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성문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
사전(18)
- 창랑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성문준(成文濬)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662년(현종 3) 아들 직(㮨)이 편집하고, 1682년(숙종 8) 증손 지선(至善)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두경(鄭斗卿)의 서문이, 권말에 신량(申湸)‧...
- 성문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魯西集)』 『우암집(尤奄集)』 성문준(1559-1626) 필적 1559(명종 14)-1626(인조 4). 조선 중기의 문신. 글씨는 ≪근묵≫에서.이칭별칭 자약(子躍)| 외암(畏庵), 신암(晨庵)
- 성문준(成文濬)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성문준 성문준 成文濬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선조~인조 이기순 이범직 2008 중심(仲深) 영동(永同), 창랑(滄浪) 양반 ...
- 성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86(선조 19)∼1680(숙종 6).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자교(子喬), 호는 매변(梅邊) 또는 정옹(鼎翁). 할아버지는 혼(渾)이고, 아버지는 현감 문준(文濬)이며, 어머니는 함안조씨(咸安趙氏)로 ...이칭별칭 자교(子喬)| 매변(梅邊), 정옹(鼎翁)| 정혜(靖惠)
- 신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성문준(成文濬)의 딸이다. [내용] 광해군 때 벼슬을 단념하였으나 인조반정 후인 1629년(인조 7)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1636년 정언(正言)이 되어 병자호란 때 묘사(廟社)를 따라 강화에 피난하고 강화 함락 때는 세자빈(世子嬪)의 위급을 면하게...이칭별칭 효은(孝恩)| 은휴와(恩休窩)| 충정(忠貞)
고서·고문서(6)
- 1625년 성문준(成文濬)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625년(인조3)8월 25일에 성문준이 안방준에게 보낸 편지이다. 이 해에 안방준이 오수도찰방에 임명되었다는 정목(政目)을 본 성문준이 만사를 제쳐두고 반드시 상경하여 사은숙배한 뒤 한두 달 공무를 보고 나서 사직할 것을 종용한 내용이다. 이는 안방준의 교유관계를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내외선조수적(內外先祖手蹟)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안방준과 인척을 맺었던 성문준( 성혼의 아들) 집안의 서간과 시가 다수 들어있고, 안방준자신과 그의 후손들의 서간, 안방준의 후손들과 교유한 당대 명현들의 서간도 섞여있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1868년 성재옥(成載玉)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868년(고종5)3월 12일에 성재옥이 안영환에게 보낸 답장이다. 안방준의 문집『은봉전서(隱峰全書)』를 보내주고 자신의 선조인 성혼․ 성문준의 서간까지 보내주니 매우 감사하다고 말했다. 그리고『은봉전서』의 간행은 본가의 성대한 일일 뿐만 아니라 사림의 큰 행운이라고...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2 第二統統首車龍運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拾玖辛未前 逃亡等丙午戶口相准 第二戶 車順宗故代妻兪氏年陸拾玖辛丑本杞溪父學生章柱祖學生以復曾祖 學生景恒外祖學生成文俊本昌寧婢士今年庚戌丙午戶口相准 第三戶 幼學車得轅年柒拾陸甲午本延安父學生貴翊祖學生守望曾祖學生泰 載外祖學生權逸元本安東妻李氏年柒拾壹己亥本慶州父學生德奉祖學生守 行曾...연도_면이름1849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三十八桶泉里
- 조대중(曺大中)의 『정곡유집(鼎谷遺集)』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은 동기를 서술한 「庸學口訣序」가 있다. 그리고 권2부터 권4까지는 부록인데, 권2는 조대중의 연보이며, 권 3은 기축옥과 관련된 鄭世規, 安邦俊, 羅斗冬, 許穆, 成文濬, 金宇翁의 기록, 사간원이나 사헌부, 승정원, 鄭宗溟과 鄭弘溟, 柳景등의 상소이...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주제어사전(3)
-
성문준 / 成文濬 [종교·철학/유학]
1559(명종 14)∼1626(인조 4). 조선 중기의 문신. 세순 증손, 할아버지는 수침, 아버지는 혼, 어머니는 신여량의 딸이다. 1585년(선조 18) 사마시에 합격하여 연은전참봉·세자익위사세마를 지냈다. 아버지가 무욕을 당하게 되자 벼슬을 버리고 임천에서 14년
-
신상 / 申恦 [종교·철학/유학]
1598(선조 31)∼1662(현종 3). 조선 중기의 문신. 정미 증손, 할아버지는 암, 아버지는 민일, 어머니는 성문준의 딸이다. 1629년(인조 7)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정언, 장령, 종성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은휴와집』·『부음록』·『휘언』·『진행
-
안음 / 安崟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22∼1673). 조선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후지, 어머니는 성문준의 딸이다. 김집과 송준길에게서 수학하였다.1650년(효종 1)에 생원시에 1등으로 합격하여 주부, 감찰, 예조·형조의 좌랑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1660년을 전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