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선종영가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9)
사전(18)
- 선종영가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심경언해 心經諺解』 60건, 『석보상절 釋譜詳節』 20건, 『금강경오가해 金剛經五家解』(한문본) 50건, 『육경합부 六經合部』(한문본) 300건과 이 『선종영가집』 60건이다. 권말에 인경목활자(印經木活字)로 찍은 학조(學祖)의 인경발문이 붙어 있고, 함허...연계항목선종영가집((禪宗永嘉集))
- 선종영가집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64년(세조 10)에 간행한 당나라 영가대사(永嘉大師)의 ≪선종영가집≫을 언해한 책. [서지적 사항] 상하 2권. 세조가 친히 원문에 한글로 토를 달고, 신미(信眉)와 효령대군 등이 번역하여 간경도감에서 간행하였다. 책머리에...
- 선종영가집언해(禪宗永嘉集諺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선종영가집언해 선종영가집언해 禪宗永嘉集諺解 불교종교/국어 문헌 한국 조선 세조 성낙수 박종국 2014 세조(世祖), 신미(信眉), 효령대군(孝寧大君) 간경도감(刊經都監) 1464년(세조 10...
- 영가집(永嘉集)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은 것으로, 『선종영가집(禪宗永嘉集)』이라고도 한다. 1461년 4월에 쓰시마에서 온 사신(史臣)이 도주 소 시게요시(宗成職)의 어미가 죽은 일과, 불이 났던 일, 그리고 여러 섬의 굶주린 무리가 장사꾼으로 둔갑하여 도둑질하러 나오려는 것을 달랜 일 등을 전하였다....유형분류문헌
- 東國補遺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重編指頌事苑, 語錄, 偈頌雜著, 重編曹洞五位, 祖派圖, 大藏須知錄, 諸乘法數, 祖庭苑, 禪門拈頌事苑, 語錄, 語錄, 語錄, 三歌, 天地冥陽水陸齋儀纂要, 仔夔刪補文, 顯正論, 圓覺疏, 般若五家說誼, 釋苑詞林, 禪宗永嘉集 O_14_01_01 오주연문장전산고 14...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4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
- 문적략 [伊藤東涯의 三韓紀略 연구 | 고려대학교]起遣 除已欽依 差通事郭海隆 管送撰文人金若恒赴京 伏取聖裁 『의곡집』 1질. 이방직 이방직(?~1384). 고려 말기 문신. 자는 淸卿, 호는 義谷이다. 나옹의 제자 훤선이 1381년에 『禪宗永嘉集』을 開版하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 그의 문집으로 알려진 『의곡집』은 현...대표표제어문적략 | 편명_제목문적략
신문·잡지(20)
- 선종영가집과주설의(禪宗永嘉集科註說誼)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선종영가집과주설의(禪宗永嘉集科註說誼) 1 禪宗永嘉集科註說誼 선종영가집과주설의 형태서지 己和 說誼 朝鮮 韓國 木板本 蔚山 雲興寺 1684年(肅宗 10)刻...대표표제어선종영가집과주설의(禪宗永嘉集科註說誼) 1 | 대표서명禪宗永嘉集科註說誼 | 한글서명선종영가집과주설의 | 서지형태형태서지
- 선종영가집과주설의(禪宗永嘉集科註說誼)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선종영가집과주설의(禪宗永嘉集科註說誼) 2 禪宗永嘉集科註說誼 선종영가집과주설의 형태서지 己和 說誼 朝鮮 韓國 木板本 [發行地不明] [發行處不明] [壬亂以...대표표제어선종영가집과주설의(禪宗永嘉集科註說誼) 2 | 대표서명禪宗永嘉集科註說誼 | 한글서명선종영가집과주설의 | 서지형태형태서지
- 선종영가집과주설의(禪宗永嘉集科註說誼) 3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선종영가집과주설의(禪宗永嘉集科註說誼) 3 禪宗永嘉集科註說誼 선종영가집과주설의 형태서지 己和 說誼 朝鮮 韓國 木板本 恩津 雙溪寺 1572年(宣祖 5)刻 ...대표표제어선종영가집과주설의(禪宗永嘉集科註說誼) 3 | 대표서명禪宗永嘉集科註說誼 | 한글서명선종영가집과주설의 | 서지형태형태서지
- 선종영가집과주설의(禪宗永嘉集科註說誼) 4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선종영가집과주설의(禪宗永嘉集科註說誼) 4 禪宗永嘉集科註說誼 선종영가집과주설의 형태서지 己和 說誼 朝鮮 韓國 木板本 [陜川] [石水庵] [刊寫年未詳] ...대표표제어선종영가집과주설의(禪宗永嘉集科註說誼) 4 | 대표서명禪宗永嘉集科註說誼 | 한글서명선종영가집과주설의 | 서지형태형태서지
- 선종영가집과주설의(禪宗永嘉集科註說誼) 5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선종영가집과주설의(禪宗永嘉集科註說誼) 5 禪宗永嘉集科註說誼 선종영가집과주설의 형태서지 己和 說誼 朝鮮 韓國 木板本 報恩 福泉寺 1568年(宣祖 1) ...대표표제어선종영가집과주설의(禪宗永嘉集科註說誼) 5 | 대표서명禪宗永嘉集科註說誼 | 한글서명선종영가집과주설의 | 서지형태형태서지
주제어사전(2)
-
선종영가집 / 禪宗永嘉集 [언론·출판/출판]
당나라 영가현각(永嘉玄覺)이 찬술하였으며, 송나라 행정(行靖)이 주를 달고 정원(淨源)이 수정과문(修定科文)한 책. . 목판본, 상하 2권 1책이다. 범어사에는 1542년(중종 37) 간행본과 1525년(중종 20)에 만든 판본을 후대에 인쇄하여 펴낸 두 종류가 소장
-
선종영가집언해 / 禪宗永嘉集諺解 [언어/언어/문자]
1464년(세조 10)에 간행한 당나라 영가대사(永嘉大師)의 『선종영가집』을 언해한 책. 상하 2권. 세조가 친히 원문에 한글로 토를 달고, 신미(信眉)와 효령대군 등이 번역하여 간경도감에서 간행하였다. 책머리에 간경도감도제조인 황수신(黃守身)의 전문(箋文)과 도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