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선화”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40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351)
사전(18,633)
- 선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도화서의 종6품 관직. [내용] 잡직계로 화원(畵員) 전문직이었다. 정원은 1인이다. 도화서의 화원직으로서는 최고위직이었다. 조선시대 도화서의 화원은 모두 20인이 배정되어 있었으나, 그들을 위한 관직은 선화‧선회(善繪)...
- 선화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노승상 부부의 딸로, 자는 방경(芳卿)이다. 나이 열다섯에 용모가 빼어나며 사곡에 능하고, 자수도 잘 놓는다. 아버지 노승상이 돌아가시고 난 뒤, 노부인이 기생을 불러 가무를 즐길 때마다 배도와 함께 시를 짓는다. 하루는 배도가 주회와 만난 이야기를 하며 일찍 돌아가기...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宣花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1_D_0361 宣花 왕실 八揷, 宰樞, 宰相, 侍臣, 八枝春 高麗 李奎報 本集 D_20_07_09 대동운부군옥 20권 7장 9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7장 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宣和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4085 宣和 인물 服闋還任, 吏民, 以喪去位, 邑人, 上書 礪山縣 我太祖 名宦錄 D_17_05_05 대동운부군옥 17권 5장 5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5장 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宣和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1046 宣和 인물 寶城, 礪山 我太宗 D_05_01_88 대동운부군옥 5권 1장 88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1장 8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3)
- 한몽 전문용어 통번역 분류사전 [전문 용어 통번역 분류사전 | Ulaanbaatar University]저자 : 최기호, 강선화, 최보라, Т.Ганхуяг, Х.Сэлэнгэ, Ц.Энхцэцэг, ... | 출판사 : Ulaanbaatar University | 출판일 : 2015.01.분야사전 | 유형단행본일러두기 1) 경제‧경영 2) 법률 3) 역사 4) 문화 5) 의학 6) 정보‧통신 7) 정치‧행정
- 근대 동아시아인의 이산과 정착 [중국해양대학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이해영(중국해양대학), 김경호(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 김태웅(서울대학교 ... | 출판사 : 도서출판 경진 | 출판일 : 2010.12.30분야역사 | 유형단행본(4)일제 말기 '조선인특설부대'의 활동과 귀환 (5)上世紀五十年代中朝高端接触的主要目的和影響 제2부 재한 화교의 이주와 정착 (1)甲午戰爭前朝鮮華商初探 (2)일제하 조선 군산부 화교의
- 韓國學研究論文集(四)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저자 : ... | 출판사 : 中國文化大學華岡出版部 | 출판일 : 2015.12.유형단행본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李玮玮 ‧ 日本殖民時期朝鮮和臺灣辯士研究 - 金倫辰 ‧ 한국화교와 짜장면의 한국화 - 두언문
논문(1)
- 의사 몽유록 관점에서 본 주생전 연구-배도와 선화의 형상에 반영된 주생의 욕망- [유라시아 중앙 지역의 한국학 허브 구축을 위한 토대 마련 | ]저자 : 조홍윤 | 게재정보 : 한국고전연구
고서·고문서(1,283)
- 봉선화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8141 창가 김요섭 목사가 가르쳐 준 노래 모음 22149 봉선화 〈#22〉 〈a〉김형준〈/a〉 울 밑에선 봉선화야 네 모양이 처량하다 길고 긴 날 여름철에 아름답게 꽃 필 적에 어여쁘신 아가씨들 너를 반겨 놀았도다 어언 간에 여름 가고 가을 바...구분창가
- 鳳仙花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8275 창가 特選歌謠曲集 22159 1936년 洪蘭坡 硏樂會 洪蘭坡 柳錫基 壹圓 五拾錢 鳳仙花 〈mn〉오선보〈/mn〉 〈m〉andantino〈/m〉 〈a〉金亨俊〈/a〉 〈co〉洪蘭坡〈/co〉 〈e〉獨唱 或 二重唱 〈/e〉 〈...구분창가 | 편저자洪蘭坡
- 鳳仙花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9087 창가 世界童謠曲集 22174 1938년 鄭上祿 五線社 米國人 高彦 金夕原 四十錢 鳳仙花 〈m〉獨唱 又 二重唱〈/m〉 〈mn〉오선악보〈/mn〉 〈m〉AndanTino〈/m〉 〈a〉金亨俊 作歌〈/a〉 〈co〉洪永厚 作曲〈...구분창가 | 편저자鄭上祿
- 봉선화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봉선화 심 남자 알수없음 5 4 봉선화, 모습, 비바람, 어머님대표표제어봉선화 | 성씨심
- 飛仙花사랑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10881 신민요 T.3013―A, T.3013―B 1940년 태평 레코드 飛仙花사랑 〈a〉不死鳥〈/a〉 〈co〉霧笛人〈/co〉 〈s〉尹月路〈/s〉 〈#2〉 당신이 가신 뒤에 비선화수 낫슴니다 꼿구름 점은 한울 종소릴 헤여가며 머리 거 밧친구분신민요
구술자료(16)
- 선화공주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는 전라북도 지방무형문화재 제1호 익산 지게목발노래 보존회에 1985년에 입문하여 문화재 보유자인 박갑근 옹(2005년 작고)에게 사 사했다. 전수장학생을 거쳐 1994년에 전라북도지사로부터 전수자로 인정받아 이수증을 받았고, 이후 1998년 무렵까지 익산 지...조사일시2011. 8. 25(목) | 조사장소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 대선리 173-1 회선마을 제보자 자택 | 제보자이증수
- 왕희지와 선화(扇畵)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 : 엇, 엇떤 것에 대해서요.]"[제보자 : 왕희지.][조사자 : 왕희지요? 예.][제보자 : 왕희지. 그 저어 앞 뒤에가 나온 역사 아닝가.][조사자 : 예.]*조사일시1980-11-29 | 조사장소전라남도 함평군 나산이면 | 제보자이천구
- 봉선화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가 어렸을 때 친구들과 같이 놀면서 불렀던 노래가 있었느냐고 묻자, 제보자가 다음 노래가 생각났는지 부르기 시작했다. 노랫가락조로 불렀다.조사일시2009.01.18 | 조사장소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원평리 남계마을 | 제보자양채순(여,76세)
- 서동왕자와 선화공주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금마에서는 미륵사지가 유명한데 서동왕자이야기는 더 유명하다면서 구연을 하였다. 주변에서 장기를 두느라 소란하자, 어르신 한 분이 조용히 좀 하라고 하면서 이야기가 시작되었다.조사일시2011. 1. 11(화) | 조사장소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 고도길 65번지 (경로당) | 제보자소남영
- 선화공주와 미륵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가 집안에 무강왕과 관련되는 이야기가 전하느냐고 묻자, 있다고 하면서 이야기를 구연했다. 이야기 구연에 이어서, 한씨 성이 삼한시대 에 마한의 갑족으로써 왕족이었다는 얘기를 덧붙였다.조사일시2009. 1. 7(수) | 조사장소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도동리 245번지 중앙당한약방 | 제보자한희천
기초학문(47)
- 재일여성동인지 〈봉선화〉연구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최순애, 게재일 : 201764127 최순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일민족문제학회 2017 재일여성동인지 〈봉선화〉연구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유형논문 | 게재일2017
-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의 기명류(器皿類)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장남원, 게재일 : 201450716 장남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호서사학회 2014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의 기명류(器皿類)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재일여성동인지『봉선화(鳳仙花)』 연구 - 수록 내용의 주제별 분류 및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최순애, 게재일 : 201453852 최순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일민족문제학회 2014 재일여성동인지『봉선화(鳳仙花)』 연구 - 수록 내용의 주제별 분류 및 분석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유형논문 | 게재일2014
- ‘복선화음’ 개념의 역사적 변전 양상과 조선후기 〈복선화음가〉의 유행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하윤섭, 게재일 : 201554716 하윤섭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우리말글학회 2015 ‘복선화음’ 개념의 역사적 변전 양상과 조선후기 〈복선화음가〉의 유행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유형논문 | 게재일2015
- 김유영론 Ⅲ - 카프 복귀에서 「수선화」까지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현순영, 게재일 : 201561574 현순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민족어문학회 2015 김유영론 Ⅲ - 카프 복귀에서 「수선화」까지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272)
- 宣化無人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몃젼 관찰가 감만은 못여도 긔구범졀 먹음슈가 만다 들더니 시운이 변쳔인가 국에 진취인가 관찰부에 단여온이 탄식고 말 관찰 보려고 삼문을들어가셔 대쳥지 올나가되 인젹고요 쓸쓸야 응문지동업지라 명텹이나들이랴고 사을보려되 영향이업지라 슈...게재일1907년 1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水仙 (수선화)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작품명_원문水仙 | 게재일19290118 | 게재판석 | 게재면03 | 게재단4-5
- 禪畵のすすめ (선화의 추천)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기사명_원문禪畵のすすめ | 기사명_한글선화의 추천 | 게재일19210710 | 게재판무 | 게재면04 | 게재단5-8
- □仙畵伯近作 (□仙화백 근작)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작품명_원문□仙畵伯近作 | 게재일19181201 | 게재판조 | 게재면03 | 게재단6-7
- 宣化堂이化爲監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부산항거젼 시죵 김셩원씨 근일에 삼품대신이 나것을보고 관찰 일과를 도득각이나셔 운동비를경셩으로 환부치고 상경얏다가경무쳥에 피착야 현금감옥셔에하슈 얏다더라게재일1907년 6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96)
- 조선화;趙先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5618 북한 평남 義明學校學 3-09 義明學校學友會 會員名簿 n.r. 5면 1. 통상회원의 부(가나다순);4) 제4회졸업자(1916년도) 조선화;趙先和 진남포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義明學校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강선화;康善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4229 북한 평남 평양광성고등보통학교 3-01 光成 제8호 1934―02―20 156면 1. 제14회 졸업생명부 1934년 (가나다 순) 108명 (현 재학) 강선화;康善和 평양부 상수리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광성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강선화;姜善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2668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회원명부 1935―06―10 35면 강선화;姜善和 평남 강서군 甑山面 聚龍里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선화료참관기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선화료참관기 선화료참관기 仙花寮參觀記 교육 문헌 중등교육 학생생활 중등교육 학교운영 교육기회확대 학교시설설비...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최국경 | 사료철명문교월보
- 최선화;崔善嬅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3824 북한 평남 정의여자고등보통학교 3-10 正義 창간호 1934―03―08 139면 1. 동창회원록;5) 제5회 졸업생 1927년도 합계 38명 최선화;崔善嬅 평양부 대찰리 112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정의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5)
-
몽골의 차세대 한국학 교육, 연구, 협력 강화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 강선화 | International University Of Ulaanbaatar | 2022 | 국외 | 해외
-
전문 용어 통번역 분류사전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최기호 | Ulaanbaatar University | 2011 | 국외 | 해외
-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K학술 확산연구소사업 | 정승철 | 서울대학교 | 2021 | 국내 | 서울
-
한반도 문화예술 개념의 분단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성경 | 북한대학원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
한국 근대시기 한자자전(옥편)의 정본화와 DB 구축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하영삼 | 경성대학교 | 2014 | 국내 | 부산
주제어사전(45)
-
선화 / 善畵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도화서의 종6품 관직. 잡직계로 화원(畵員) 전문직이었다. 정원은 1인이다. 도화서의 화원직으로서는 최고위직이었다.
-
고선화진 / 古宣化鎭 [지리/인문지리]
령(蒙羅骨嶺)까지 영토를 확장하였고, 또 궁한촌(弓漢村)에 670칸의 성을 쌓고 길주(吉州)라 하였으며, 이 때 영주(英州)ㆍ선화(宣化) 등의 진을 두었다. 이듬해 다시 이곳에 방어사를 두었고 중성(中城)을 쌓았으며, 곧 이 땅을 여진에 돌려주었다. 한때 원나라의 쌍성
-
봉선화 / 鳳仙花 [예술·체육/연극]
이해조의 소설로서 무대화된 작품. <매일신보>에 연재되었던 이 작품은 1913년 5월 혁신단에 의해 무대에 올려져 대성황을 이루었다. 고부간의 음모와 시기, 질투로 인한 갈등을 언서고담식으로 그려 남을 해치고자 하면 도리어 나쁜 결과를 당하게 된다는 인과응보의 가정비극
-
봉선화가 / 鳳仙花歌 [문학/고전시가]
부인할 수 없다. 이와는 또 다른 작자 미상의 「봉선화가」와 「화가 花歌」 등 많은 꽃노래가 있는데, 이 노래는 이러한 계통의 가사 중 원형적 작품으로 주목된다.
-
수선화 / 水仙花 [과학/식물]
수선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인경(鱗莖)은 넓은 난형이며 흑색의 껍질에 싸여 있다. 잎은 선형으로 늦가을에 자라기 시작하며 길이 20∼40㎝, 너비 8∼20㎜로서 끝이 둔하고 녹백색이다. 꽂은 12∼3월에 피나 종자를 맺지 못하고 인경으로 번식한다. 원산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