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선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3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김제남
- 인빈김씨시호망단
- 인빈김씨궁호원호망단
- 인목왕후 어필 칠언시
연구성과물(21,257)
사전(10,181)
- 경창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04(선조 37)∼1654(효종 5). 조선 중기의 왕자. [개설] 이름은 주(?). 아버지는 선조(宣祖)이고, 어머니는 정빈홍씨(貞嬪洪氏)이다. [생애] 8세 때 봉군되었는데, 성품이 관대하고 후덕하여 선조가 특히 총...이칭별칭이주(李?)
- 정명공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03(선조 36)∼1685(숙종 11). 조선 중기의 공주. [개설] 선조의 첫째 딸로, 어머니는 영돈녕부사 연흥부원군(領敦寧府事延興府院君) 김제남(金悌男)의 딸 인목왕비(仁穆王妃)이다. [내용] 광해군이 즉위하여 영창...
- 선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52년(명종 7)∼1608년(선조 41). 조선 제14대 왕. [내용] 재위 1567∼1608. 본관은 전주(全州). 초명은 균(鈞), 뒤에 연(昖)으로 개명하였다. 1552년 11월 11일 한성(漢城) 인달방(仁達坊)에서 출생하였...
- 선조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몸조리 잘 하십시오. 戀承書問 憑知愆候 慮極 幸善調, 유근(柳根), 4-25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선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광해군의 아버지이다. 광해군의 유순하지 않은 성품을 좋지 않게 여겨 세자 책봉을 미룬다. 이후 인목대비에게서 낳은 영창대군이 임금이 되길 원했으나, 병들어 갑작스럽게 죽는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단행본(1)
- (한국간찰자료선집 15) 의정부 반남박씨 서계 박세당 후손가편 [기록문화유산의 보존관리시스템 구축사업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옥영정(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학부 교수), 정치영(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예술학부 교수), 김... | 출판사 : junggin I&D | 출판일 : 2010.02.23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1. 先蹟 2. 家藏遺墨(1) 3. 家藏遺墨(2) 4. 先祖遺筆 5. 先牘 6. 明翁簡帖 附錄
논문(5)
- 조선조연행사신眼中의 만족인 형상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서동일 | 게재정보 : 동강학간유형논문
- 试论朝鲜朝燕行使臣眼中的满族人形象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徐东日(延邊大學) | 게재정보 : 동강학간 , 게재일 : 2011.10조선조연행사신眼中의 만족인 형상 (서동일) 본 논문은 조선왕조 연행사신의 만족인식의 변화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만주족에 대한 관념이 철저하게 변하고 있음을 논의하고 있다. 특히 만주족에 대한 형상이 긍정적인 색채를 띠기 시작하였는데 주요하게 만족인의 건장함과 완강한 생...유형논문
- 朝鲜朝使臣赵宪对明代中国的想象与塑造 [융복합형 전문인력 양성: 중국 내 최고 수준의 한국학 선도대학 재건 프로젝트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양신 | 게재정보 : 东疆学刊유형논문
- 朝鲜朝后期济南王氏家族的皇朝遗民意识 [융복합형 전문인력 양성: 중국 내 최고 수준의 한국학 선도대학 재건 프로젝트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禹景燮 | 게재정보 : 东疆学刊유형논문
- 19세기 평창 단양우씨 가문의 선조 정려 청원 운동 연구 [강원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 (2단계) | 강원대학교]저자 : 김선우 | 게재정보 : 박물관지
고서·고문서(10,049)
- 先祖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初祖 HCFR_5:3:1 初祖, 冬至之所祭也, 高祖以下, 乃常祭者也. 惟自第二世至五世祖, 爲先祖, 世嫡之家, 皆得祭之, 非支孫所敢祭也. 若第二世以下有支子, 而其後過四世者, 卽以其支子以下爲先祖, 亦必其世嫡, 然後敢祭. 又其支子之第二世以下, 更有支子, 亦如古例. 故曰...서명가례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선조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선조 김 남자 전라남도 장성군 흑룡강성(黑龙江省) 가목사시(佳木斯市) 탕원현(汤原县) 6 3 선조, 몇대, 고향,...대표표제어선조 | 성씨김
- 선조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선조 김 여자 흑룡강성(黑龙江省) 하얼빈시(哈尔滨市) 오상현(五常县) 5 3 선조, 력사, 반영, 문제풀이, 풍속습관,대표표제어선조 | 성씨김
- 선조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선조 남 남자 길림성(吉林省) 류하현(柳河絃) 신발공사 녕풍대대 제2소대 4 2 선조, 문화생활, 위대, 예술재능, 전세...대표표제어선조 | 성씨남
- 선조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선조 서 남자 평안북도 박천군 길림성(吉林省) 류하현(林河絃) 영수촌 영수학교 2 1 선조, 고국땅, 기대, 희망...대표표제어선조 | 성씨서
구술자료(34)
- 선조 묘자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81-01-13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상동면 | 제보자김태일
- 조씨네 선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조가라 하니, 조가가 어떻다는둥 한는 이야기가 벌어졌다. 조사가가 고향을 밝힌 것이 실수라는 생각을 다시금 가지지 않을 수 없게 된 상황이다. 그런데 조가의 선조가 어떻다는 말이 나오고, 선조에 관한 설화도 들을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은 예기치 않던 성과...조사일시1980-06-08 | 조사장소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남석3동 | 제보자한필주
- 퇴계 선조의 무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성지 이야기 있으면 해달라고 청하자. ?구풍 이 얘기제? 그건 내가 한 번 하지?라고 하면서 자칭하여 시작했다. *조사일시1980-02-29 | 조사장소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대지1동 | 제보자신기수
- 악한 선조의 죄값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방안에 앉아 있는 청중들도 관심을 기울이고 흥미있게 듣자 곧 바로 이어서 시작하였다.*조사일시1984-09-16 | 조사장소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 | 제보자이답례
- 선조대왕 시절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설화 11 이 끝난 후 조사자가 하나 더 하라고 하자 생각해 보아야 한다면서 한참 동안 담배를 피우고 부채질을 하더니 기억이 난 듯 임진왜란 때의 이야기를 시작했다. *조사일시1982-08-07 | 조사장소전라북도 옥구군 대야면 | 제보자이창래
기초학문(113)
- 조선조 여성 제문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유경숙, 게재일 : 199607146 유경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충남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1996 조선조 여성 제문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유형논문 | 게재일1996
- 조선조 담보제도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우병창, 게재일 : 200200819 우병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비교사법학회 2002 조선조 담보제도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4f유형논문 | 게재일2002
- 朝鮮朝 儒學의 氣論 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용헌, 게재일 : 200015300 김용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철학연구회 2000 朝鮮朝 儒學의 氣論 硏究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유형논문 | 게재일2000
- 조선조 여성 제문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유경숙, 게재일 : 199514683 유경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충남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1995 조선조 여성 제문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유형논문 | 게재일1995
- 朝鮮朝 鄕樂呈才의 性理學的 談論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용, 게재일 : 201236392 김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상문화학회/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朝鮮朝 鄕樂呈才의 性理學的 談論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559)
- 日旋調兵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미국가 잇 일인여명이 포틀랜드에셔 이십오영리 밧가스우산곡즁에셔 복장과 군긔를 갓추고 조련다가 미국인에계 각되얏다더라게재일1907년 8월 29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繳還照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의졍부에셔 일젼에 관민간 상하의복에염여입게 라난건으로 부에죠회것을 도로 작환여다가 본월이십륙일로 위시야광무십년일월일일로일졔츈라난 귀졀을여발이고 다만본월이십륙일로 위시야 입으라고 다시죠회를얏난 그실인즉 일진회권고를인이라더라게재일1905년 10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 公廨推還照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강원관찰도 션화당을 일본슈비에셔 아셔 쥬졉후로 관찰 도 공즁 준소각에 거쳐야 졔반무에 대단시셜더니 일본슈비 다 쳘거고 일소 가량만 남아잇슨즉 그군 다른공로 이졉고 션화당은 환츄케라고 관찰가 루 졍부에보고야 일본령부와 교셥이 빈...게재일1907년 4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小川與作(客船組)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小川與作(客船組) 청진 小川與作 客船組 大和町 - - 운송업 - - - 淸津商工人名錄, 193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小川與作(客船組) | 지역청진 | 품목- | 영업종목운송업 | 자료출처淸津商工人名錄, 1932년
- -(合資會社朝鮮造船鐵工所)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合資會社朝鮮造船鐵工所) 인천 - 合資會社朝鮮造船鐵工所 內里 218 - 합자회사 선박기계류제작 - - -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대표표제어-(合資會社朝鮮造船鐵工所)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선박기계류제작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멀티미디어(128)
- 5주차. 조선조 노자 연구 개괄 6주차. 이이와 박세당 및 한원진의 도가사상 7주차. 서명응, 홍석주,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 8주차. 조선의 민간 도교 9주차. 한국도교 연구의 경향과 전망 그리고 북한의 도교연구 10주차. Understandingof Daoist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 5주차. 조선조 노자 연구 개괄 6주차. 이이와 박세당 및 한원진의 도가사상 7주차. 서명응, 홍석주,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 8주차. 조선의 민간 도교 9주차. 한국도교 연구의 경향과 전망 그리고 북한의 도교연구 10주차. Understandingof Daoist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 5주차. 조선조 노자 연구 개괄 6주차. 이이와 박세당 및 한원진의 도가사상 7주차. 서명응, 홍석주,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 8주차. 조선의 민간 도교 9주차. 한국도교 연구의 경향과 전망 그리고 북한의 도교연구 10주차. Understandingof Daoist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 5주차. 조선조 노자 연구 개괄 6주차. 이이와 박세당 및 한원진의 도가사상 7주차. 서명응, 홍석주,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 8주차. 조선의 민간 도교 9주차. 한국도교 연구의 경향과 전망 그리고 북한의 도교연구 10주차. Understandingof Daoist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 5주차. 조선조 노자 연구 개괄 6주차. 이이와 박세당 및 한원진의 도가사상 7주차. 서명응, 홍석주, 강화학파의 『노자』 연구 8주차. 조선의 민간 도교 9주차. 한국도교 연구의 경향과 전망 그리고 북한의 도교연구 10주차. Understandingof Daoist강좌제목한국 도교 | 강의자서희정 외
기타자료(187)
- 이선조;李善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970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10면 이선조;李善祚 제11회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신선조;申善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6409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校友 제1호 1926―04―30 148면 신선조;申善祚 1923년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신선조;申善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6808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19면 신선조;申善祚 제1회 1924년 3월 25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선조;金善窕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2144 남한 경성 이화여자전문학교 1-39 이화여자전문이화보육학교일람 1937 100면 1. 제7. 생도;1) 생도 성명, 원적 및 출신학교명;(1) 문과 예과 김선조;金善窕 (원적)평북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이화여자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선조;李善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0862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同窓會名簿 1941―12―28 31면 이선조;李善祚 제11회 1922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9)
-
호남문집 소재(所載) 일기 연구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김미선 | 전남대학교 | 2014 | 국내 | 광주
-
한국근대 민족종교문화 지식지도 DB구축(1860-1945)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박광수 | 원광대학교 | 2014 | 국내 | 전북
-
조선시대 능침사(陵寢寺) 연구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탁효정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
『한국예학용어사전(韓國禮學用語辭典)』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임종진 | 경북대학교 | 2014 | 국내 | 대구
-
한국 벼루의 수집과 연구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최병규 | 안동대학교 | 2013 | 국내 | 경북
주제어사전(1,054)
-
선조 / 宣祖 [역사/조선시대사]
1552년(명종 7)∼1608년(선조 41). 조선 제14대 왕. 중종의 손자, 덕흥대원군 초 셋째아들, 어머니는 정세호의 딸이다. 비는 박응순의 딸 의인왕후, 계비는 김제남의 딸 인목왕후이다. 명종의 사랑을 받았으며 성장하자 하성군에 봉해졌고, 1567년 명종이 후
-
선조영언 / 先祖永言 [문학/고전시가]
1680년(숙종 6) 허목(許穆)이 편찬한 그의 선조의 시가집. 필사본. 총 14장. 수록작품은 허목의 증조부 허자(許磁)의 시조 2수와 허목의 조부 허강(許橿)의 시조 7수, 「서호별곡(西湖別曲)」 1편, 「서호사(西湖詞)」 1편으로 되어 있다. 허자의 시조 2수는
-
선조행장 / 先朝行狀 [언어/언어/문자]
인조(仁祖)가 죽은 해인 1649년(인조 27)에 백헌(白軒) 이경석(李景奭)이 왕명을 받고 한문으로 지은 인조(仁祖)의 행장(行狀)을 17세기 중엽에 언해한 책. 이 책에는 인조의 출생부터 승하(昇遐)까지 인조가 남긴 행적이 시간 순서대로 기록되어 있다. 그 내용을
-
선조문순공유묵 / 先朝文純公遺墨 [언론·출판]
저자 이황(1501-1570). 필사본. 책의 구성은 1책 24장이다. 본 첩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3장까지는 1547년(명조 2) 윤9월 초하루에 동호 독서당 관원으로 제출한 <독서당 금윤구월삭제술>, 제4-10장은 1551년(명종 6) 1월에 지
-
정선조선가곡 / 精選朝鮮歌曲 [문학/고전시가]
경성신구서림에서 심송욱의 시조 380수를 수록하여 1914년에 간행한 시조집. 대부분의 시조집과 같이 곡조별(曲調別)로 구성되어 있으며, 목차는 우조(羽調)·계면조(界面調)·우평조(羽平調)·계평조(界平調)·작가씨명(作家氏名)이 있고 다음에 본문, 그 뒤에 작가의 약력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