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선종” 에 대한 검색결과 3,13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93)

사전(1,08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의 대신. [내용] 관등은 이찬(伊飡)에 이르렀다. 722년(성덕왕 21) 정월에 중시 문림(文林)이 죽자 중시(中侍)가 되었다가 725년 4월에 천변지이(天變地異)의 책임을 지고 물러날 때까지 3년3개월간 재임하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049(문종 3)∼1094( 11). 고려 제13대 왕. [생애와 활동사항] 재위 1083∼1094. 이름은 운(運), 초명은 증(蒸) 또는 기(祈), 자는 계천(繼天). 아버지는 문종(文宗)이고 어머니는 인예순덕태후( 仁睿順德太后...
    이칭별칭 계천(繼天)| 사효(思孝)|운(運)|증(蒸)|기(祈)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발아와 생육을 위하여 좋은 종자를 고르는 일. [내용] 대체로 알맹이가 크고 무거우며 충실한 것을 좋은 종자라고 한다. 따라서 의 기준은 청결도, 발아율, 발아세(發芽勢), 성숙기의 중량, 체적, 건조도, 연령 등이 된다. 방법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참선수행으로 깨달음을 얻는 것을 중요시하는 불교의 한 종파. [내용] 조선 세종 때 모든 종파의 폐합에서 남은 두 종파 중의 하나이다. 1424년(세종 6) 예조의 지시에 따라 7종파를 ()과 교종(敎宗)의 두 종파로 폐합할 때...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인종황제가 죽자 즉위하여 임씨 집안과 정씨 집안 사람들의 벼슬을 높인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단행본(1)

  • 朝鮮王朝事大使行之硏究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
    저자 : 葉泉宏... | 출판사 : 上大聯合 | 출판일 : 2014.06.
    분야역사 | 유형단행본
    第二節 中韓朝代轉換期忠義精神之比較探討 第四章 淸藩關係的建構與交涉 第一節 藩館幽囚記(1637-1645) : 淸藩關係建立時的人質問題部析 第二節 康熙時期吳道一的事大使行(1686-1694)

고서·고문서(1,509)

  • 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辭典 인문학 불교학 선학 辭典 寶連閣 서울 1979 불교; ; [국회]디지털정보센터(의정관3층) [국회]R
    대표표제어禪宗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불교학 | 소분류선학
  • 25615 B025615 고암 孤菴 문화 京畿道邑誌 喬洞郡邑誌 喬洞郡 八景... 野羲農已上人 鑿井耕田皆帝力 舊邦千載命維新】, 鷹巖賞月【一年明月最今宵 碧落雲空雁影蕭 桂棹蘭槳思美曲 隔江還有倚歌簫】, 龍井探花【千紫萬紅一色深 遍山芳樹又輕陰 天機流動宜春服 沂水冠童點也心...
    출처전거京畿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구당서 권18 하 본기18하 _001 박남수 동국대학교(연구책임자 : 정병준 교수) 聖武獻文孝皇帝의 諱는 [李]忱이고, 憲宗의 13번째 아들이다. 어머니는 孝明皇后 鄭氏이다. 元和 5년(810) 6월 22일 大明宮에서 태어났다. 長慶 원년(821) 3월 光...
    권수구당서 권18 하 | 편명본기18하 | 대표표제어선종_001
  • 구당서 권18 하 본기18하 _002 박남수 동국대학교(연구책임자 : 정병준 교수) 會昌 6년(846) 3월 1일, 武宗의 병이 깊어져, 遺詔로 세워 皇太叔 權勾當軍國政事로 삼았다. 다음날 [무종의] 널 앞에서[柩前] 帝位에 올라, 지금의 이름[[李]忱]으로 고...
    권수구당서 권18 하 | 편명본기18하 | 대표표제어선종_002
  • 구당서 권18 하 본기18하 _003 박남수 동국대학교(연구책임자 : 정병준 교수) 大中 원년(847) 봄정월 戊戌 초하루 宮苑使가 “皇帝의 재계를 지내는 행사에는 궁내의 諸宮苑의 門 공히 94소 모든 자물쇠를 잠궈서 닫고 열쇠를 궁내에 올리게 하고, 車駕가 還...
    권수구당서 권18 하 | 편명본기18하 | 대표표제어선종_003

구술자료(3)

  • 04_297 충남 충청남도 천안시 충청남도 천안시_1.올러가세 2.얼카뎅이냐 1.올러가세 2.얼카뎅이냐 1.천안 송연리 논뜯는 소리 2.호미매기 소리 충청남도 천안시 동면 송연리 1987.4.7 素87-4-7②B 이(1909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녹음지역충청남도 천안시 동면 송연리 | 녹음날짜1987.4.7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류필립, 홍세호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 류필립과 홍세호는 평양고등보통학교 동창임 - 류필립은 평양신학에 입학 이후 월남함 - 월남 이후 주한미국대사관에 취직 - 이후 미국으로 이민 - 홍세호는 조합대학에 입학 이후 월남함 - 월남 이후 방제회사 창업 - 이후 미국으로 이민 - 미국으로 이민 뒤에
    구술자류필립, 홍세호 | 직업도서관 사서 및 관장/상공회의소 이사장 | 지역평안도
  • 님이 쿤 스님이가 대범종에서 부르는 소리가 됐어요. 됐어요. 그래서 “아 큰일 났어. 모두 모여, 이쪽으로 와.” 라고 했는데 꼬마 스님들이 가보면 그 대에서 원래는 불상이 한 대밖에 없는데 같은 모양이 않는 그 불상이 두 대 있었어요. 나란히 앉아 있, 앉아 있
    국가일본 | 제보자이케다 마유미 [일본, 여, 1967년생, 결혼이주 22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36)

  • 逸: 의 미학적 유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5
    68228 한국연구재단 한국유교학회/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5 逸: 의 미학적 유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中國과 無相禪師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동, 게재일 : 2005
    11438 김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불교연구원‧불교연구회 2005 中國과 無相禪師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高麗 朝 對宋外交와 貿易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진한, 게재일 : 2010
    57279 이진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010 高麗 朝 對宋外交와 貿易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초기 경전에 나타난 의 의미: 『잡아함경』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3
    68413 한국연구재단 한국볼교선리연구원 2013 초기 경전에 나타난 의 의미: 『잡아함경』의 사례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초기 기 선법의 조류와 능가선의 영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건주, 게재일 : 2006
    31592 박건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불교학회 2006 초기 기 선법의 조류와 능가선의 영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180)

  • 隗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본에 도국범을 탕쳑셔용자 의론이 분분다더니 소문을 들은즉 검릉위 박영효씨부터 탕쳑기로 작뎡이 되엿다며 그외 국범도 뎨간로 귀뎡이 된다더라
    게재일1906년 3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守(大成百貨店) 서울 守 大成百貨店 義州通 2-171 복장품 - 일본/서양식 잡화(和洋雜貨) 소매 16.2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
    대표표제어洗鍾守(大成百貨店) | 지역서울 | 품목복장품 | 영업종목일본/서양식 잡화(和洋雜貨)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藤田(藤田靴店) 전주 藤田 藤田靴店 大正町 2 - - 구두,가방 - 10 - 商工の全州: 全州府商工人名錄, 1938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藤田宣宗(藤田靴店) | 지역전주 | 품목- | 영업종목구두,가방 | 자료출처商工の全州: 全州府商工人名錄, 1938년
  • 수선가귀감(朝遂禪家龜鑑)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조수선가귀감(朝遂禪家龜鑑) 朝遂禪家龜鑑 조수선가귀감 유통서지 朝遂禪家龜鑑 1卷 禪籍志目錄 大日本佛敎全書 p.2...
    대표표제어조선종수선가귀감(朝鮮宗遂禪家龜鑑) | 대표서명朝鮮宗遂禪家龜鑑 | 한글서명조선종수선가귀감 | 서지형태유통서지
  • 영가집과주설의(永嘉集科註說誼)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영가집과주설의(永嘉集科註說誼) 1 永嘉集科註說誼 영가집과주설의 형태서지 己和 說誼 朝鮮 韓國 木板本 蔚山 雲興寺 1684年(肅宗 10)刻...
    대표표제어선종영가집과주설의(禪宗永嘉集科註說誼) 1 | 대표서명禪宗永嘉集科註說誼 | 한글서명선종영가집과주설의 | 서지형태형태서지

멀티미디어(212)

  • 의 전개와 한반도 전래_6주차_1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불교의 전체적 흐름과 특징을 강의 한다. 1주차. 불교의 중국 전래와 동아시아 2주차. 불교의 중국화-도교와 유교 3주차. 불전 한역과 한자문화권 4주차. 학파불교와 고구려·백제·신라 5주차. 법상종·화엄종과 통일신라 6주차. 의 전개와 한반도 전래 7주차. 송
    강좌제목중국불교ㆍ한국불교의 관계 | 강의자김영진
  • 의 전개와 한반도 전래_6주차_2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불교의 전체적 흐름과 특징을 강의 한다. 1주차. 불교의 중국 전래와 동아시아 2주차. 불교의 중국화-도교와 유교 3주차. 불전 한역과 한자문화권 4주차. 학파불교와 고구려·백제·신라 5주차. 법상종·화엄종과 통일신라 6주차. 의 전개와 한반도 전래 7주차. 송
    강좌제목중국불교ㆍ한국불교의 관계 | 강의자김영진
  • 의 전개와 한반도 전래_6주차_3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불교의 전체적 흐름과 특징을 강의 한다. 1주차. 불교의 중국 전래와 동아시아 2주차. 불교의 중국화-도교와 유교 3주차. 불전 한역과 한자문화권 4주차. 학파불교와 고구려·백제·신라 5주차. 법상종·화엄종과 통일신라 6주차. 의 전개와 한반도 전래 7주차. 송
    강좌제목중국불교ㆍ한국불교의 관계 | 강의자김영진
  • 의 전개와 한반도 전래_6주차_4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불교의 전체적 흐름과 특징을 강의 한다. 1주차. 불교의 중국 전래와 동아시아 2주차. 불교의 중국화-도교와 유교 3주차. 불전 한역과 한자문화권 4주차. 학파불교와 고구려·백제·신라 5주차. 법상종·화엄종과 통일신라 6주차. 의 전개와 한반도 전래 7주차. 송
    강좌제목중국불교ㆍ한국불교의 관계 | 강의자김영진
  • 의 전개와 한반도 전래_6주차_5차시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불교의 전체적 흐름과 특징을 강의 한다. 1주차. 불교의 중국 전래와 동아시아 2주차. 불교의 중국화-도교와 유교 3주차. 불전 한역과 한자문화권 4주차. 학파불교와 고구려·백제·신라 5주차. 법상종·화엄종과 통일신라 6주차. 의 전개와 한반도 전래 7주차. 송
    강좌제목중국불교ㆍ한국불교의 관계 | 강의자김영진

기타자료(72)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6671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慶雲 1942―12―03 78면 (학과)본과신제도 이;李 경성부 필운정 54 19회 1941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8655 일본 濱松 濱松高等工業學校 濱松高等工業學校一覽 昭和15年度 1940―09―20 95면 식;植 조선
    학교소재지역濱松 | 학교명濱松高等工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晋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7636 남한 전북 전주고등보통학교 2-41 졸업대장(1-22회) n.r. 68면 진;晋 전북 임실군 任實面 城街里 12 제15회(69명) 1938년 3월 4일
    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7833 남한 경기 인천상업학교 2-39 졸업대장(1916-1935) n.r. 4면 유;劉 전남 1회 1913년 3월 23일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인천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4664 일본 東京 東洋大學 東洋大學一覽 1937년도 1937―12―25 195면 이;李 제41기 1931년 3월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3)

  • 현행서방경

    한국 학술 번역사업 | 김수아 | 동명대학교 | 2015 | 국내 | 부산

  • 『석가여래행적송』의 영역

    한국 학술 번역사업 | Vermeersch, Sem | 서울대학교 | 2022 | 국내 | 서울

  • 붓다의 현존과 불국토: 고대 한국의 불교 지향과 사천왕 이미지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심영신 | 숭실대학교 | 2024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43)

  • / [종교·철학/불교]

    불교 종파의 하나. 달마대사가 중국에 전한 종지를 이어받아 중국에서 성립한 종파이다. 교외별전을 종의 기본 강령으로 삼고, 좌선을 통해 자기의 마음을 발견하여 삼매의 묘한 경지를 체득하는 것을 종요로 한다. 선의 원류는 인도에 있으나, 중국에 와서 하나의 불교 고유의

  • 의식 / 儀式 [종교·철학/불교]

    불교 에서 행하는 의식의 총칭. 의식은 의식행위가 따로 없고 생략행위 자체가 의식행위라는 특징을 지닌다. 그리하여 일반적으로 보면 에서는 의식행위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 기도형의식은 일상생활과 의식행위를 분리하여 생각하는 데 반하여, 의식은 별개의 의식

  • 영가집 / 永嘉集 [언론·출판/출판]

    당나라 영가현각(永嘉玄覺)이 찬술하였으며, 송나라 행정(行靖)이 주를 달고 정원(淨源)이 수정과문(修定科文)한 책. . 목판본, 상하 2권 1책이다. 범어사에는 1542년(중종 37) 간행본과 1525년(중종 20)에 만든 판본을 후대에 인쇄하여 펴낸 두 종류가 소장

  • 영가집언해 / 永嘉集諺解 [언어/언어/문자]

    1464년(세조 10)에 간행한 당나라 영가대사(永嘉大師)의 『영가집』을 언해한 책. 상하 2권. 세조가 친히 원문에 한글로 토를 달고, 신미(信眉)와 효령대군 등이 번역하여 간경도감에서 간행하였다. 책머리에 간경도감도제조인 황수신(黃守身)의 전문(箋文)과 도제

  • 교장도감 / 敎藏都監 [종교·철학/불교]

    고려시대 속장경의 판각사무를 관장하던 관서. 송나라에 다녀온 의천(義天)의 요청으로 이 1086년( 3) 흥왕사(興王寺)에 설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