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설화”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06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551)
사전(1,769)
- 설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일정한 구조를 가진 꾸며낸 이야기. [내용] 그렇기 때문에 일상적인 신변잡담이나 말로 전하는 역사적 사실 등은 설화의 범주에 들어가지 않는다. 설화 가운데 사실담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것은 사실 자체를 그대로 이야기한 것이라기...
- 雪花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A3_S_0016 雪花 기상현상 六出, 春雪五出, 桅子 大明五年正月 劉宋 朱子, 李白, 李夢陽, 何孟春, 太宰義恭 綱目 S_02_01_46 성호사설 2권 1장 46절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2권 1장 4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설화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사람들 사이에서 전승되어 온 일정한 줄거리를 가진 허구적인 이야기.정의사람들 사이에서 전승되어 온 일정한 줄거리를 가진 허구적인 이야기.[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문학사전] | 문광부표기seolhwa | MR표기sŏrhw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서동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신라 진평왕 때 백제 무왕이 지었다는 향가. [개설] 4구체. 향찰(鄕札)로 표기된 민요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 노래는 『삼국유사』 기이(紀異) 제2 무왕(武王)조에 수록되어 있는 서동설화(薯童說話)에 끼어 전한다. 이 설화에 의하면,...
- 암석설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바위를 소재로 한 설화. [내용] 우리 나라 어느 고장에나 널리 퍼진 설화로 소재가 암석이라는 것은 같으나 내용은 각기 다르다. 다른 것이 바위로 변한 화석설화(化石說話)를 제외한 암석설화를 분류하면 ① 바위 모양을 풀이하는 것, ② 어...
단행본(6)
- 한국의 불교 설화 [스리랑카 지역의 한국학 교육/연구/확산 기반 구축: 캘라니야대학교를 중심으로 | University of Kelaniya]저자 : ... | 출판사 : 캘라니야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출판일 : 201912
- 한중통역교육 -노설화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 | 출판사 : 북경대학출판사 | 출판일 : 2014.07.분야경제‧산업 | 유형단행본
- 글로벌 아시아의 이주와 젠더-노설화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왕용, 도송, 노설화... | 출판사 : 연변대학출판사 | 출판일 : 2014.08.분야생활 | 유형단행본
- 바로 써 먹을 수 있는 한국문화 [베트남의 한국학 발전을 위한 교육연구 체계 구축 | VNU University of Languages and International Studies (Hanoi)]저자 : 황우철, Do Phuong Thuy ... | 출판사 : 세계출판사 (Nha xuat ban The gioi) | 출판일 : 20220531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울 때 종종 어려움을 겪는다. 한국문화를 잘 몰라서 한국문화가 담긴 한국어 표현을 이해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저서에서는 한국인들이 자주 사용하는 표현을 모아서 그 표현을 이해하기 위해 역사, 종교, 설화 세 분야의 배경 지식을 다룬다.
- 한국인의 문화유전자를 담은 옛날 이야기 [국립대만사범대학 한국학 전공 개편 신설 | National Taiwan Normal University]저자 : 이정민 외 ... | 출판사 : 凌宇出版 | 출판일 : 20210531第一, 本書所記載的傳說故事,是記載於韓國的小學課本,所以只要是韓國人,沒有人不知道這些故事。而透過這些故事,可以理解韓國的社會文化、風俗民情與韓國人的精神象徵。 第二, 本書以韓文故事與中文翻譯雙語方式刊行,對韓語學習者可學習到講故事的語體、詞彙與句型。 第三, 本書按故事...
논문(5)
- 한국과 스리랑카 불교설화의 전생 모티프 [스리랑카 지역의 한국학 교육/연구/확산 기반 구축: 캘라니야대학교를 중심으로 | University of Kelaniya]저자 : 김진량 | 게재정보 : Modern Oriental Studies
- 한국 오동도와 일본 이나바의 토끼설화의 비교연구 [동북아시아 지역 구전 설화 비교 연구 | 한국구비문학회]저자 : 노성환(울산대학교) | 게재정보 : 구비문학연구 33권, 게재일 : 2011.12유형논문
- 中国古代小说和朝鲜半岛古代小说的发展关系探讨 [융복합형 전문인력 양성: 중국 내 최고 수준의 한국학 선도대학 재건 프로젝트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정해군 | 게재정보 : 세계가원유형논문
-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설화 콩쥐팥쥐와 바왕메라 바왕푸티 비교 연구 [인도네시아 교육대학교의 한국학 교육 강화 | Universitas Pendidikan Indonesia]저자 : Magareth Teresia | 게재정보 : 동아시아고대학
- 萬寶山事件小說化的差異研究——以安壽吉的《水稻》與李輝英的《萬寶山》為中心 [중국내 한국학 정착을 위한 선택과 집중의 한국학교육연구시스템 구축 -이문화(異文化)간 상호 교섭과 인식의 한국학 정립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郭文昕 | 게재정보 : 韓國語教學與研究유형논문
고서·고문서(782)
- 玉屑華談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4510 잡가 가집 16002 1934년 이후 이왕직 아악부 필사본 玉屑華談 [98] 天地玄黃 삼긴 後에 日月盈昗 발갓세라 萬物이 繁盛하고 山川이 開坼하니 崑崙山 第一峰은 山岳之朝宗이요 三岐龍 흘너나려 天下 九州 되여세라 百川이 東流하...구분잡가 | 편저자이왕직 아악부
- 玉屑華談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4588 잡가 雅樂部歌集 16003 1934년 이후 이왕직아악부 필사본 玉屑華談 [21] 天地玄黃 삼긴 後에 日月盈昗 발갓세라 萬物이 繁盛하고 山川이 開坼하니 崑崙山 第一峰은 山岳之朝宗이요 三岐龍 흘너나려 天下 九州 되여세라 百川이 東...구분잡가 | 편저자이왕직아악부
- 알렌이 설화와 함께 고소설을 번역하여 엮은 책, [토끼전], [흥부전], [심청전], [춘향전], [홍길동전], [백학선전]이 있다.자료구분고소설 | 저자H. N. Allen | 출처Korean Tales V | 발행년도1898
- 玉說花談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3704 잡가 永言叢錄 13037 玉說花談 [3] 天地玄黃 삼긴 後에 日月盈昗 되어셔라 萬物이 蕃生고 山川이 開坼니 崑崙山 第一峰은 山嶽의 祖宗이요 三枝龍 흘너들러 天下九州 되여셔라 百川이 東流여 東海의 朝臣이요 千峰이 壁立니 北...구분잡가
- 악대설화(幄對說話)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역사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구술자료(454)
- 민비 설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녁 느티나무가 서 있는 정자나무 아래에서 이야기가 진행되는 동안 누군가가 이 제보자를 모셔 왔다. 나이가 들어서 젊은 사람들이 부축하여 어두운 길을 전등불로 비추며 왔다. 이 제보자가 자리에 앉자, 청중들은 일체 입을 다물었고 이야기판은 순전히 이 제보자의 독무...조사일시1981-07-16 | 조사장소경기도 강화군 길상면 | 제보자김순이
- 시작설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일시1979.08.08 | 제보자이금봉
- 장비설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일시1979.08.12 | 제보자편식근
- 처녀설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일시1979.08.12 | 제보자편식근
- 궁녀설화+이성계설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일시1979.08.12 | 제보자편식근
기초학문(217)
- 도선설화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윤수경, 게재일 : 200511126 윤수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전남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2005 도선설화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유형논문 | 게재일2005
- 도선설화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현숙, 게재일 : 200906680 김현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전공 2009 도선설화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유형논문 | 게재일2009
- 백제설화의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강현모, 게재일 : 200114075 강현모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비교민속학회 2001 백제설화의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29b7d유형논문 | 게재일2001
- 김복선 설화의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강현모, 게재일 : 201349501 강현모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문화학회 2013 김복선 설화의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유형논문 | 게재일2013
- 韓中 城隍說話 比較 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50175 한국연구재단 한국구비문학회 韓中 城隍說話 比較 硏究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00유형논문
신문·잡지(190)
- 설화중출(說話中出)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설화중출(說話中出) 說話中出 설화중출 형태서지 般月 抄 朝鮮 韓國 筆寫本 [發行地不明] [發行處不明] [1900年代]寫 不分卷1冊 24.8x16...대표표제어설화중출(說話中出) | 대표서명說話中出 | 한글서명설화중출 | 서지형태형태서지
- 선문염송설화(禪門拈頌說話)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선문염송설화(禪門拈頌說話) 1 禪門拈頌說話 선문염송설화 형태서지 覺雲 撰 高麗 韓國 木板本 廣陽 楞伽寺 1707年(肅宗 33) 東裝 3冊(零本)...대표표제어선문염송설화(禪門拈頌說話) 1 | 대표서명禪門拈頌說話 | 한글서명선문염송설화 | 서지형태형태서지
- 선문염송설화(禪門拈頌說話)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선문염송설화(禪門拈頌說話) 2 禪門拈頌說話 선문염송설화 형태서지 覺雲 撰 高麗 韓國 筆寫本 [發行地不明] [發行處不明] [刊寫年未詳] 東裝 6卷...대표표제어선문염송설화(禪門拈頌說話) 2 | 대표서명禪門拈頌說話 | 한글서명선문염송설화 | 서지형태형태서지
- 선문염송설화(禪門拈頌說話) 3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선문염송설화(禪門拈頌說話) 3 禪門拈頌說話 선문염송설화 형태서지 覺雲 撰 高麗 韓國 木板本 [發行地不明] [發行處不明] [刊寫年未詳] 東裝 1冊...대표표제어선문염송설화(禪門拈頌說話) 3 | 대표서명禪門拈頌說話 | 한글서명선문염송설화 | 서지형태형태서지
- 선문염송설화(禪門拈頌說話) 4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선문염송설화(禪門拈頌說話) 4 禪門拈頌說話 선문염송설화 형태서지 覺雲 撰 高麗 韓國 木板本 [發行地不明] [發行處不明] [刊寫年未詳] 東裝 1冊...대표표제어선문염송설화(禪門拈頌說話) 4 | 대표서명禪門拈頌說話 | 한글서명선문염송설화 | 서지형태형태서지
멀티미디어(99)
- 달성 설화리고분군 bb6-0054_#1 유구 달성 설화리고분군 전경 bb6-0054_1_2015-04-21_8341_달성 설화리고분군 전경.jpg bb6-0054_#2 유구 달성 설화리고분군 석곽묘 12호 bb6-0054_2_20제목달성 설화리고분군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달성 설화리유적 bb6-0055_#1 유구 달성 설화리유적 전경 2014-12-03_0.7335016_달성 설화리유적 전경.jpg bb6-0055_#2 유구 달성 설화리유적 수혈유구 1호 2014-12-03_0.7239191_달성제목달성 설화리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긴 옛 이야기의 세계 : 이야기 갈래의 개관 7주차. 신과 영웅 이야기 : 신화,소설 8주차. 귀신과 변신 이야기 : 설화,야담 9주차. 사랑 이야기 : 야담,소설 45주차. 가족 이야기 : 야담,소설 02 한국 노래와 이야기의 원형_8주차.pdf 차충환 경강의자차충환 | 주차귀신과변신이야기 _ 설화,야담_8주차
- 긴 옛 이야기의 세계 : 이야기 갈래의 개관 7주차. 신과 영웅 이야기 : 신화,소설 8주차. 귀신과 변신 이야기 : 설화,야담 9주차. 사랑 이야기 : 야담,소설 46주차. 가족 이야기 : 야담,소설 02 한국 노래와 이야기의 원형_8주차.pdf 차충환 경강의자차충환 | 주차귀신과변신이야기 _ 설화,야담_8주차
- 긴 옛 이야기의 세계 : 이야기 갈래의 개관 7주차. 신과 영웅 이야기 : 신화,소설 8주차. 귀신과 변신 이야기 : 설화,야담 9주차. 사랑 이야기 : 야담,소설 47주차. 가족 이야기 : 야담,소설 02 한국 노래와 이야기의 원형_8주차.pdf 차충환 경강의자차충환 | 주차귀신과변신이야기 _ 설화,야담_8주차
연구결과보고서(2)
- 동북아시아 지역 구전 설화 비교 연구 결과보고서 [동북아시아 지역 구전 설화 비교 연구 | 한국구비문학회]자료유형연구보고서
-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기타자료(27)
- 김설화;金雪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4452 북한 경기 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3-13 好鐘 제10호 1937―12―20 156면 (2) 졸업생일람 김설화;金雪花 해주군 청룡면 영양리 674 고보16회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설화;金雪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2479 남한 경성 이화여자전문학교 1-39 이화여자전문이화보육학교일람 1937 110면 1. 제7. 생도;1) 생도 성명, 원적 및 출신학교명;(14) 梨保 제1학년 김설화;金雪花 (원적)...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이화여자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달성 설화리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bb6-0055 유구 2014-12-03_0.2919428_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_달성 설화리유적_표지.jpg 달성 설화리유적 達城 舌化里遺蹟 2009 (재)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74 박영복,이청규,김세기,김권구,이재경,안창석,류재극 유구조...발행연도2009 | 발굴기관(재)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대구광역시
- 달성 설화리고분군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bb6-0054 유구 2014-08-10_0.9835321_영남문화재연구원-달성설화리고분군-2005. 표지.jpg 달성 설화리고분군 達城 舌化里古墳群 2005 (재)영남문화재연구원 359 이백규,김종철,정영화,조유전,최몽룡,이희준,조영현,...발행연도2005 | 발굴기관(재)영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대구광역시
- 국민학교설화교육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국민학교설화교육 국민학교설화교육 國民學校 說話敎育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과교육 잡지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기창 | 사료철명수도교육
연구과제(11)
-
동북아시아 지역 구전 설화 비교 연구
구술자료 아카이브 구축사업 | 정재민 | 한국구비문학회 | 2008 | 국내 | 서울
-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신동흔 | 건국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구술자료 아카이브 구축사업 | 김병선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
스리랑카 지역의 한국학 교육/연구/확산 기반 구축: 캘라니야대학교를 중심으로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김진량 | University of Kelaniya | 2015 | 국외 | 해외
-
삼한습유 번역
한국 학술 번역사업 | 이주연 | 한국외국어대학교 | 2021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507)
-
설화 / [문학/구비문학]
일정한 구조를 가진 꾸며낸 이야기. 설화는 구전됨으로써 그 존재를 유지해 가는데, 설화의 구전은 일정한 몸짓이나 창곡(唱曲)과는 관계없이 보통의 말로써 이루어지며 이야기의 구조에 힘입어 전승된다. 즉, 화자는 이야기의 세세한 부분을 그대로 기억하여 고스란히 그것을 전
-
감생설화 / 感生說話 [문학/구비문학]
남녀의 결합이 아닌 특이한 계기나 성스러운 물체의 정기를 받아 잉태하게 되었다는 설화. 우리 나라에서는 『삼국유사』·『삼국사기』·『동국여지승람』 등의 문헌과 여러 가지 구전설화를 통해 전해지고 있는데, 다른 나라에도 널리 분포되어 있다. 감생설화는 그 행위나 상황의
-
강연설화 / 講筵說話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시강원에서 제23대 왕 순조의 경연에서 강의한 내용을 수록한 강론집. 22책. 필사본. 연설(筵說)내용을 기술하기 전에 경연의 날짜·장소, 강의대상서적, 입시 신하 등을 기재하였다.경연장소는 성정각(誠正閣)·희정당熙政政堂)·흥정당(興政堂)·함인정(涵仁亭) 등인
-
개안설화 / 開眼說話 [문학/구비문학]
앞을 볼 수 없던 사람이 어떤 일을 계기로 눈을 떴다는 내용의 설화. 이 설화에는 효녀자기희생형(孝女自己犧牲型), 산삼동자형(山蔘童子型), 쫓겨난 여인 발복형(發福型), 지렁이 고기를 먹고 눈 뜬 시어머니형 등 네 가지 유형이 있다. 효녀자기희생형 개안설화는, 가난한
-
계모설화 / 繼母說話 [문학/구비문학]
계모와 전실 자식과의 관계를 소재로 한 설화. 악한 계모의 이야기는 그 수가 많고, 내용도 다채로우나 대체적인 줄거리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① 부모의 사랑을 받으며 자라던 아이가 어머니를 여의었다. ② 아버지의 재혼으로 하여 아이는 계모를 맞이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