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성균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46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068)
사전(4,089)
- 육일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성균관(成均館)의 무기고. [내용] 대사례(大射禮)에 사용하던 궁시(弓矢)ㆍ웅후(熊侯)ㆍ미후(麋侯) 등을 보관하는 전각이다. 예(禮)ㆍ악(樂)ㆍ사(射)ㆍ어(御)ㆍ서(書)ㆍ수(數)의 육예(六藝) 중의 하나라 하여 ‘육일각’이라 하였다.
- 비천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성균관의 별당. [내용] 재생(齋生)들의 학습장소 또는 임금이 성균관에 친림(親臨)하여 과거를 시행할 때 시험장소로 사용되던 곳이다. 규모는 명륜당(明倫堂)과 같이 남향으로, 중앙에 정청(正廳)이 있고, 좌우에 협실(夾室)이 있는데 모두...
- 사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 성균관의 정4품 관직. [내용] 조선 초기에는 설치되지 않았으나 1623년 인조반정 이후 유술(儒術)을 숭상하고 중히 여기기 위하여 성균관에 설치하였다. 정원은 1인으로, 품질(品秩)은 정4품이다. 겸직으로, 특히 학식...
- 청년유도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성균관(成均館)의 산하단체. [내용] 유도정신(儒道精神)에 입각한 청년운동을 전개하여 윤리회복의 구현과 인류문화의 조화를 지향함으로써 수제치평(修齊治平)의 대도(大道)를 선양하기 위하여 1976년 조직되었다. 초대회장은 최창규(崔昌圭)이...
- 전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성균관 직급의 하나. [내용] 원래 성균관은 문묘의 석전(釋奠)을 주관하고, 재생(齋生)들을 교육시키는 것을 주무(主務)로 하여 대사성 이하 40여 명의 인원이 있었으나, 교육제도의 변천으로 그 기구가 축소되었으며, 1945년 광복 후
단행본(40)
- 한국근대외교사전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저자 : 임경석(성균관대학교 사학과 교수), 김영수(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이항준(서울여자대학... | 출판사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 출판일 : 2012.10.12분야역사 | 유형단행본이 책은 1876~1910년 시기 한국 외교사의 주요 사건, 조약, 인물, 조직과 기구 등에 관한 239개 항목을 다루었다.
- 정본 여유당전서 2-문집 1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분야문학 | 유형단행본1.文集 卷八 (1)對策 2.文集 卷九 (1)策問 (2)議 (3)疏 3.文集 卷十 (1)原 (2)
- 정본 여유당전서 3-문집 2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분야문학 | 유형단행본1.文集 卷十三 (1)序 (2)記 2.文集 卷十四 (1)記 (2)跋 (3)題 3.文集 卷十五 (1
- 정본 여유당전서 4-문집 3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분야문학 | 유형단행본1.詩文集 第十八卷 (1)贈言 (2)家誡 (3)書 2.詩文集 第十九卷 (1)書 3.詩文集 第二十卷 (1)書
- 정본 여유당전서 5-잡찬집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분야문학 | 유형단행본1.附 雜纂集 一 (1)文獻備考刊誤 2.附 雜纂集 二 (1)雅言覺非 (2)耳談續纂 3.附 雜纂集 三 (1)小學珠串
논문(3)
- 소피아대학교-성균관대학교 한국학 공동 워크샵 : 불가리아와 한국의 식민지 문화 특질(언어, 문학, 사회현상) [일제강점기와 터키 식민지 시절의 한국과 불가리아 문인의 삶과 내면세계 비교 연구 | Sofia University]| 게재정보 : 한국학 공동 워크샵 자료집 , 게재일 : 2011.6.30유형논문
- 국제 학술회의 - 한국 성균관대학교, 불가리아 소피아 대학교 : 동아시아 동유럽 문화의 비교와 교류 - 그 경험과 법제 [일제강점기와 터키 식민지 시절의 한국과 불가리아 문인의 삶과 내면세계 비교 연구 | Sofia University]| 게재정보 : 한국학 공동 워크샵 자료집 , 게재일 : 2011.2.15유형논문
- 오카쿠라 요시사부로 한국문학론(1893)의 근대 학술사적 함의-19세기말 한국 시가집의 발견과 시조의 번역 [근대초기 외국인 한국고전학 역주자료집성 편찬 사업-외국인 한국고전학 서지DB구축, 주요 논저 번역, 외국어 번역 고소설 역주 | 부산대학교]저자 : 이상헌(부산대학교), 김채현(부산대학교), 윤설희(성균관대학교) | 게재정보 : 일본문화연구 30권, 게재일 : 2014유형논문
고서·고문서(3,690)
- 성균관(成均館) 상소(上疏) 초(草)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상소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상소 | 현소장처논산 노성 파평윤씨 명재 종가
- 1667년 성균관(成均館) 통문(通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진주 단목 진양하씨 단지 종택
- 1827년 성균관(成均館) 통문(通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827년 1월, 성균관에서 경주향교로 보내온 통문으로 그 내용은 풍덕을 개성에 예속시킨데 대해 호서지방의 선비들이 불만을 품고 계속해서 유언비어를 퍼트리니 이를 역모로 처벌하자고 상소를 올리는데 동참해줄 것을 호소하는 것이다. 이 통문의 설명에 따르면 최근 들어 호...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 1906년 성균관(成均館) 통문(通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906년 윤4월 성균관에서 경주향교로 보낸 통문으로 그 내용은 선대의 현인인 회재를 망령되이 핍박하고 그의 학문 연원을 거짓으로 지은 경주손씨들과 진성이씨들을 성토하는 것이다. 이 통문은 먼저 경주에서 손해익과 손최수라는 자들이 이만도‧이병호‧이만규가 망령되이 지은...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 1667년 성균관(成均館) 답통문(答通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진주 단목 진양하씨 단지 종택
구술자료(3)
- 최승훈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서울 상도동에 정착, 아버지 주변인들의 도움으로 학창시절을 보냄 6. 배재중학교, 영등포공고를 거쳐 성균관대학교 법대에 입학 7. 61년도에 입대해 부산에 있는 항만사령부에서 군 생활을 함 8. 항만사령부에서 복무하는 가운데 군수물자 착복에 연루되어 조사를 받았으나 그구술자최승훈 | 직업신협이사장 | 지역황해도
- 노융희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내아들로 출생 - 서울로 고등학교를 다녔으며 태평양전쟁 말기에 전시체제로 상황이 어려워지자 북으로 돌아감 - 인민위원회에 의해 지주들의 재산이 몰수되자 공부를 지속하기 위해 서울로 내려옴 - 성균관대학교 예과 과정을 마치고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 진학 - 전쟁 중 민사구술자노융희 | 직업교수 | 지역평안도
- 황석근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김승욱 교수, 김정은, 유봉호, 육지수, 전종국, 정범오, 한상호, 황병호, 황석진, 가톨릭의대, 김책공대, 단국대학교, 부산 동성중학교, 서울 문리사범대(명지대), 성균관대학교, 안법고등학교, 장훈고등학교, 중앙대학교, 한양대, 한인고등학교, 6.25 전쟁, 이산구술자황석근 | 직업토론토이북오도민연합회장 | 지역함경북도
기초학문(328)
- 朝鲜王朝时代的成均馆和科举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669168 한국연구재단 厦门大学 2016 朝鲜王朝时代的成均馆和科举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유형논문 | 게재일2016
- 영조 대의 성균관 과시 정책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최광만, 게재일 : 201516096 최광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교육사학회 2015 영조 대의 성균관 과시 정책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15
- 갑오경장 이후 성균관경학과와 經義問對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경용, 게재일 : 201139496 김경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교육사학회 2011 갑오경장 이후 성균관경학과와 經義問對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유형논문 | 게재일2011
- 16~17세기 성균관의 유벌(儒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현순, 게재일 : 200824881 박현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역사연구회 2008 16~17세기 성균관의 유벌(儒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08
- 更張期 朝鮮, 관리등용제도 개혁과 成均館經學科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경용, 게재일 : 200940744 김경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교육사학회 2009 更張期 朝鮮, 관리등용제도 개혁과 成均館經學科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2,338)
- 成均舘修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셩균관 대셩뎐과 동셔무가 년구퇴락야 루되 고로 학부에셔 셩균관장의 보고를 인야 장슈리로장례원에 죠회고 그 슈리 일자를츄택야 상 쥬하얏 고유졔 길일은 음력팔월 쵸팔일졀 향시에 겸고 슈 길일은 동월십삼일 손시라더라게재일1907년 9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本人이 東署崇敎坊成均館 東洋村 三十四...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人이 東署崇敎坊成均館 東洋村 三十四統三戶 家券을 遺失얏스니 誰某拾得야도 休紙施行 朴義景 告白게재일1906년 9월 24일 | 기사분류광고
- 38. 네루 수상의 서한과 총회 의장의 입장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 성균관대학교]성균관대학교 프랑스어권연구소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38. 네루 수상의 서한과 총회 의장의 입장 국제 문헌 현대 캐나다, 오타와, 인도, 뉴욕, 뉴델리, 한국 기타자료 한국전쟁 관련 캐나다와 유엔의 동향 보...대표표제어38. 네루 수상의 서한과 총회 의장의 입장 | 자료유형외교문서(전보) | 작성연월1953년 7월 | 작성일16일
- 39. 총회 소집에 대한 피어슨 의장의 입장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 성균관대학교]성균관대학교 프랑스어권연구소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39. 총회 소집에 대한 피어슨 의장의 입장 국제 문헌 현대 베이징, 모스크바 기타자료 한국전쟁 관련 캐나다의 동향 보고 피어슨, 로닝, 베이징, 모스...대표표제어39. 총회 소집에 대한 피어슨 의장의 입장 | 자료유형외교문서(전보) | 작성연월1953년 7월 | 작성일16일
- 40. 협정안 추가 안건에 대한 필리핀 정부의 입장 전달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 성균관대학교]성균관대학교 프랑스어권연구소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40. 협정안 추가 안건에 대한 필리핀 정부의 입장 전달 국제 문헌 현대 필리핀, 프랑스, 워싱턴 기타자료 휴전협상 관련 필리핀의 동향 보고 네리, 필...대표표제어40. 협정안 추가 안건에 대한 필리핀 정부의 입장 전달 | 자료유형외교문서(전보) | 작성연월1953년 7월 | 작성일17일
멀티미디어(1,830)
- 성균관에서 제시하는 제사준비와 진행_7주차_1차시
[K-종교의 이미지, 참여 그리고 실천: K-종교의 독자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 및 다큐멘터리 플랫폼 | 서강대학교]차. 오신채와 향료 3주차. 음식을 먹는 수행 - 발우 공양 4주차. 몸을 깨워 살리는 공양간과 조왕단 5주차. 부처님의 지혜가 담긴 음식과 불교의 상징 연의 약효 6주차. 기제사와 명절 차례 제사음식 7주차. 성균관에서 제시하는 제사준비와 진행 8주차. 제사상 차리는강좌제목K-FOOD와 종교 II | 강의자박유미 교수, 김해인 교수 - 성균관에서 제시하는 제사준비와 진행_7주차_2차시
[K-종교의 이미지, 참여 그리고 실천: K-종교의 독자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 및 다큐멘터리 플랫폼 | 서강대학교]차. 오신채와 향료 3주차. 음식을 먹는 수행 - 발우 공양 4주차. 몸을 깨워 살리는 공양간과 조왕단 5주차. 부처님의 지혜가 담긴 음식과 불교의 상징 연의 약효 6주차. 기제사와 명절 차례 제사음식 7주차. 성균관에서 제시하는 제사준비와 진행 8주차. 제사상 차리는강좌제목K-FOOD와 종교 II | 강의자박유미 교수, 김해인 교수 - 성균관에서 제시하는 제사준비와 진행_7주차_3차시
[K-종교의 이미지, 참여 그리고 실천: K-종교의 독자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 및 다큐멘터리 플랫폼 | 서강대학교]차. 오신채와 향료 3주차. 음식을 먹는 수행 - 발우 공양 4주차. 몸을 깨워 살리는 공양간과 조왕단 5주차. 부처님의 지혜가 담긴 음식과 불교의 상징 연의 약효 6주차. 기제사와 명절 차례 제사음식 7주차. 성균관에서 제시하는 제사준비와 진행 8주차. 제사상 차리는강좌제목K-FOOD와 종교 II | 강의자박유미 교수, 김해인 교수 - 성균관에서 제시하는 제사준비와 진행_7주차_4차시
[K-종교의 이미지, 참여 그리고 실천: K-종교의 독자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 및 다큐멘터리 플랫폼 | 서강대학교]차. 오신채와 향료 3주차. 음식을 먹는 수행 - 발우 공양 4주차. 몸을 깨워 살리는 공양간과 조왕단 5주차. 부처님의 지혜가 담긴 음식과 불교의 상징 연의 약효 6주차. 기제사와 명절 차례 제사음식 7주차. 성균관에서 제시하는 제사준비와 진행 8주차. 제사상 차리는강좌제목K-FOOD와 종교 II | 강의자박유미 교수, 김해인 교수 - 성균관에서 제시하는 제사준비와 진행_7주차_5차시
[K-종교의 이미지, 참여 그리고 실천: K-종교의 독자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 및 다큐멘터리 플랫폼 | 서강대학교]차. 오신채와 향료 3주차. 음식을 먹는 수행 - 발우 공양 4주차. 몸을 깨워 살리는 공양간과 조왕단 5주차. 부처님의 지혜가 담긴 음식과 불교의 상징 연의 약효 6주차. 기제사와 명절 차례 제사음식 7주차. 성균관에서 제시하는 제사준비와 진행 8주차. 제사상 차리는강좌제목K-FOOD와 종교 II | 강의자박유미 교수, 김해인 교수
기타자료(747)
- 성균관 유도회분규의 진상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성균관 유도회분규의 진상 성균관 유도회분규의 진상 교육 문헌 고등교육 학교운영 잡지 ...범주1고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정남수 | 사료철명교육평론
- 도하각대학순례기(2)-성균관대학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도하각대학순례기(2)-성균관대학편 도하각대학순례기(2)-성균관대학편 都下各大學巡禮記(二)-成均館大學編 교육 문헌 현대 고등교육 학교운영 교육행정범주1고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하윤 | 사료철명신천지
- 학원풍토기-겨레의 문화전통 이어온 전당-성균관대학교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학원풍토기-겨레의 문화전통 이어온 전당-성균관대학교편 학원풍토기-겨레의 문화전통 이어온 전당-성균관대학교편 學園風土記-겨레의 文化傳統 이어온 殿堂-成均館大學校編 교육 문헌 고등교육...범주1고등교육 | 형식잡지 | 사료철명교육평론
- 성균관대학교600년사 1398-1998 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성균관대학교600년사 1398-1998 인 성균관대학교600년사 1398-1998 인 成均館大學校 六百年史 1398-1998 人 교육 문헌 현대 학교사 대학사범주1학교사 | 형식단행본 | 한글저자성균관대학교교사편찬위원회
- 성균관대학교600년사 1398-1998 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성균관대학교600년사 1398-1998 지 성균관대학교600년사 1398-1998 지 成均館大學校 六百年史 1398-1998 地 교육 문헌 현대 학교사 대학사범주1학교사 | 형식단행본 | 한글저자성균관대학교교사편찬위원회
연구과제(53)
-
궁궐 안 사람들의 옷 이야기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민주 | 성균관대학교 | 2007 | 국내 | 서울
-
국제유교문화포럼 -구성과 운영-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최영진 | 성균관대학교 | 2007 | 국내 | 서울
-
한국학 교재개발 및 출판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동택 | 성균관대학교 | 2007 | 국내 | 서울
-
아시아 각국과 한국의 문명교류사 연구 및 출판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희옥 | 성균관대학교 | 2007 | 국내 | 서울
-
한국외교사전(근대편)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임경석 | 성균관대학교 | 2007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342)
-
성균관 / 成均館 [교육/교육]
조선시대에 인재양성을 위하여 서울에 설치한 국립대학격의 유학교육기관. 성균관은 조선 왕조가 들어선 뒤에도 그대로 존치되었다. 1395년(태조 4)부터 건축공사가 시작되어 3년 만에 대성전(大聖殿 : 단종 때 大成殿으로 개칭)과 동무(東廡)·서무(西廡)의 문묘를 비롯
-
성균관느티나무 / 成均館─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개성직할시 방직동에 있는 느티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387호. 느티나무는 성균관 마당 안에 있다. 성균관 마당에는 북한의 천연기념물 제386호인 두 그루의 은행나무가 자라고 있으며 주변에는 은행나무, 느티나무들이 자라고 있다. 나무의 수령은 약 4
-
동지성균관사 / 同知成均館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성균관에 소속된 종2품 관직. 동지성균관사는 고려의 성균관직에서는 볼 수 없고, 1398년(태조 7)에 처음 나타난다. 인원은 2인으로 다른 관직자가 겸임하도록 되어 있었다. 1466년(세조 12) 같은 겸직이던 성균관의 겸대사성(兼大司成)·겸사성(兼司成)
-
성균관은행나무 / 成均館銀杏─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개성직할시 방직동 성균관에 있는 은행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386호. 은행나무는 성균관 마당에 두 그루가 서 있다. 성균관 마당에는 북한 천연기념물 제387호인 느티나무가 있고 주변에는 썩은 느티나무와 은행나무들이 있다. 은행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
-
송병선시강원찬선겸성균관좨주고신 / 宋秉璿侍講院贊善兼成均館祭酒告身 [정치·법제/법제·행정]
1880년 10월에 송병선을 통정대부시강원찬선겸성균관제주로 임명하는 고신. 통정대부는 정3품 상계로 당상관이고, 본 고신은 3품이상의 문관에게 발급되는 관교로 국왕의 명령으로 발급되었으므로 문서의 시작부분에 '교지'라 하였다. 세자시강원은 세자의 교육을 담당한 정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