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섬학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
사전(16)
- 贍學錢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7_D_0022 贍學錢 교육 庠序毁 安裕 D_09_04_11 대동운부군옥 9권 4장 11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9권 4장 1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贍學錢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4_D_0087 贍學錢 정책-제도 庠序, 儒學, 養賢庫, 出錢 安裕 麗史 D_05_01_48 대동운부군옥 5권 1장 48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1장 4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섬학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정에 건의하여 유학의 진흥을 위한 장학기금으로 문무관리 6품 이상은 은(銀) 1근씩, 7품 이하는 포(布)를 내게 하였다. 이를 섬학전이라 하는데 기금을 양현고(養賢庫)에 귀속시켜 섬학고(贍學庫)라 하고 그 이식으로써 학교를 운영하도록 하였다. 조정에서는...이칭별칭향교전
- 섬학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 때 국학생(國學生)들의 장학 기금.정의고려 때 국학생(國學生)들의 장학 기금.[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seomhakjeon | MR표기sŏmhakch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안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양성에 충당하도록 하였다. 그해 12월 첨의시랑찬성사판판도사사감찰사사(僉議侍郎贊成事判版圖司事監察司事)가 되었다. 1304년 5월 섬학전(贍學錢)을 마련하여 박사(博士)를 두어 그 출납을 관장하게 했는데, 이는 오늘날의 육영재단과 성격이 같은 것으로서 당시에 국자...이칭별칭 사온(士蘊)| 회헌(晦軒)| 문성(文成)
고서·고문서(8)
- 人事門10_從祀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從祀 前朝之從祀文廟者, 薛弘儒以方言解義, 崔文昌以密贊王業, 咸非定論. 安文成之陞配也, 時議以爲: “雖有建置國學、贍學錢之功, 豈可以此從祀乎?” 其門生辛蕆力請爲之. 鄭圃隱忠烈, 豈非卓絶, 而著撰不傳, 恐非萬世之公議也. 至於金文敬、鄭文獻二先生, 已有退溪之說, 可考. 至於近...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六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朝鮮地誌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贍學錢을 置ᄒᆞ고 ᄯᅩ 그 臧獲을 納ᄒᆞ며 晦庵眞을 掛ᄒᆞ고 써 景慕ᄅᆞᆯ 致ᄒᆞ니라 忠肅王六年에 文廟에 從祀ᄒᆞ고 謚ᄅᆞᆯ 文成이라ᄒᆞ다 鄭汝昌은 本朝河東人이니 年八嵗에 明使張寧이 見ᄒᆞ고 異之ᄒᆞ야 汝昌이라 名ᄒᆞ니라 汝昌이 事親을 至孝ᄒᆞ고 理學에 精明ᄒᆞ더라 我...서명朝鮮地誌 | 자료명人物
- 舊都開城留後司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寺西梧桐坊置守陵八戶】文廟【在松嶽東馬巖北置祭田六結及贍學田一百五十結又置敎授官一人敎養生徒以五十爲額】四方界域 【東至松林板積川十五里西至碧瀾渡三十里南至海豐朽斤石二十五里北至王興山洞三十一里】都城戶四千八百十九口八千三百七十二巡綽牌軍丁摠一千名屬縣開城戶八百四十四口二千二十一馬軍六十八步軍五舡軍...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京都漢城府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靈宮之制改營原廟于景福宮城內之東北前廟後寢一遵古禮因名文昭殿移安兩殿神御】文廟【在崇敎坊廟庭有碑置成均館學官敎養士子以二百人爲額旁置養賢庫給贍學田一千三十五結今上十三年辛亥加給九百六十五結】景福宮【在白嶽山南】燕寢曰康寧殿東小寢曰延生殿西小寢曰慶成殿又其南曰思政殿【視事之所】又其南曰勤政殿【受朝之所...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中等敎科東國史略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十二 立學諸州 六十四 贍學錢 六十四 科擧 六十五 黑册粉紅 六十六 職限 六十六 敎法 儒學 六十七 十二徒 六十七 禁老莊學 六十八 性理學始行 六十八 儒學著書 六十九 釋奠 六十九 佛敎 六十九 禪宗之始 七十 創天台宗 七十 分佛敎爲敎宗禪宗 七十 程朱學隆興影響 七十一 道敎 七十一 ...서명中等敎科東國史略 | 자료명目錄
신문·잡지(1)
- 우리 한국의 교육내력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이두(吏讀), 최고운(崔孤雲), 최광유(崔匡裕), 최언위(崔彦撝), 김인존(金仁存), 과거법, 김양감, 안문성(安文成), 이학(理學), 섬학전(贍學錢),우탁(禹倬), 역학(易學), 권보(權溥), 이제현(李齊賢), 이색(李穡), 정몽주(隱夢周), 길야은(吉冶隱), 김숙자...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3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주제어사전(1)
-
섬학전 / 贍學錢 [교육/교육]
고려시대 안향의 제의에 따라 국학생들의 학비를 보조하기 위하여 관리들이 품위에 따라 낸 장학기금. 안향은 1304년(충렬왕 30) 조정에 건의하여 유학의 진흥을 위한 장학기금으로 문무관리 6품 이상은 은 1근씩, 7품 이하는 포를 내게 하였다. 이를 섬학전이라 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