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성삼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91)
사전(358)
- 成三問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2408 成三問 인물 俯飮奴酒, 有詩, 素志, 一死, 忠義, 顯陵, 松柏 本傳 D_12_04_42 대동운부군옥 12권 4장 42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4장 4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成三問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3601 成三問 인물 寢室苫薦, 天性, 忠廉 本傳 D_16_01_30 대동운부군옥 16권 1장 30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6권 1장 3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成三問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0697 成三問 인물 日抱王孫, 丙子之變, 殿中 集賢殿 申叔舟, 世宗 本傳 D_04_03_52 대동운부군옥 4권 3장 52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3장 5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成三問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7_D_0469 成三問 남자 斷肱, 武士, 不服 前王, 光廟 本傳 D_07_03_54 대동운부군옥 7권 3장 54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7권 3장 5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成三問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3_J_0375 成三問 시 赴京, 白鷺, 障子, 求詩, 走筆, 水墨圖, 衣裳, 蘆渚, 洗硯池 山陰縣 羲之 J_13_01_01 지봉유설 13권 1장 1절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13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74)
- 성근보선생집(成謹甫先生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용비어천가》는 조선의 건국과 건국의 주체들, 그리고 그 영광을 이어갈 후세들의 권위와 안녕을 기원한 악장(樂章)이다. 세종은 목조(穆祖)∙익조(翼祖)∙도조(度祖)∙환조(桓祖)∙태조(太祖)∙태종(太宗)을 ‘하늘을 나는 용’으로 신화화했다. 그는 백성들에게 노래와 문학의...저자권제(權踶), 정인지(鄭麟趾), 안지(安止), 최항(崔恒), 박팽년(朴彭年), 강희안(姜希顔), 신숙주(申叔舟), 이현로(李賢老), 성삼문(成三問), 이개(李塏), 신영손(辛永孫) | 간행시기1445년(세종 27)∼1447년(세종 29) | 판본형태10권 5책
- 감귤(柑橘)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601 B002601 감귤 柑橘 경제산업 世祖實錄 元年(1455) 十二月 세조실록_10112019_002 ○奉安《文宗實錄》于(寶錄閣)〔實錄閣〕, 賜修撰官宴于議政府, 命都承旨朴元亨、左副承旨成三問賜宣醞, 又命承傳宦官田畇, 賜香醞、獐鹿、柑橘等物曰: “今送犀角杯, 予所嘗御...출처전거世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義州城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城三門及置弓家短墻,功已訖."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태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諸賢筆跡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가 장덕필 여러 名人 즉 金宏弼, 趙光祖. 成三問. 柳成龍 等의 글씨를 모아서 엮어놓은 서첩이다.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장덕필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구술자료(12)
- 재사 성삼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궁금하여 다시 마을회관으로 나왔다는 제보자는 앉더니 곧 이야기를 꺼냈다. 청중은 조사자가 데리고 간 학생 5~6명과 현지 마을사람 두 사람이었는데, 이 제보자의 이야기가 신기한듯 듣고 있었으나 한싯귀(漢詩句)가 등장 하니까 긴장하다가도 다시 그 뜻풀이에 공감하는 ...조사일시1982-07-17 | 조사장소경기도 옹진군 영종면 | 제보자조삼성
- 성삼문 일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담배를 한 대 권하자 자청해서 이것을 구술해 주었다. 지명이나 시대는 정확하지 않았으나 이야기의 줄거리는 제법 조리가 있었다. 성삼문이 어사에 제수되어 빈민을 구제하던 중, 우연히 기인을 만나 후일에 소용될 군량과 무기를 확보할 기회가 있었으나, 앞일을 예측하지 못...조사일시1984-08-23 | 조사장소경상남도 울주군 두동면 | 제보자이상갑
- 성삼문의 지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옛날 그 아버지로부터 들은 얘깁니다.” 하시며 문화원장님께서 다시 마이크를 받아 구연했다.*조사일시1981-04-27 | 조사장소강원도 속초시 중앙동 | 제보자장헌영
- 성삼문 탄생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가 박문수에 관한 이야기를 묻자, 그런 이야기는 모르지만 성상문에 대해서는 안다고 하면서 다음의 이야기를 시작했다.조사일시2009.05.09 | 조사장소구례군 간전면 양천리 양동마을 박명규댁 | 제보자박명규(남, 75세)
- 글 잘하는 성삼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 이야기가 끝나자마자 계속 꺼냈다. 역시 구연자의 취향에 잘 맞는 이야기라 할 수 있다.*조사일시1982-02-12 | 조사장소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 제보자송영백
신문·잡지(5)
- 본조(本朝) 명신록(名臣錄)의 요약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일화를 소개한 글 신숙주(申叔舟), 해동제국기(海東諸國記), 한명회(韓明澮), 길창군(吉昌君), 수양대군(首陽大君), 이개(李塏), 성삼문(成三問), 추강냉화추강냉화(秋江冷語) 조양보번역문.pdf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5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인물계_1958_02_0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수성명을 보고 최서규 44 잊지 못할 사람들-시인 노작 홍사용 박종화 46 역사를 빛낸 어른들-문충 성삼문 일재 49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8
- 민족단결_1998_0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삼문 한창희 37 삶의 현장 스케치(련재5) 류연산 39 투쟈족 박련옥 43 인민...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8
- 우리들_1971_06_1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유승규 98 이상한 노인과 소년 성삼문 김종성 104 영화 무녀도 주인공 바뀌어 말썽 108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1
- 문학과예술_1986_0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68 69쪽 기사있음. 파일분절요망. 성삼문의 민첩한 재주, 69쪽. 평화 감탄표 보리스.와실리예브 작, 김성 역 70 단편소설 <평화, 감탄표>를 읽고 일...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6
멀티미디어(41)
- 홍성 성삼문 유허지 n1-0143_#1 유구 [사진8] ‘다’,‘라’지구 유구 노출 전경(남서→북동) 2015-03-12_2.578372E-02_[사진8] ‘다’,‘라’지구 유구 노출 전경(남서→북동).JPG n1-0143_1 유물제목홍성 성삼문 유허지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려의 건국과 왕건_ 견훤 5주차_ 고려 중기의 사회 상황과 묘청_ 김부식 6주차_ 고려의 멸망과 최영_ 이성계 7주차_ 조선 초기 유교 정치와 성삼문_ 신숙주 8주차_ 임진왜란과 이순신_ 원균 9주차_ 조선 후기의 붕당정치와 송시열_ 윤증 34주차_ 쇄국_ 개화 정책과강좌제목인물로 보는 라이벌 한국사 | 강의자김갑동 교수
- 려의 건국과 왕건_ 견훤 5주차_ 고려 중기의 사회 상황과 묘청_ 김부식 6주차_ 고려의 멸망과 최영_ 이성계 7주차_ 조선 초기 유교 정치와 성삼문_ 신숙주 8주차_ 임진왜란과 이순신_ 원균 9주차_ 조선 후기의 붕당정치와 송시열_ 윤증 35주차_ 쇄국_ 개화 정책과강좌제목인물로 보는 라이벌 한국사 | 강의자김갑동 교수
- 려의 건국과 왕건_ 견훤 5주차_ 고려 중기의 사회 상황과 묘청_ 김부식 6주차_ 고려의 멸망과 최영_ 이성계 7주차_ 조선 초기 유교 정치와 성삼문_ 신숙주 8주차_ 임진왜란과 이순신_ 원균 9주차_ 조선 후기의 붕당정치와 송시열_ 윤증 36주차_ 쇄국_ 개화 정책과강좌제목인물로 보는 라이벌 한국사 | 강의자김갑동 교수
- 려의 건국과 왕건_ 견훤 5주차_ 고려 중기의 사회 상황과 묘청_ 김부식 6주차_ 고려의 멸망과 최영_ 이성계 7주차_ 조선 초기 유교 정치와 성삼문_ 신숙주 8주차_ 임진왜란과 이순신_ 원균 9주차_ 조선 후기의 붕당정치와 송시열_ 윤증 37주차_ 쇄국_ 개화 정책과강좌제목인물로 보는 라이벌 한국사 | 강의자김갑동 교수
기타자료(1)
- 홍성 성삼문 유허지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n1-0143 유구 2015-03-12_0.8629724_한국전통문화연구소_홍성 성삼문 유허지_표지.JPG 홍성 성삼문 유허지 2005 한국전통문화학교 분설 한국전통문화연구소/홍성군 244 장헌덕,배병선,정석배,신철호,방민규,조용선,신승...발행연도2005 | 발굴기관한국전통문화학교 분설 한국전통문화연구소/홍성군 | 발굴지역충청남도
주제어사전(26)
-
성삼문 / 成三問 [종교·철학/유학]
1418(태종 18)∼1456(세조 2). 조선 전기의 문신. 성석용 증손, 할아버지는 성달생, 아버지는 성승이다. 어머니는 박첨의 딸이다. 1438년에는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했으며, 1447년에 문과중시에 장원으로 다시 급제하였다. 집현전학사로 뽑혀 세종의 지극한
-
육신묘 / 六臣墓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단종에게 충절을 바친 사육신의 묘. 육신은 바로 참판 박팽년(朴彭年), 승지 성삼문(成三問), 교리 이개(李塏), 사예 유성원(柳誠源), 참판 하위지(河緯地)를 지칭한다. 노량진에 묘역이 조성되어 있는데 육신 가운데 5기의 표석이 세워져 있고 박, 유, 이
-
금곡단소 / 金谷壇所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에 있는 조선시대 성삼문·조계명·김수남의 위패를 모신 사당. 성삼문(成三問)·조계명(曺繼明)·김수남(金秀男)의 위패를 봉안하였다.원래는 병자호란 때 왕을 호종하다가 분사한 형조좌랑 김수남의 위패를 봉안하였던 사당으로 1676년(숙종 2)에 금곡사
-
창절서원 / 彰節書院 [교육/교육]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에 있는 서원. 1685년(숙종 11) 장릉(莊陵: 단종의 능)을 개수하면서 감사 홍만종(洪萬鍾)과 군수 조이한(趙爾翰)이 도내에 통문을 돌려 기금을 모아, 단종을 위하여 목숨을 바친 박팽년(朴彭年)·성삼문(成三問)·이개(李塏)·유성원(柳誠
-
김질 / 金礩 [종교·철학/유학]
1422년(세종 4)~1478년(성종 9) 개국공신 김사형(金士衡)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승(金陞)이고,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김종숙(金宗淑)이며, 어머니는 이양직(李良直)의 딸이다. 성삼문(成三問)·박팽년(朴彭年) 등의 집현전 학사와 함께 단종 복위를 꾀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