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선온”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0)
사전(74)
- 선온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돌아가신 어머니를 이르는 말.정의돌아가신 어머니를 이르는 말.[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seonon | MR표기sŏno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신선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47(인조 25)∼1676(숙종 2).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치량(稚良), 호는 애산(艾山). 염(?)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기한(起漢)이고, 아버지는 혼(混)이며, 어머니는 이조판서 정세규(鄭世規)...이칭별칭 치량(稚良)| 애산(艾山)
- 過飮宣醞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O5_D_0049 過飮宣醞 술 禮部, 貢擧, 宣醞 李奎報 本集 D_15_03_12 대동운부군옥 15권 3장 12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5권 3장 1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선온례(宣溫禮)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4342 제도 선온례(宣溫禮) 선온례 宣溫禮 선온(宣溫)을 전할 때에 행하는 의식. 선온은 임금이 신하에게 내려주는 술로,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나 신하의 노고를 치하할 때, 또는 상(喪)을 당한 신하를 위로할 때 내렸다. 경우에유형분류제도
- 근대신어 : 원로국(元老局)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6 博文局 1884 윤5 11 22 유의어 耆老所 기로소 命左承旨李坡齎宣醞, 往賜耆老所.(世祖實錄 11년 3월 3일) 좌승지(左承旨) 이파(李坡)에게 명하여 선온(宣醞)을 가지고 기로소(耆老所)에...출전漢城旬報[博文局] | 계통분류 [정치경제] 행정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67)
- 선온시춘계방어상진배시 상격 발기(宣醞時春桂坊御床進排時 賞格件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발기
- 人事門4_科宦士望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科宦士望 舊時科宦, 必由士望. 有所謂“草榜”, 相聚於端門, 以當世才思者, 書諸門石, 及榜出, 自壯元一等之類, 鮮有不合. 又有所謂“玉堂宣醞”、“西郊餞別”者, 玉堂宣醞者, 推士子之極望, 預斷近侍之任; 西郊餞別者, 自公卿以下品別, 列書其人, 後果多中. 余兒時猶及見之, 亦未...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감귤(柑橘)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603 B002603 감귤 柑橘 경제산업 中宗實錄 八年(1513) 十二月 중종실록_10812004_001 ○戊戌 / 賜宣醞及柑橘于承政院、弘文館。 又以酒, 分賜入直軍士, 以日寒也。출처전거中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8536 B008536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9年 10月 20日_007 曰, 事當依律, 而姑待三覆, 更議處之。 來善曰, 卒崇善君延諡時, 有賜樂宣醞之命, 幽明之榮感, 至矣, 而第念其家, 方在喪中, 賜樂宣醞, 是未免於吉凶之相雜, 其於朝家禮待近宗之道, 實爲...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6667 B016667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14年 4月 8日_006 ○安縝啓曰, 下番史官睦昌明, 以實錄考出事, 下去江華府。 史局重地, 不可以兼春秋替直, 而待敎申善溫, 疏批已下, 卽爲牌招, 使之入直, 何如? 傳曰, 允。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9)
- 德慶堂宣醖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에 황샹폐셔 덕경당에 뎐좌시고 기로소 입참 졔신을 령라 셔 어쥬로 잔셧고 진하를 밧으셧다더라게재일1902년 5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함남인민보_1948_0805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37 림상준 함흥시 중앙리 3구 36번지 함남인민보사 윤병룡 김동하, 리현숙, 손두종, 전인선, 리선온, 박관상, 주양재, 황충점, 고기운, 장근문, 김창하, 현창욱, 홍남술, 서태술, 맹봉수, 리순근, 강진복, 원정열, 윤익섭, 조순현, 김활, 김...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8_0805_03 | 책임주필림상준
- 조선급만주_1927_24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尾東邦 27 滿鐵の新職制改正批判 浦生大夢 32 問題になつた滿鐵の傍系會社 老虎灘漁史 35 朝鮮...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7
- 조선_1925_11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朝鮮溫泉めぐり 武井友次郞 105 騎牛子と息牧叟 學鷗漁史 123 朝鮮の牛に關する迷信傳說 12...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5
- 조선공론_1938_26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日本の二つの文化 エドガーライタ 23 朝鮮鰛漁業の現狀 梶川裕 24 公論春秋 29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8
주제어사전(4)
-
선온 / 宣醞 [정치·법제]
국왕이 신하에게 내려주는 술. 국가의 주요 임무나 행사를 마친 후 국왕이 수고한 신하를 위로하기 위해 내리는 술을 선온이라 하였다. 선온의 구체적인 의식은 <국조오례의> 「사신급외관수선로의」에 실려 있다. 한편 <국조속오례의>「친경후노주의」에는 친경 후 선온을 내려
-
선온의 / 宣醞儀 [정치·법제]
선온을 내려주는 절차. 선온의 구체적인 의식은 <국조오례의> 「사신급외관수선로의」에 실려 있다. <국조속오례의>「친경후노주의」에는 친경 후 선온을 내려주는 절차가 있다.
-
외선온 / 外宣醞 [정치·법제]
임금이 신하를 위로하거나 격려하기 위해 승지를 통해 내리는 술. 국가의 중요한 행사나 임무를 마친 신하에게 내린다. 선온을 내릴 때는 절육, 편육, 과실 등의 음식을 같이 보내었다. 선온은 이를 전하는 관리에 따라 내선온과 외선온으로 구별하였는데 내선온은 내시를 통
-
송병선가의대부고신 / 宋秉璿嘉義大夫告身 [정치·법제/법제·행정]
1886년 3월에 송병선을 가의대부로 임명하는 고신. 가의대부 관계는 당상관 종이품이다. 연호 왼쪽에는 고신의 발급사유가 "고종이 친림하여 춘계방 선온하실 때 시강원찬선으로 참여하여 가자받은 것"임을 기록한 것이다. 2품 이상의 문관에게 발급되는 관교, 국왕의 명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