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성근묵” 에 대한 검색결과 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

사전(1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84(정조 8)∼1852(철종 3).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성사(聖思), 호는 과재(果齋). 성혼(成渾)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부여현감ㆍ금구현령 정주(鼎柱)이다. 1809년(순조 9)에 사마시(司馬試)...
    이칭별칭 성사(聖思)| 과재(果齋)| 문경(文敬)
  • 강문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薦)되고 이듬해는 별천(別薦)되었다. 1832년 희릉참봉(禧陵參奉)을 거쳐 의영고봉사가 되었다. 어려서부터 학문이 뛰어나 많은 명사ㆍ고관과 교유하였다. 특히, ()ㆍ성수묵(成遂默)ㆍ정시용(鄭始容)ㆍ정윤용(鄭允容)ㆍ정정현(鄭鼎鉉)ㆍ신석수(申錫壽)ㆍ김계수...
    이칭별칭 경회(景晦)| 근재(謹齋)
  • 생육신합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諸家)의 서발(序跋)과 그들에 관한 전기자료 및 공사문서 등을 모아 묶은 것이다. 조려의 후손 조기영이 여러 자료들을 널리 고찰하여 한 질로 묶었다. 이맹전의 후손인 이가현(李家鉉)이 교수(校讐)하고 ()이 편차(編次)하였다. 김양순(金陽淳)이 출자...
  • 기범연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원곤(李源坤)의 『홍범(洪範)』 주석서. [내용] 10권 4책. 경(經)‧전(傳)‧자(子)‧사(史)에서 중요한 것과 선유(先儒)의 설을 인용하고, 자신의 견해를 덧붙여 그 뜻을 부연하였다. ()‧이양연(李亮...
  • 과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8권 4책. 활자본. 1883년(고종 20) 그의 손자 두호(斗鎬)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편집자의 후기가 있다. 권두에 총목록이 있고, 각 권마다 목차가 따로 있다. 규장각 도...

고서·고문서(11)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王府, 設鞫嚴問, 夬正典刑。 措辭見上 新除授掌令李東迪, 時在慶尙道柒谷地, 持平, 時在京畿果川地, 請竝斯速乘馹上來事, 下諭。 答府曰, 不允。 下諭事, 許遞。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設鞫嚴問, 夬正典刑。 措辭見上 新除授掌令李東迪, 時在慶尙道柒谷地, 持平, 時在京畿果川地, 請竝斯速乘馹上來事, 下諭。 答府曰, 不允。 下諭事, 許遞。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6102 B036102 남해현령 南海縣令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純祖 16年 2月 20日_021 ... 府使李亨謙, 昆陽郡守李日會, 靈巖郡守安性淵, 鳳山郡守李惟秀, 平海郡守申命源, 祥原郡守柳昇根, 濟州判官韓啓翼, 慶山縣令, 順安縣令徐任輔, 長水縣監宋明圭, 永春縣監...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道順興地, 掌令金仁根, 時在京畿驪州地, 持平, 時在京畿果川地, 請竝斯速乘馹上來事, 下諭。 答府曰, 不允。 下諭事, 許遞。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6)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84∼1852). 성혼 후손, 1809년(순조 9)에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이후 양근군수·경연관·장령·집의 등을 역임하였고, 1852년(철종 3)에 형조참의로 임명되었으나, 그해에 죽었다. 청렴·강직하였고, 학문이 뛰어났다. 저서로《과재집》이 있

  • 시흥행궁전교 / 始興行宮傳敎 [정치·법제]

    1843년(헌종 9) 3월 15일. 헌종이 시흥행궁에서 부조를 보고 당시 경연관 에게 별유한 문서. 이 글은《윤발휘초》에 실려 있어 그 발급시기와 발급인, 수취인을 알 수 있다. 또한《헌종·철종문집》에도 일부 실려 있다.

  • 눌와문고 / 訥窩文稿 [종교·철학/유학]

    ·명사관사(明沙觀射) 등 그가 살던 전라남도 영광 자은동의 36경을 묘사한 작품이다. 서(書)에는 스승인 ()과 주고받은 서한 6편이 들어 있는데, 모두 학문에 관한 문답이며, 이양연(李亮淵)과 주고받은 서한은 별지와 아울러 예설(禮說)을 논한 장편의 문답이

  • 허백당집 / 虛白堂集 [문학/한문학]

    8) 나주에서 성재항(成載恒)이 중간한 것이 전한다. 『허백당집』 권두에 ()의 중간서가 실려 있다. 성재숭(成載崇)과 성근수(成近壽)의 발문이 권말에 실려 있다. 시집 권1∼14에는 「의고십수 擬古十首」 등 각체의 시 732수가 수록되어 있으며, 문집 권1

  • 과재집 / 果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3년에 간행한 시문집. 8권 4책. 활자본. 1883년(고종 20) 그의 손자 두호(斗鎬)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편집자의 후기가 있다. 권두에 총목록이 있고, 각 권마다 목차가 따로 있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