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선암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4)
- 선암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90) 선암서원 경북 청도군 금천면 신지리에 있는 서원.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79호.연계항목선암서원(仙巖書院)
- 소요당일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文)‧권안운수정문(權安雲樹亭文)‧이봉선암서원문(移奉仙巖書院文)‧선암서원이건기(仙巖書院移建記)‧쌍청루기(雙淸樓記)‧소요당중건기(逍遙堂重建記)로 구성되어 있다. 『소요당일고』 부에는 박하담이 은거하여 있던 운문산을 노래한 「운문산부(雲門山賦)」와 운문산 아래에 있는...
- 예부운략(禮部韻略)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부(陰時夫)의 『운부군옥(韻部群玉』은 유연의 체제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나, 상성(上聲)의 ‘형(逈)’운과 ‘증(拯)’운을 하나로 합쳐, 106운으로 분류하였다. 유창균, 「선암서원장판 예부운략에 대하여」, 『한국학논집』 제7집,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청도군(경상북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287호), 송금리에 대적사극락전(보물 제836호), 금천면 박곡리에 청도박곡동석가여래좌상(보물 제203호) 등이 있다. 유교문화재로는 화양읍 교촌리의 청도향교(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07호), 금천면 신지리의 선암서원(仙巖書院,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79호),...
고서·고문서(2)
- 1840년 자계서원(紫溪書院) 통문(通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갖춘 사람이 아니었다. 그는 고려 말 조선 초기의 유명한 문신인 이원의 후손으로 청도지역에서 유사를 지냈다. 하지만 그는 선암서원에 자리한 운수정의 집터를 두고 송사를 벌이는가 하면, 그의 선조가 모셔진 서원에 다른 사람이 함께 모셔지려하자 멋대로 자기 선조의 위패를...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 송간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慰安文 14 高祖妣 谷城任氏의 묘지에 加土할 때 風雨로부터 보호하여 兆域이 무궁하기를 기원하는 내용이다. 仙巖祠宇移安告由文 14 청도군 매전면에 있는 운수정에서 선암의 선암서원으로 三足堂 金大有, 逍遙堂 朴河淡 두 선생의 위패를 선암서원으로 옮기고 난 후, 개칭한 선...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선암서원 / 仙巖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신지리에 있는 서원. 당초 1568년에 매전면(梅田面) 동산동(東山洞)운수정(雲樹亭)에 향현사(鄕賢祠)로 창건되었다가 1577년에 군수 황응규(黃應奎)가 현위치로 이건하고 서원으로 승격하고 개칭하였다. 1677년에 군수 서문중(徐文重)이 중창하였
-
소요당일고 / 逍遙堂逸稿 [문학/한문학]
숭경사상량문(崇敬祠上樑文)·쌍청루상량문(雙淸樓上樑文)·권안운수정문(權安雲樹亭文)·이봉선암서원문(移奉仙巖書院文)·선암서원이건기(仙巖書院移建記)·쌍청루기(雙淸樓記)·소요당중건기(逍遙堂重建記)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