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선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7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70)
사전(247)
- 기헌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배선회(裵善晦)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61년 배선회의 증손 배덕환(裵悳煥)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족증손(族曾孫) 배동환(裵東煥)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4권 2...
- 선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도화서의 종7품 관직. [내용] 잡직계로서 화원(畵員) 전문직이었다. 정원은 1인이다. 도화서의 화원직 중 선화(善畵)에 이은 차석 관직이었다. 도화서에는 모두 5개의 관직을 두고 20인의 화원이 배정되어 있었으므로, 5인...
- 동사구문사전 : 선회하다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 서울대학교]2661 선회하다 선회하다I 선회하다1 旋回-- 선회하여(선회해), 선회하니, 선회하고 일반동사 vi (사람이나 동물, 탈것 따위가) 어떤 장소의 주위를 돌다. (of a person, an animal, or a vehicle...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창섭 교수)
- 윤선회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조성의 제자로, 조무의 셋째딸 옥염과 혼인을 한다. 과거에 응시하여등과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중선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부터 조선 전기까지 당악정재(唐樂呈才)에 쓰인 반주음악. [내용] 「중선회」인자(引子)는 고려시대 및 조선 초기 성종 때 「연화대(蓮花臺)」의 반주음악으로 쓰였고,「중선회」는 성종 때 당악을 연주할 악공취재(樂工取才)의 한 시험곡...
고서·고문서(381)
- 조선회엽서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0471 P-SDK-00471-G-C-06-00 P-SDK-00471-G-C-06-00-1 P-SDK-00471-G-C-06-00-2 조선회엽서 朝鮮繪葉書 조선회엽서 제1집 봉투 있음. 6매 세트. 관제엽서 정치 홍보선전 근대 ...자료명조선회엽서 | 발행처朝鮮總督府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津海道盛宣懷調補卷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津海關道의 자리가 공석이 되기 전에 상주를 통해 인원을 선발하여 부족한 인원을 보충해야 한다는 내용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檔案館 | 발신일1892.07.
- 조선회엽서의 봉투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0465 P-SDK-00465-G-C-05-00 P-SDK-00465-G-C-05-00-1 P-SDK-00465-G-C-05-00-2 조선회엽서의 봉투 朝鮮繪葉書 조선회엽서 봉투 있음. 5매 세트. 관제엽서 정치 홍보선전 근대 ...자료명조선회엽서의 봉투 | 발행처朝鮮總督府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조선회엽서의 봉투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0478 P-SDK-00478-G-C-06-00 P-SDK-00478-G-C-06-00-1 P-SDK-00478-G-C-06-00-2 조선회엽서의 봉투 朝鮮繪葉書 교통망이 표시된 조선의 지도를 바탕으로 나룻배, 산, 향로를 인쇄한 봉투 조선회...자료명조선회엽서의 봉투 | 발행처朝鮮總督府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조선회엽서의 봉투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0485 P-SDK-00485-G-C-06-00 P-SDK-00485-G-C-06-00-1 P-SDK-00485-G-C-06-00-2 조선회엽서의 봉투 朝鮮繪葉書 교통방을 표시한 한반도의 지도에 나룻배, 산, 향로를 인쇄한 엽서 조선회엽서 ...자료명조선회엽서의 봉투 | 발행처朝鮮總督府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구술자료(1)
- 임신과 출산 육아 과정에서의 상처와 가족 사랑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한국 음식 중에는 생선회를 공통적으로 먹지 않는다. 모국에서 먹어보지 못한 날음식에 대한 낯섦 때문인데 익숙한 젓갈은 모두 좋아한다. 세 제보자는 음식에 관한 삼인삼색의 경험이 있다. 호티홍녀 제보자는 콩밥과 잡곡밥을 싫어해서 시어머니가 생일날에국가베트남, 필리핀 | 제보자호티홍녀(한수아) [베트남, 여, 1986년생, 결혼이주 11년차] 엔티터번(이연아) [베트남, 여, 1984년생, 결혼이주 11년차] 메리안 [필리핀, 여, 1970년생, 결혼이주 5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11)
- 1930~50년대 造船工業 정책과 造船會社의 경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배석만, 게재일 : 200548391 배석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부산대학교 2005 1930~50년대 造船工業 정책과 造船會社의 경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언어로의 선회’가 놓친 문자(Script)의 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770329 한국연구재단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17 ‘언어로의 선회’가 놓친 문자(Script)의 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17
- 대인 커뮤니케이션에서 거짓말 단서로의 시선회피 : 대화단계별 시선회피의 역할과 기능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대중, 게재일 : 201664912 김대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론학회 2016 대인 커뮤니케이션에서 거짓말 단서로의 시선회피 : 대화단계별 시선회피의 역할과 기능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유형논문 | 게재일2016
- 타력 향상이 근해운송선박의 선회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전희철, 게재일 : 201266009 전희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해양환경안전학회 2012 타력 향상이 근해운송선박의 선회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유형논문 | 게재일2012
- 한국어 아동들의 발화 오류에 대한 최적성 이론적 분석과 음운 지체/장애 치료에의 적용 가능성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선회, 게재일 : 201342839 김선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원언어학회 2013 한국어 아동들의 발화 오류에 대한 최적성 이론적 분석과 음운 지체/장애 치료에의 적용 가능성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317)
- 隨船回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졍치시찰 민형식씨가 외부로 뎐보하기를 본관이 시찰무를다 하엿슨즉 션편잇로 회국하다 엿다더라게재일1904년 11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保船會社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향일에 쟝원에셔 보션회샤를 셜시다가 즁지되얏더니 지금 보션회샤를 경무쳥 구관으로 셜시고 그 규측을 샹 쥬가야 각도로 훈령기를 이연을 연 각군에 신칙야 실시케라 얏다는 그회샤 셩질인즉 에실흔 물건에 세젼을밧고 표지를 쥬게되 슌검 몃명식을 에싯고...게재일1903년 1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爲選會頭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대한매일신보 爲選會頭 1908년 5월10일 서울 서울 상업회의소 임원이 혜천장에서 연회하여 조병택을 회두로 선임 http:...대표표제어爲選會頭 | 연월일1908년 5월10일 | 지역서울
- 郵船旋回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궁부 고문관 산도씨와 고희경씨와 강화병를싯고 졔쥬갓던 본국우션 죠쥬부호 즉시 졔쥬가셔 싯고갓던 인원들을 하륙 식히고 회뎡야 이 일에 목포것쳐 인항으로 왓 산도씨와 고영희씨 그 민요 형편을 시찰기 위야 아즉졔쥬잇다더라게재일1901년 6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保船會社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쟝원에셔 보션회샤를 연강에 셜시고 쟝졍을 마련야 하륙는 물건을 슈셰는지라 경무쳥에셔 각연강에 고시기를 보션회샤를 셜치은 젹을 금즙 방략이라 칙령을 봉승야 인허심을 쥰이니 연 각쳐쥬인과 션상들은 샤 쟝졍을 일쥰시라 엿더라게재일1902년 11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3)
- 송선회;宋善會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0569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62면 송선회;宋善會 제16회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엄선회;嚴宣會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년 3월 修業 예정) 엄선회;嚴宣會 (근무지 또는 현주소)자택;(본적)수원군 태장면 능리 782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택진;金澤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7632 남한 충남 강경공립상업학교 2-01 강경공립상업학교교우회지 제12호 1936―03―25 124면 김택진;金澤鎭 군산 大阪상선회사 대리점 제1회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강경공립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수권;金守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1432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同窓會名簿 1941―12―28 71면 김수권;金守權 부산부 대교통2정목 光本기선회사 제22회 1935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Minutes: UNC-UNKRA Joint Committee Meeting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A 가 큰 의지를 가지고 있음을 밝혔으나, 현 시점에서는 학교 운영을 위해 필요한 학생 수, 교육과정에 대한 정보 미비. UNKRA는 도쿄에서 열리는 상선회의를 통해 관련 문제에 대한 제언을 부탁한 바 있으며, 동시에 한국 정부는 UNKRA에 사업 집행을 촉구 중. ...국내소장처숙명여자대학교 글로벌거버넌스연구소 | 수신자M. Rollein
주제어사전(9)
-
선회 / 善繪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도화서의 종7품 관직. 잡직계로서 화원(畵員) 전문직이었다. 정원은 1인이다. 도화서의 화원직 중 선화(善畵)에 이은 차석 관직이었다.
-
관동무 / 關東舞 [예술·체육/무용]
려한 경치를 주제로 읊은 장편가사이다.1848년 (헌종 14)에 편찬된 『진찬의궤 進饌儀軌』에 의하면, 관동절(關東節)에는 8명의 무기가 이 가사를 노래부르며 진퇴선회(進退旋回)하면서 춤을 추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 자세한 무보(舞譜)는 현재까지 별로 알려진 바 없다.
-
회사 / 繪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도화서에 소속된 종9품 잡직. 정원은 2인이다. 도화서에는 선화(善畵)·선회(善繪)·화사(畵史) 등 다섯 자리의 체아직이 있다. 회사는 이 중 최하급관직이었다. 화원은 초기에는 20인, 후기에는 30인으로, 이들이 위의 다섯 자리의 관직에 3개월에 한 번씩
-
화원 / 畫員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예조 산하 관청인 도화서에서 그림 그리는 일에 종사한 잡직. 화원은 도화서에 소속한 그림 그리는 직업 화가이다. ≪경국대전≫에 따르면 도화서에 소속한 화원의 정원은 20인으로 규정하고 있다. 관직으로는 종6품직인 선화로부터 종7품직의 선회, 종8품직의 화사
-
기헌문집 / 岐軒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배선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1년에 간행한 시문집. 1961년 배선회의 증손 배덕환(裵悳煥)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족증손(族曾孫) 배동환(裵東煥)의 발문이 있다. 권1·2에 시 348수, 권3에 서(書) 46편, 잡저 8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