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선전관” 에 대한 검색결과 2,12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79)

사전(67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국왕의 명령을 전달하는 임무를 맡았던 이 소속되었던 관서. [내용] 당초 은『경국대전』 병전(兵典) 번차도목조(番次都目條)에는 단지 8인의 관원수와 체아(遞兒) 수록(受祿)이 규정되어 있을 뿐, 경관직조(京官職條)에는...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형명(形名)‧계라(啓螺)‧시위(侍衛)‧전명(傳命) 및 부신(符信)의 출납을 맡았던 관직. [내용] 1457년(세조 3) 어가(御駕) 앞에서 훈도(訓導)하는 임무를 맡은 무관을 이라고 일컫게 됨으로써 비로소 그 관직이 처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자)‧선전목관(宣箋目官 : 전문의 목록을 읽는 관원)과 함께 일을 보았다. 하례식 후반에 산호(山呼 : 만세 혹은 천세 삼창)가 끝나면 전전관 2인이 백관의 전문을 담은 전안(箋案)을 들고 들어와 국왕의 좌석 앞에 놓고 선전목관이 전목을 읽은 뒤, 이 서쪽...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조선 시대 선전 관청에 속한 무관. 전명(傳命)을 담당한 직책이다. 國葬都監郎廳以總護使意啓曰闕內待令郎廳以入直武臣兼輪回察任何如, (국장1834/011ㄴ07~08)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탕춘대 잔치에서 유록과 정몽세가 서로에게 호감을 가지고 있음을 알고, 중간에서 서로의 마음을 전달해 주어 인연을 맺게 해준다. 나중에청천강 근처인 박천군수가 되어 유록과 정몽세를 만나 회포를 푼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1,396)

  • [1786]청일기(廳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정종(正宗)년간 1786년(正宗 10, 丙午)부터 1800년(正宗 24, 丙午)까지 청(廳)에서 작성한 관청일기이다. 청은 조선시대 국왕의 시위(侍衛)를 비롯하여 형명(形名)과 계라(啓螺)를 전담하고 국...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02]청일기(廳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일기는 1802(순조 2, 壬戌) 1월 1일에서 1833(순조 33, 癸巳) 9월 13일까지 청(廳)에서 작성한 관청일기이다. 1929년에 이왕직(李王職)에서 원본을 등초(謄抄)한 복본(複本)이며, 장서각본 K2-3329~3332를 한 질(帙)로 보아야...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34]청일기(廳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일기는 1834년(甲午) 9월에서 1848(己酉) 12월까지 헌종(憲宗)년간에 청(廳)에서 작성한 관청일기이다. 제 1책부터 제 16책까지 총 16책 완질(完帙)이다. 1929년에 이왕직(李王職)에서 원본을 등사(謄寫)한 복본(複本)이며, 청구기호 K2...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50]청일기(廳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일기는 철종(哲宗)년간인 1850년에서 1863년까지 청(廳)에서 작성한 관청일기이다. 제 1책을 시작으로 제 14책이 마지막이며 그 중 제 8권이 결질(缺帙)로서 책 수는 13책이다. 본 일기는 1929년에 이왕직(李王職)에서 원본을 전사(轉寫)한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64]청일기(廳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일기는 고종(高宗)년간인 1864년에서 1983년까지 청(廳)에서 작성한 관청일기이다. 제 1책부터 제 33책까지 결질(缺帙)과 동일본을 포함하여 총 33책의 기록이다. 본 일기는 1929년에 이왕직(李王職)에서 원본을 등초(謄抄)한 복본(複本)으로서...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신문·잡지(10)

연구과제(1)

  • 조선후기 무관직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정해은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9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44)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형명·계라·시위·전명 및 부신의 출납을 맡았던 관직. 1457년(세조 3) 어가(御駕) 앞에서 훈도하는 임무를 맡은 무관을 이라고 일컫게 됨으로써 비로소 그 관직이 처음 생겼다. ≪경국대전≫에는 체아 수록하는 8인의 이 규정되어 있다.

  • 청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국왕의 명령을 전달하는 임무를 맡았던 이 소속되었던 관서. 이 정직으로 되면서 청이 설치되었다. 그리하여 ≪속대전≫에는 정3품 아문으로 올라 있고, ≪대전통편≫에는 형명·계라·시위·전명 및 부신의 출납을 장악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 선부수삼천 / 宣部守三薦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무관을 천거하던 제도. 무과에 급제한 사람을 문벌에 따라서 ·부장·수문장의 세 가지로 나누어서 추천하였다. 의 후보자를 추천하는 것을 선천, 부장을 추천하는 것을 부천, 수문장을 천거하는 것을 수천이라고 하였다. 또한, 과 부장의 후보자로

  • 이택 / 李澤 [종교·철학/유학]

    1651(효종 2)∼1719(숙종 45). 조선 후기의 무신. 아버지는 진백이다. 1676년(숙종 2) 무과에 급제, 을 거쳐 고산진첨절제사로 나갔다. 그 뒤 남구만·이상진 등과 교유하였는데, 이들의 추천으로 도총부경력이 되었다. , 훈련원정, 전라좌도수군

  • 내취 / 內吹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청에 소속된 악인. 국왕이 거둥할 때 또는 정전에 출좌할 때 시위한 행렬의 일원으로 군악대원에 해당한다. 원래는 청에 속한 취고수만을 뜻하였으나, 뒤에는 다른 지방에서 선발되어 각 군문에 대령하고 있던 취고수도 내취라 하였다. 중앙의 악사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