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선함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
사전(9)
- 선함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1880년(고종 17) 12월 경외(京外)의 각종 선박을 제조하고 이를 총괄하는 업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에 산하 관서. [내용] 설립 당시 선함당상(船艦堂上)에는 심순택(沈舜澤)과 신정희(...
- 어학사(語學司)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統理機務衙門)의 산하에 두었다. 통리기무아문의 사무 분담을 위해 사대사(事大司) ∙ 교린사(交隣司) ∙ 군무사(軍務司) ∙ 변정사(邊政司) ∙ 통상사(通商司) ∙ 군물사(軍物司) ∙ 기계사(機械司) ∙ 선함사(船艦司) ∙ 기연사(譏沿司) ∙ 어학사(語學司) ∙ 전선...유형분류제도
- 전선사(典選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기계사(機械司), 선함사(船艦司), 기연사(譏沿司), 어학사(語學司), 이용사(理用司), 장내사(掌內司), 감공사(監工司), 농상사(農商司),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 내무부(內務府) 직제사(職制司), 의정부(議政府)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제국 조...상위어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 통리군국사무아문(統理軍國事務衙門), 개화정책(開化政策), 자강정책(自强政策) | 관련어사대사(事大司), 교린사(交隣司), 군무사(軍務司), 변정사(邊政司), 통상사(通商司), 군물사(軍物司), 기계사(機械司), 선함사(船艦司), 기연사(譏沿司), 어학사(語學司), 이용사(理用司), 장내사(掌內司), 감공사(監工司), 농상사(農商司),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 내무부(內務府) 직제사(職制司), 의정부(議政府)
- 이원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승지, 좌ㆍ우승지, 그리고 태안부사를 역임하였다. 1872년 전라우도수군절도사를 역임한 뒤 부사를 거쳐 1881년 초 조선조사일본시찰단(朝鮮朝士日本視察團)에 군계선함사차정참획관(軍械船艦事差定參劃官)으로 참가, 총포ㆍ선박 등 주로 육군조련(陸軍操鍊)...이칭별칭 중곡(中谷)
- 동경일기(東京日記)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거쳐 다시 서울에 도착한 같은 해 윤 7월 23일까지의 일기이다. 저자 송헌빈은 조사시찰단 파견 때 군계선함사차정참획관(軍械船艦事差定參劃官) 이원회(李元會)의 수행원으로 참가하여 주로 군사시설을 시찰하였다. 일본에 체류하는 동안 시찰한 사범학교 ‧ 박물관 ‧ 포대(砲...유형분류문헌
고서·고문서(11)
- 李太王實錄資料9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熹), 機械司와 軍物司와 船艦司는 당상 鄭範朝가, 典選司와 語學司는 당상 沈舜澤이 관할하라고 명한 내용으로 『李太王日省錄』(241)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5. 11. 02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11.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교동부(喬桐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例, 忽於民隱之罪, 爲先緘辭, 從重推考。 帥臣狀本, 更令廟堂, 拔例稟處, 而民情之頷顑, 觀於狀辭, 益可知之。 若不早施息肩之擧, 島氓何以全活? 初意欲待冬春, 發遣繡衣, 更思, 或有後時之歎。 入侍玉堂尹致性, 喬桐府御史差下, 巡察農形, 慰諭民人以來。” 仍召見致性, 飭諭而送之...출처전거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尹師國, 令該府照律勘處。 當該任譯等, 令新府使, 從重決棍。” 從之。 又啓言: “平安監司鄭尙淳, 莫重國穀, 有此虧欠, 至登繡啓。 請罷職。 兵使李漢昌, 繡啓中臚列諸罪, 不可不一番覈處。 令該府, 拿問定罪。” 從之。 仍敎曰: “道伯事, 則或不無襲謬, 姑先緘辭推考。” 上曰: “...출처전거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교동부(喬桐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罪, 爲先緘辭從重推考, 帥臣狀本, 更令廟堂, 援例稟處, 而民情之??, 觀於狀辭, 益可知之, 若不早施息肩之擧, 島氓何以全活? 初意欲待冬春, 發遣繡衣, 更思或有後時之歎, 入侍玉堂尹致性, 喬桐府御史差下, 巡察農形, 慰諭民人以來, 來當有?恤之政, 此意先爲下諭。 又命書榻敎曰,...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항사(都航司)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僚並稱其職則匪獨今時之致理足貽後代之可稱 宜其登庸列辟歷試群公勉務精選咸使僉諧自中及外具悉朕懷 遂以韓粲金行濤爲廣評侍中韓粲黔剛爲內奉令韓粲林明弼爲徇軍部令波珍粲林曦爲兵部令蘇判陳原爲倉部令韓粲閻萇爲義刑臺令韓粲歸評爲都航司令韓粲孫逈爲物藏省令蘇判秦勁爲內泉部令波珍粲秦靖爲珍閣省令是皆禀性端方處事平...출처전거高麗史1卷, 世家1, 太祖1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선함사 / 船艦司 [역사/근대사]
1880년 12월 각종 선박을 제조하고 이를 총괄하는 업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통리기무아문에 산하 관서. 설립 당시 선함당상에는 심순택과 신정희가 임명되었으며, 1881년 11월 통리기무아문의 기구개편과 더불어 폐지되었다.
-
이원회 / 李元會 [종교·철학/유학]
1827년(순조 27)∼미상. 조선 말기의 무관. 이기석의 아들이다. 무과출신으로 1864년(고종 1)부터 1868년까지 선전관·금위영천총, 승정원의 동부승지·좌부승지, 좌·우승지, 그리고 태안부사를 역임하였다. 1881년초 군계선함사차정참획관, 같은해 11월 군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