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선원보첩”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
사전(23)
- 종부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왕실의 계보인 선원보첩(璿源譜牒)의 편찬과 종실의 잘못을 규탄하는 임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던 관서. [내용] 왕실의 계보인 보첩을 관장하던 관서는 고려 목종 때 전중성(殿中省)으로부터 비롯되어 그 명칭의 변개가 심하였다....
- 종정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장(長) 1인(주임), 주사 2인을 두어 종실사무와 『선원보첩(璿源譜牒)』의 수정 등을 담당하게 하였다. 그 해 11월 10일에는 종정사(宗正司)를 장례원에서 분리하여 종정원으로 개칭하고 경(卿) 1인(칙임), 주사 4인을 두었다. 1905년 종부사(宗簿司)로...
- 선보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왕실 및 그 일족(一族)의 족보. 선원보첩(璿源譜牒), 선원보략(璿源譜略). 況今始祖之碑 旣無事行之流傳 而以積德餘蔭 子孫顯盛 甲於璿譜 若皆備述 以彰祖德 甚是着題, 이광사(李匡師), 7-194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종부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종부시(宗簿寺). 왕실의 계보인 선원보첩(璿源譜牒)을 편집 기록하고 종실(宗室)의 잘못을 조사.규탄하는 임무를 맡아보던 관청. 日前以■擬除宗簿正 亦覺感祝, 신좌모(申佐模), 43-138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겸낭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는 종친이 아닌 일반 관원으로 임용하였는데, 종친부에서 독자적으로 선발, 단망(單望 : 한 사람만 추천함.)으로 재가를 받아 임명하게 하였다. 그 직임은 『선원보첩(璿源譜牒)』을 편찬하는 등 실무책임을 담당하는 것이었다.
고서·고문서(4)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伏願殿下垂察焉。 臣無任兢惶隕越之至, 謹昧死以聞。 答曰, 省疏具悉。 所進璿源譜帖, 頗爲詳盡, 祖宗流派, 灼然易曉, 予甚嘉悅。 其中如有誤字落漏處, 改書刊出, 廣布宗班, 而一件則藏于江都, 以爲永久流傳之地。 仍傳曰, 今觀朗原君所進璿源譜帖, 頗爲詳盡, 其誠極爲可嘉, 特爲加資。...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伏願殿下垂察焉。 臣無任兢惶隕越之至, 謹昧死以聞。 答曰, 省疏具悉。 所進璿源譜帖, 頗爲詳盡, 祖宗流派, 灼然易曉, 予甚嘉悅。 其中如有誤字落漏處, 改書刊出, 廣布宗班, 而一件則藏于江都, 以爲永久流傳之地。 仍傳曰, 今觀朗原君所進璿源譜帖, 頗爲詳盡, 其誠極爲可嘉, 特爲加資。...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689년 김방걸(金邦杰) 고신(告身)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689년 5월 14일에 숙종이 김방걸을 통훈대부 종부시정 겸 춘추관편수관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이때에 와서야 김방걸은 비로소 당상관인 통정대부에 오를 수 있는 관직인 정에 임명된다. 종부시는 조선시대 왕실의 계보인 『선원보첩』의 편찬과 종실의 잘못을 규탄하는 임무를...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직품략 [伊藤東涯의 三韓紀略 연구 | 고려대학교]掌祭祀及議 都提調提調各一人 「」正「」「」副正[各一人]僉正「」判官「」主簿[各二人] 「」直長「」奉事「」副奉事「」參奉[各一人] 宗簿寺 掌撰錄璿源譜牒 紏察宗室愆違之任 都提 「」「」「」調[屬尊宗親]提調[各二人] 「」正「」僉正「」主簿「」直長[各一人] 校書館 掌印頒經籍及香祝印...대표표제어직품략 | 편명_제목직품략_이전관직
연구과제(1)
-
조선 후기 선원각의 제도와 운영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조계영 | 서울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3)
-
선원보첩 / 璿源譜牒 [언론·출판]
조선왕실의 족보. 선은 미옥의 뜻이요, 원은 수본을 뜻하여 왕실조계의 간첩을 의미한다. 태종조에는 왕실의 족보서 태조의 서형제를 분간하기 위하여 족보를 세 가지로 나누어 만들었다. 즉 왕실의 조계를 기술한 것을 선원록, 종자를 기술한 것을 종친록, 그리고 종녀 및 서얼
-
종정원 / 宗正院 [역사/근대사]
. 그러나 1895년 4월 2일 궁내부관제를 개정할 때 장례원 소속의 한 사로 하여 장 1인, 주사 2인을 두어 종실사무와 <선원보첩(璿源譜牒)>의 수정 등을 담당하게 하였다. 그 해 11월 10일에는 종정사를 장례원에서 분리하여 종정원으로 개칭하고 1인, 주사 4인을
-
종부시 / 宗簿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실계보인 선원보첩의 편찬과 종실의 잘못을 규탄하는 임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된 관서. 종부시는 1392년(태조 1) 태조의 관제신정 때 전중시로 출발하여, 1401년(태종 1)에 종부시로 개칭되었다. 1430년(세종 12)에 재내제군부가 종친부로 개칭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