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섭좌통례” 에 대한 검색결과 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

사전(13)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으로 승진할 수 있었던 반면 좌통례(左通禮)는 450일의 근무 기일이 지나면 당상관으로 승진할 수 있었다. 一攸司設靈座於魂殿北壁南向虞主車至城門外祗迎所俯伏跪啓請少駐殿下出次俯伏哭四拜如儀留都群官同俯伏跪, (빈전1683/177ㄴ05~07)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통례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조선 시대 통례원(通禮院)의 정3품 벼슬. 좌통례와 우통례가 있었다. 좌통례가 당상관으로 승진하여 자리가 비면 우통례를 그 근무 일수를 따지지 않고 임명한다. 大輿馳擔駐於馬木之上拔長橫杠進短橫杠啓請進發大輿進發至興仁門外啓請小駐復進長橫杠進發如上儀殿下出,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집탁자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국장(國葬)에서 상여가 나갈 때 방울을 흔드는 사람. 進當大輿前俯伏跪啓請靈駕進發俯伏興退儀衛導從如式執鐸者振鐸靈駕進止皆振鐸靈駕動承旨二人隨行宮人, (국장1681/088ㄴ10~12)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소차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국가 의례 시 임시로 설치했던 왕세자의 자리. 궁중 연향과 같은 국가의 의식이 있을 때 왕세자가 임시로 머물던 가건물로 기둥을 세우고 천막을 사용하여 만들었다. 왕과 왕비의 처소는 대차(大次)라 하여 구분하였다. 大輿至興仁門內啓請小駐大輿小駐殿下降輦入小次設小...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요여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帳殿帷門外進當輦前俯伏跪啓請降輦陞輿俯伏興內侍以腰輿進神帛輦前內侍捧神帛函安於腰輿至帷門內啓請降輿陞, (국장1890/150ㄴ07~09)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

    의례에서 왕에게 의식 절차를 차례대로 아뢰는 일을 담당한 직책. 통례원 소속 정3품의 관원으로 조하, 제사, 찬알 등의 의례에서 왕이 순조롭게 의식을 행할 수 있도록 의례 순서를 아뢰며 진행하였다. 우통례는 좌통례를 거쳐 당상관으로 승진할 수 있었던 반면 좌통례는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