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선전관청” 에 대한 검색결과 6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4)

사전(4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나타나지 않는 점으로 보아 아직 정식으로 관아를 이루지 못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뒤에 선전관이 정직(正職)으로 되면서 이 설치되었다. 그리하여 『속대전』에는 정3품 아문으로 올라 있고,『대전통편』에는 형명(形名 : 기나 북 등으로 군대의 행동을...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전명(傳命)을 맡았던 선전관이 소속되었던 관아.
    정의조선시대 전명(傳命)을 맡았던 선전관이 소속되었던 관아.[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Seonjeon Gwancheong | MR표기Sŏnjŏn Kwanch’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반(西班), 병조(兵曹), 군무아문(軍務衙門) 궁궐(宮闕) 숙위(宿衛), 내취(內吹) 우시어청(右侍御廳) 선전관(宣傳官), 가전훈도(駕前訓導), 서반승지(西班承旨), 체아직(遞兒職), 무승지(武承旨), 정삼품...
    상위어서반(西班), 병조(兵曹), 군무아문(軍務衙門) | 하위어궁궐(宮闕) 숙위(宿衛), 내취(內吹) | 동의어우시어청(右侍御廳) | 관련어선전관(宣傳官), 가전훈도(駕前訓導), 서반승지(西班承旨), 체아직(遞兒職), 무승지(武承旨), 정삼품(正三品) 아문(衙門), 겸선전관(兼宣傳官), 문신겸선전관(文臣兼宣傳官), 무신겸선전관(武臣兼宣傳官), 무겸청(武兼廳), 감생청(減省廳), 선청일기(宣廳日記)
  • 승전선전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에 소속된 관직. [내용] 무관으로 왕명을 전하는 일을 맡아보았다. 선전관의 기원은 고려 충렬왕 때 소식을 선전하고 전령(傳令)을 관장하도록 개설된 바 있고, 조선 초기 8인의 선전관을 두었다. 처음에는 궁정내...
  • 선전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록(受祿)하는 8인의 선전관이 규정되어 있을 뿐이다. 그 뒤 ()이 설치되고 선전관은 정직(正職)으로 되면서 20인 남짓한 원수를 유지하는데, 이들 전임(專任)의 선전관 이외에 문관과 무관이 겸직하는 겸선전관이 50인 남짓 있었다. 선전관은 근시(...

고서·고문서(20)

  • [1786]일기(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정종(正宗)년간 1786년(正宗 10, 丙午)부터 1800년(正宗 24, 丙午)까지 ()에서 작성한 관청일기이다. 은 조선시대 국왕의 시위(侍衛)를 비롯하여 형명(形名)과 계라(啓螺)를 전담하고 국...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02]일기(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일기는 1802(순조 2, 壬戌) 1월 1일에서 1833(순조 33, 癸巳) 9월 13일까지 ()에서 작성한 관청일기이다. 1929년에 이왕직(李王職)에서 원본을 등초(謄抄)한 복본(複本)이며, 장서각본 K2-3329~3332를 한 질(帙)로 보아야...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34]일기(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일기는 1834년(甲午) 9월에서 1848(己酉) 12월까지 헌종(憲宗)년간에 ()에서 작성한 관청일기이다. 제 1책부터 제 16책까지 총 16책 완질(完帙)이다. 1929년에 이왕직(李王職)에서 원본을 등사(謄寫)한 복본(複本)이며, 청구기호 K2...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50]일기(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일기는 철종(哲宗)년간인 1850년에서 1863년까지 ()에서 작성한 관청일기이다. 제 1책을 시작으로 제 14책이 마지막이며 그 중 제 8권이 결질(缺帙)로서 책 수는 13책이다. 본 일기는 1929년에 이왕직(李王職)에서 원본을 전사(轉寫)한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64]일기(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일기는 고종(高宗)년간인 1864년에서 1983년까지 ()에서 작성한 관청일기이다. 제 1책부터 제 33책까지 결질(缺帙)과 동일본을 포함하여 총 33책의 기록이다. 본 일기는 1929년에 이왕직(李王職)에서 원본을 등초(謄抄)한 복본(複本)으로서...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연구과제(1)

  • 조선후기 무관직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정해은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9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국왕의 명령을 전달하는 임무를 맡았던 선전관이 소속되었던 관서. 선전관이 정직으로 되면서 이 설치되었다. 그리하여 ≪속대전≫에는 정3품 아문으로 올라 있고, ≪대전통편≫에는 형명·계라·시위·전명 및 부신의 출납을 장악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 내취 / 內吹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에 소속된 악인. 국왕이 거둥할 때 또는 정전에 출좌할 때 시위한 행렬의 일원으로 군악대원에 해당한다. 원래는 에 속한 취고수만을 뜻하였으나, 뒤에는 다른 지방에서 선발되어 각 군문에 대령하고 있던 취고수도 내취라 하였다. 중앙의 악사들은

  • 군무아문 / 軍務衙門 [역사/근대사]

    갑오개혁 때 설치된 군사에 관한 일을 담당한 중앙행정부서. 군무아문은 그 이전의 병조와 연무공원, 총어영, 통위영, 장위영, 경리청, 호위, 훈련원, 군직청, 용호영, 기기국, , 수문장, 부장청 등의 관장업무를 포함하여, 전국 육해군정을 통할하는 부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