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성복”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6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06)
사전(327)
- 성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가 되는 어른이 생존해 있으면 모든 자손들이 그 어른 앞에 나아가서 꿇어앉아 곡하고 부인어른에게도 이와 같이 한다. 이때 부녀자들도 남자의 예에 따라 바깥어른과 안어른을 찾아뵙고 슬피 울면서 곡을 한다. 옛날에는 신혼곡(晨昏哭)을 하는 이른 아침에 성복을 하기...
- 성복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초상이 나서 처음으로 상복을 입음. 보통 초상난 지 나흘 되는 날부터 입음. 昨者聞訃 卽往其家耳 葬事已過 成服後當還耳, 이관징(李觀徵), 13-143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성복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상대방이 보낸 답장. 頃承盛覆 .在此報之先 認自.注感愧.湊, 김정희(金正喜), 33-79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성복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국상을 당하여 상복(喪服)을 입는 의식. 성복은 대렴(大斂) 다음 날에 하는데 국장에서는 대상(大喪)이면 6일째 되는 날에 거행하고, 소상(小喪)이면 4일째 되는 날에 한다. 이때에 왕세자, 왕비, 대군 등과 종친 및 문무백관이 상복을 갖춰 입고 빈전에 나아가 곡을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성복(成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성복 성복 成服 오복제(五服制) 왕실왕실의례/흉례|생활·풍속/가례/상례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정종수 [정의] 대렴(大斂)을 하고 입관을 마치면 복(服)을 입어야 하는 친족들이 죽음을 인...관련어오복제(五服制)
고서·고문서(1,308)
- 成服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970 喪儀節要 卷一 ITKC_MP_0597A_0970_010_0060 成服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권차명喪儀節要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成服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970 喪儀節要 卷一 ITKC_MP_0597A_0970_020_0060 成服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권차명喪儀節要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成服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五服之人各服其服 HCFR_4:6:1 按, 《小祥》章“先陳服, 質明入哭, 出就次易服, 復入哭”, 則成服亦當依此爲節, 而《家禮》只云: “五服之人, 各服其服, 入就位, 然後朝哭.” 或是文略也. 按, 《開元禮》: “內外皆哭盡哀, 俱降就次, 著衰服.” 夫《家禮》多因《書儀》...서명가례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與蔡省副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歐蘇手簡 第一卷 與蔡省副 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33 與蔡省副 某頓首公私匆匆久闕致誠辱教字承已登舟遂不複一得敘別可勝瞻戀短景日暮還家客已盈室寢食殆廢習以爲常以此久不奉問慚罪慚罪汝陰君子久處疾少間當來歸未見惟寬中自愛審用藥餌不盡區區서명歐蘇手簡 | 저자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盛服冠子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DM_00047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一 通禮_參 盛服冠子 盛服冠子 이익(李瀷, 1681~1763) DRAC_1:2:8:8Q “盛服”條曰 條曰: 《예설유편》에는 없다. 《星湖全集》에 따라 보충한다. : “冠子, 惟於女在室者言之, 則凡婦人假...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구술자료(10)
- 오산 상여소리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아다니면 장상틀을 보고 자식들이 인사를 하였다. 2) 오호소리(김성복): 긴상여소리. 선후창. 가사(나는 가네 나는 가네/~). 후렴구(오호호야 어이나갈꼬 오호) 3) 오호소리(김성복): 자진상여소리. 선후창. 가사(인제 가면 언제 보나/ 다시는 못올 이길이로다/~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성복
- 충청남도 서산시_얼카덩어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4_181 충남 충청남도 서산시 충청남도 서산시_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호미매기소리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동암리 1986.8.21 素86-8-21-1A (메) 오성복 (받) 엄상근, 오병필 오성복(1903년생.남.토민) (받) 엄상근(1925년생.남.토민), 오녹음지역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동암리 | 녹음날짜1986.8.21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 충청북도 영동군_긴소리 잘도하네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3_074 충북 충청북도 영동군 충청북도 영동군_긴소리 잘도하네 긴소리 잘도하네 에이요 호니 잘도하네 충청북도 영동군 용산면 신항리 1986.9.2 素86-9-2①B 이남수, 이성복 이남수(1921년생.남.토민), 이성복(1934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잘한다녹음지역충청북도 영동군 용산면 신항리 | 녹음날짜1986.9.2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MBC한국민요대전 제주도 민요 방송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00 26:13 B면 1) 서우제소리가 포함된 멜후리는 소리[제주시 구좌읍 동김녕리, 장구:김순녀/선소리:김경성/훗소리: 김자생,한중선,김매천,한성복] (06:35) 2) 멜후리는 소리[제주시 구좌읍 월정리, 소리: 고봉수] (12:43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고광민
- MBC한국민요대전 제주도 민요 방송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00 26:13 B면 1) 서우제소리가 포함된 멜후리는 소리[제주시 구좌읍 동김녕리, 장구:김순녀/선소리:김경성/훗소리: 김자생,한중선,김매천,한성복] (06:35) 2) 멜후리는 소리[제주시 구좌읍 월정리, 소리: 고봉수] (12:43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순녀
기초학문(30)
- 성인지적 관점과 한국의 여성복지정책 - 서울시 여성복지 담당공무원 의견조사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미석, 게재일 : 200340522 박미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여성학회 2003 성인지적 관점과 한국의 여성복지정책 - 서울시 여성복지 담당공무원 의견조사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유형논문 | 게재일2003
- 필리핀의 여성복지정책과 여성의 규정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최동주, 게재일 : 200335143 최동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3 필리핀의 여성복지정책과 여성의 규정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성인지적 관점과 아시아 여성복지정책 비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35144 한국연구재단 성인지적 관점과 아시아 여성복지정책 비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03789유형논문
- 대만 '빈곤의 여성화'와 여성복지정책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강문구, 게재일 : 200532927 강문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학연구회 2005 대만 '빈곤의 여성화'와 여성복지정책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05
- 한국여성의 정치참여와 여성복지정책 변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영란, 게재일 : 200401286 김영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보장학회 2004 한국여성의 정치참여와 여성복지정책 변화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168)
- 민세안재홍전집 : 安在鴻公判 방청금지코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137 1938 4 28 1 1 安在鴻公判 방청금지코 신문 동아일보 기타 사회 간접자료 선집외 保安法, 京城覆審法院 A19380428동아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林聖福(信永工業所)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林聖福(信永工業所) 서울 林聖福 信永工業所 蓬萊町 3-138 운수_운수용품 - 짐마차 운송 청부 23.4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대표표제어林聖福(信永工業所) | 지역서울 | 품목운수_운수용품 | 영업종목짐마차 운송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민세안재홍전집 : 安在鴻公訴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134 1937 10 29 1 1 安在鴻公訴 신문 동아일보 기타 사회 간접자료 선집외 治安維持法,京城覆審法院 A19371029동아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安在鴻公判 卄七日覆審에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136 1938 4 14 1 1 安在鴻公判 卄七日覆審에 신문 동아일보 기타 사회 간접자료 선집외 治安維持法,出版法,京城覆審法院 A19380414동아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安在鴻에二年 覆審에서求刑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138 1938 4 28 1 1 安在鴻에二年 覆審에서求刑 신문 조선일보 기타 사회 간접자료 선집외 治安維持法,保安法,京城覆審法院 A19380428조선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멀티미디어(1)
- 용인 성복동 통일신라 요지 l6-0005_#1 유구 용인성복동-도면3.조사지구별 위치 2013-04-30_0.8204157_용인성복동-도면3.조사지구별 위치.jpg l6-0005_#2 유구 용인성복동-도면4.A지구 지형 및 유구배치도제목용인 성복동 통일신라 요지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62)
- 성복룡;成福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복룡;成福龍 경상남도 하동 소화4년 3월6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임성복;林聖福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임성복;林聖福 경상남도 창원 소화10년 3월8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성복;李成馥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2251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0 297면 2. 학생 및 생도 성명 (1939년 5월 말일 현재);6) 예과생도;(14) 이과 1학년 을류 1조(43명) 이성복;李成馥...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성복;朴性福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9998 남한 경성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 1-38 梨高 창간호 1934 89면 ㅁ1. 졸업생 주소록;ㅁ7) 제7회 졸업생(1925년 3월 19일) 박성복;朴性福 경기도 강화군 三山面 席毛里 富興...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홍성복;洪聖福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2148 남한 경성 중앙불교전문학교 1-44 중앙불교전문학교일람 1936 40면 ㅁ제6 생도(1936년 10월 현재);ㅁ1. 생도씨명;ㅁ3) 제1학년(54명);ㅁ(1) 본과 홍성복;洪聖福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앙불교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조선시대 화론(畫論)의 회화미학개념 계보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임태승 | 성균관대학교 | 2023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53)
-
성복 / 成服 [생활]
국상을 당하여 상복을 입는 의식. 성복은 대렴 다음 날에 하는데 국장에서는 대상이면 6일째 되는 날에 거행하고, 소상이면 4일째 되는 날에 한다. 이때에 왕세자, 왕비, 대군 등과 종친 및 문무백관이 상복을 갖춰 입고 빈전에 나아가 곡을 하고 전을 올린다. 상례 때
-
기성복 / 旣成服 [생활/의생활]
손질이 다소 미흡한 것이 단점이다.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상품으로 처음 취급된 것은 1830년을 전후한 시기에 미국에서 포경선(捕鯨船) 선원들의 복장을 기성복으로 정비한 것이 시초이다. 여성복에 있어서는 1840년대에 의복의 형태나 치수에 그다지 구
-
조성복 / 趙聖復 [종교·철학/유학]
1681(숙종 7)∼1723(경종 3). 조선 후기의 문신. 박 증손, 할아버지는 현소, 아버지는 시채, 어머니는 최득일의 딸이다. 1702년(숙종 28)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지평·정언을 지냈다. 신임사화 때 삼학사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
금정산성복설비 / 金井山城復設碑 [예술·체육/서예]
부산광역시 금정구에 있는 조선후기 금정산성 개축 관련 기념비.시도기념물.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15호. 1808년(순조 8) 동래부사 오한원(吳翰源)이 훼손된 금정산성을 다시 축조하면서, 폐허화된 성곽을 다시 쌓고 성문을 재건하고, 산성의 모습을 새롭게 한 사실을 기념하
-
종성부용초성 / 終聲復用初聲 [언어/언어/문자]
『훈민정음』 「예의」와 ‘해례’ 「제자해」에서, 종성은 새로 만들지 않고 초성을 다시 쓴다고 설명한 ‘훈민정음’ 종성의 제자와 운용 원칙. 이 ‘종성부용초성’은 초성, 중성, 종성으로 구성된 음절에서, 그 요체는 중성이고 이 중성에 초성과 종성이 결합된다는 음절 인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