불허가 미기재 한국어 -이유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88호 성서조선 | 출판물명성서조선(聖書朝鮮) 83호
  • 조선출판경찰월보 106호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106호 () 미기재 미기재 미기재 조선_1937년 6월 삭제 미기재 미기재 , 신사참배 -삭제이유 신사참배를 거부하는 듯한 경향이 있기 때...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106호 성서조선 | 출판물명성서조선(聖書朝鮮)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개신교]

    기독교잡지. 1927년 7월에 창간, 무교회주의를 표방하였다. 창간 당시 발행인은 유석동, 편집인은 정상훈이었다. 그 밖에 김교신, 함석헌, 송두용, 양인성 등이 참여하였다. 이들은 민족위기를 성서연구를 통해 극복할 것을 주장하였다. 기성교회를 비판하는 글들을 발표하였

  • 함석헌 / 咸錫憲 [종교·철학]

    현대의 문필가·민중운동가(1901∼1989). 1927년 동인지 《》 창간에 참여하였다. 1956년 이후에 계간지 《사상계》를 통하여 정치적·사회적 문제들을 비판하였다. 저서로 《성서적 입장에서 본 조선역사》·《인간혁명》·《뜻으로 본 한국역사》 등이 있다.

  • 최태용 / 崔泰瑢 [종교·철학/개신교]

    본에 건너가 동경영어학교에 입학하였다. 그곳에서 무교회주의자인 우치무라(內村鑑三)에게 사사하면서 성서연구에 몰두하였다. 이때 뜻을 같이한 동지 중에는 《 》의 김교신(金敎臣)·함석헌(咸錫憲) 등이 있었다. 1923년 관동대지진사건이 일어나자 《일본에 보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