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설총” 에 대한 검색결과 2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6)

사전(15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명경(明經)을 업(業)으로 하는 이가 전수(傳受)해 끊이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이 두 기록을 근거로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걸쳐 이두창제설(吏讀創製說)이 비롯되었으나, 이는 틀린 것이다. 여러 기록에서 ‘吏讀‧吏道‧吏吐‧吏套‧吏頭‧吏札’ 따위로 불...
    이칭별칭 총지(聰智)| 홍유(弘儒)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원효의 아들이다. 귀신의 변괴가 발생하자, 비형을 시켜 귀신을 제압하도록 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동국(東國)에서 온 9명 중 하나로, 학문에 공은 없으나, 성문의 공315) 원문에는 ‘전남감사’로 되어 있다. 316) 43회본에서만 보인다. 을 인정받아 소국의 문신이 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TD_L14_D_2609 인물 花王諷 D_13_01_15 대동운부군옥 13권 1장 15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3권 1장 1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1694 인물 方言 九經, 羅史 D_10_03_11 대동운부군옥 10권 3장 11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3장 1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43)

  • 覽 : 電氣, 建設, 電子, 通信業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電覽 : 電氣, 建設, 電子, 通信業 공학 전기공학 전기공학일반 電覽 : 電氣, 建設, 電子, 通信業 대한 전기기사협회 電設文...
    대표표제어電設總覽 : 電氣, 建設, 電子, 通信業 | 대분류공학 | 중분류전기공학 | 소분류전기공학일반
  • 1974년 화수계총회시시도(花樹會時時到)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시도기 | 현소장처안동 수곡 전주유씨 무실 종가
  • 工事録1(李王邸の部)昭和3~5年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1001372014100137_001 工事録1(李王邸の部)昭和3~5年 排水管埋斷圖 배수관을 매설하는 종단도 궁내청 공문서관 10074-1 0014 29 도면 궁내성 1928년 9월 1...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4. 12. 05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05472 창가 최신창가집 부악전 22028 仁宅 〈mn〉오선악보 있음. 악보 안에 1절 가사가 적혀있다.〈/mn〉 〈e〉朝鮮古歌 作〈/e〉 〈#139〉 [ 一、 ] 인심은 터이 되고 효제충신 긔동되야 예의 염치 울을 삼아 애친경장 육사친우 ...
    구분창가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바쁘시리라 최 길림성(吉林省) 연길시(延吉市) 연변(延边) 건공사 2 1 바쁘시리라, 아버지, 누님, 찾으려, 최씨...
    대표표제어바쁘시리라 | 성씨

신문·잡지(10)

  • 覽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파쥬군 셰무쥬 셔헌씨와 지 신현한 김교셩 로학긔 졔씨가 공립으로 신문잡지 죵람소를 읍에 셜립야 인민을 문명 디경으로 인도코자 다니 졔씨의 유지심을 손을들어 하례노라
    게재일1907년 8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우리 한국의 교육내력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으로 다룬 글 동국유사(東國遺事), 기자, 요순우탕(堯舜禹湯), 삼한, 신라, 고구려, 백제, 이사금(尼斯今), 마립간(麻立干), 아직기(阿直岐), 키라츠(稚郞), 왕인(王仁), 고흥(高興), 서기, 협보, 김춘추, 임강수(任强首), 설홍유(薛弘儒), (),...
    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3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나의 날 제정을 위하여 시인 장우현 50 이단자의 독백 동광건무과장 박조웅 51 작은 관심 시인 김재황 52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8
  • 1절 경축행사가 성대히 진행되었다. 북평에서는 아침부터 북평시 인민정부 건설국 시대 직맹 및 그에 소속된 각 직맹 화북인민정부 교통부 북평시우편국 승리인쇄공장 등의 로동자들과 학생들이 뒤를 이어 시위행진을 하였는데 그들의 노랫소리와 환호성 그리고 구호의 소리는 거...
    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506_03 | 책임주필강길모
  • 해방구 제도시에서는 자유로운 환경 아래 5·1절 경축 행사가 성대히 진행되었다. 북평에서는 아침부터 북평시 인민정부 건설국 시대 직맹 및 그에 소속된 각 직맹 화북인민정부 교통부 북평시 우편국 승리인쇄공장 등의 로동자들과 학생들이 뒤를 이어 시위행진을 하였는데 그들...
    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9_0506_04 | 책임주필림상준

멀티미디어(61)

  • 과 이두_차자표기의 탄생_1주차_1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기의 역사적 변화를 다루는 본 강좌는 한국학연구성과의해외 보급과해외 현지의 한국학 강좌 수요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1주차. 과 이두,차자표기의 탄생 2주차. 차자표기의 종류와 초기 이두 자료 3주차. 8세기~10세기의이두 자료 4주차. 13세기~14
    강좌제목한국의 문자 발명가와 표기의 역사 | 강의자장경준
  • 과 이두_차자표기의 탄생_1주차_2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기의 역사적 변화를 다루는 본 강좌는 한국학연구성과의해외 보급과해외 현지의 한국학 강좌 수요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1주차. 과 이두,차자표기의 탄생 2주차. 차자표기의 종류와 초기 이두 자료 3주차. 8세기~10세기의이두 자료 4주차. 13세기~14
    강좌제목한국의 문자 발명가와 표기의 역사 | 강의자장경준
  • 과 이두_차자표기의 탄생_1주차_3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기의 역사적 변화를 다루는 본 강좌는 한국학연구성과의해외 보급과해외 현지의 한국학 강좌 수요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1주차. 과 이두,차자표기의 탄생 2주차. 차자표기의 종류와 초기 이두 자료 3주차. 8세기~10세기의이두 자료 4주차. 13세기~14
    강좌제목한국의 문자 발명가와 표기의 역사 | 강의자장경준
  • 과 이두_차자표기의 탄생_1주차_4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기의 역사적 변화를 다루는 본 강좌는 한국학연구성과의해외 보급과해외 현지의 한국학 강좌 수요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1주차. 과 이두,차자표기의 탄생 2주차. 차자표기의 종류와 초기 이두 자료 3주차. 8세기~10세기의이두 자료 4주차. 13세기~14
    강좌제목한국의 문자 발명가와 표기의 역사 | 강의자장경준
  • 과 이두_차자표기의 탄생_1주차_5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기의 역사적 변화를 다루는 본 강좌는 한국학연구성과의해외 보급과해외 현지의 한국학 강좌 수요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1주차. 과 이두,차자표기의 탄생 2주차. 차자표기의 종류와 초기 이두 자료 3주차. 8세기~10세기의이두 자료 4주차. 13세기~14
    강좌제목한국의 문자 발명가와 표기의 역사 | 강의자장경준

기타자료(2)

  • (연재교양) 우리 교육 선각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연재교양) 우리 교육 선각자 (연재교양) 우리 교육 선각자 (연재교양) 우리 교육 선각자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론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선영 | 사료철명문교행정
  • 신라 문무왕이 薛仁貴에게 보낸 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軍摠管 薛仁貴가 보낸 글(서신)에 대한 문무왕의 답서이다. 强首가 작성한 글로, 答薛仁貴書, 答唐管仁貴書이다. 『동문선』 57, 答唐管仁貴書에는 무명씨로 나온다. 당나라의 행군총관인 설인귀는 당나라 고종의 칙명을 받들어 신라의 不忠과 背恩을 질책하고 신라를 치겠...
    대표표제어신라 문무왕이 薛仁貴에게 보낸 書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18)

  • / [종교·철학/불교]

    655(태종무열왕 2)∼? 신라 중대의 대학자. 할아버지는 담날, 아버지는 원효, 어머니는 요석공주이다. 육두품 출신인 듯하며, 관직은 한림에 이르렀다. ≪증보문헌비고≫에는 경주설씨의 시조로 기록되어 있다. 은 육경을 읽고 새기는 방법을 발명함으로써 한문을 국어

  • 답당관인귀서 / 答唐管仁貴書 [문학/한문학]

    671년(문무왕 11)에 지은 당나라의 행군총관(行軍摠管) 설인귀(薛仁貴)의 서신에 대한 작자 미상의 답서(答書). 『삼국사기』 신라본기 제7 문무왕조와 『동문선』 권 57에 실려 있다. 「답당관인귀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신라는 당나라의 은의를 입고 여

  • 역대유림초기 / 歷代儒林抄記 [정치·법제]

    이왕직(李王職) 인찰공책지에 필사한 문서. (), 최치원(崔致遠)부터 송명흠(宋明欽), 박성원(朴性源)에 이르는 유림의 계통을 작성한 것이다. 각 인물의 성명과 자와 호, 본관, 활동시기 등을 정리하였다.

  • 화왕계 / 花王戒 [문학/한문학]

    신라 때 ()이 지은 단편산문. 『동문선』 권52에는 우언적(寓言的)인 ‘풍왕서(諷王書)’라고 표기되어 있으나 원래는 『삼국사기』 열전에 을 다루면서 제목 없이 언급된 것이며, 후대의 사람들이 그것을 ‘화왕계’라 부른 것이다. 이야기의 발단은 신문왕이 무료

  • 구암집 / 苟庵集 [역사/근대사]

    言)이 수록되어 있다.속집으로 권1·2는 잡저 81편, 권3은 석림홀언(石林笏言), 권4는 천언(淺言), 권5∼7은 비언(匪言)이 실려 있다. 재속집으로 권1은 (), 권2∼6은 설증(說證), 권7·8은 , 부록으로 가장(家狀) 등이 실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