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선휘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
사전(4)
- 선휘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목종 이전에 근시제도(近侍制度)를 마련하면서 당ㆍ송의 관제를 본떠 선휘원(宣徽院)과 액정국을 따로 두었던 것을 문종 때 단일화하여 선휘원을 없애고 그 관원들을 합문과 액정국에 나누어 소속시켰으며, 이 과정에서 선휘사가 폐지되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왕후의 명령을...
- 인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종 때에 문반직으로 전환한 것을 뜻하고 있다. 남반은 근시직(近侍職)으로서 문종 때에 7품 한직(限職 : 일정한 직급 이상으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일)으로 격하되었지만, 본래는 문무반에 미치지는 못하였으나 상당한 지위를 누리고 있었다. 예컨대, 남반선휘사...
- 공장(供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공장 공장 供帳 선휘사(宣徽使), 장연수전(張延壽傳) 문화예술/정재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박태규 [정의] ① 행사를 위해 기물을 준비하고 장막을 치는 일. ② 연회...관련어선휘사(宣徽使), 장연수전(張延壽傳)
- 남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998년(목종 1)에 개정된 전시과의 제9과(종4품)에 선휘사(宣徽使), 제13과(종7품)에 내전숭반(內殿崇班) 등의 남반직명이 보인다. 『고려사』 형지 피마식(避馬式) 덕종 2년(1033)조에 선휘사‧인진사(引進使, 5품)‧각문통사사인(閣門通事舍人, 6품) 등의 명칭...이칭별칭내관|근시|횡반
고서·고문서(24)
- 금화황선생문집_金華黃先生文集24 續藁21 宣徽使太保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4249 중국 문집 금화황선생문집 005 기타 金華黃先生文集24 續藁21 宣徽使太保㝎國忠亮公神道苐二碑 至正八年夏四月九日臣溍承詔撰故宣徽使太保㝎國忠亮公神道碑銘公之嗣人歴官行事法當附見而其詳有不可勝書者冬十二月二十有五日翰林學士承旨臣拜拜臣岳柱復爲奏請而命臣...국가중국 | 서명금화황선생문집 | 왕대기타
- 요사_遼史51 志20 禮志4 賓儀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0598 중국 정사 요사 지 022 기타 遼史51 志20 禮志4 賓儀 高麗使入見儀 臣僚常服 起居 應上殿臣僚殿上序立 閤門奏牓子 引高麗使副面殿立 引上露臺拜跪 附奏起居訖 拜 起立 閤門傳宣王詢進奉 宣徽使殿上贊進奉赴庫 馬出 擔牀出畢 引使副退 面西...국가중국 | 서명요사 | 왕대기타
- 요사_遼史79 列傳9 耶律阿沒里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0607 중국 정사 요사 열전 004 기타 遼史79 列傳9 耶律阿沒里 統和初 皇太后稱制 與耶律斜軫參預國論 為都統 以征高麗功 遷北院宣徽使 加政事令 해당 기사의 耶律阿沒里는 耶律蒲寧, 耶律蒲隣, 耶律普寧 등의 이명을 가진 인물이다. 해당...국가중국 | 서명요사 | 왕대기타
- 요사_遼史88 列傳18 蕭排押 附 蕭恒德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0628 중국 정사 요사 열전 029 기타 遼史88 列傳18 蕭排押 附 蕭恒德 (蕭恒德) 從宣徽使耶律阿沒里征高麗 還 改北面林牙 해당 기사는 요 聖宗 統和 1년(983년) 다음에 있고, 해당 기사의 다음 다음 기사는 요 聖宗 統和 6...국가중국 | 서명요사 | 왕대기타
- 원사_元史44 本紀44 順帝7 至正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1922 중국 정사 원사 본기 521 공민왕(恭愍王) 4 1355 1 1 元史44 本紀44 順帝7 至正 十五年春正月戊午朔 以中書平章政事搠思監提調留守司 宣徽使黑厮為中書平章政事 河南行省左丞許有壬為集賢大學士 遼陽行省左丞奇伯顏不花陞本...국가중국 | 서명원사 | 왕대공민왕(恭愍王) 4
주제어사전(1)
-
선휘사 / 宣徽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전기의 남반 4품 관직. 정원 미상. 998년(목종 1)에 개정된 전시과에서 제9과에 포함되어 전지 60결과 시지 33결이 지급되었으므로 그 이전에 이미 설치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 기능도 분명하지 않다. 문종 관제나 1076년(문종 30)에 갱정된 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