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선원계보기략”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0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7)
사전(191)
- 선원계보기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선원계보기략≫은 책의 체재상 두 가지 계통이 있다. 첫째, 1679년(숙종 5)에 착수해 2년 뒤에 완성했던 1책(冊)의 원편(原編)을 대본으로 1700년 중간한 ≪선원기략속편 璿源紀略續篇≫의 계통이다. 이 계통은 대개 1779년(정조 3) 간(刊)까지...
-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선원계보기략 선원계보기략 璿源系譜紀略 문헌족보 한문 한국 조선 성낙수 박종국 2015 종정원(宗正院) 1897 1책(51장) 규장각, 장서각 등 [정...
- 선원속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종 연간에 간행된 조선왕실의 종합족보. [개설] 기존의 왕실족보인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에 뒤이어 작성했다는 의미에서 선원속보라 했다. [서지적 사항] 현존하는 선원속보는 대부분이 1900년과 1902년에 종정원에서
- 담양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선원계보기략(璿原系譜紀略)』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이칭별칭 회간(懷簡)
- 덕양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록(明宗實錄)』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이칭별칭 백고(伯高)|기(岐)
고서·고문서(105)
-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記略)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왕실 족보의 하나이다. 1679년(숙종 5) 처음 간행된 이후 새로운 왕이 즉위할 때마다 증보되었으며, 본서는 1908년(순종 1) 간행된 최종본으로 가장 많은 내용을 담고 있다. 책수는 26권 8책, 판본은 목판본이다. 체제는 「선원계보기략서(御製)」, 「선원계...내용분류사회-가족/친족-족보 | 형식분류고서-족보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가족/친족 | 형식분류고서-족보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가족/친족 | 형식분류고서-족보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가족/친족 | 형식분류고서-족보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가족/친족 | 형식분류고서-족보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기초학문(1)
- 영조대 〈선원계보기략〉의 수정과 목판간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071164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0 영조대 〈선원계보기략〉의 수정과 목판간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유형논문 | 게재일2010
연구과제(2)
-
조선후기 왕실서책의 형태와 보존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조계영 | 서울대학교 | 2014 | 국내 | 서울
-
조선 후기 선원각의 제도와 운영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조계영 | 서울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
-
선원계보기략 / 璿源系譜記略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전기류(傳記類) 종부시(宗簿寺) 편, 목판본, 1907년(융희 1), 26권 8책. 1907년에 중교보간된《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記略)》이다. 어제서미에 '규장지보(奎章之寶)' 주색 투인, 책의로 남대단(藍大段)을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