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선시도감” 에 대한 검색결과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2)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諡號都監), 즉 을 설치하였고, 복위 때에 복위을 설치하였다. 그렇지만 일반 관리의 경우에는 봉상시(奉上寺)에서 주관하였다. 唐錠玉沙有處及容入之數問于玉匠則以爲曾前玉役時自戶曺錢二兩上不故貿得五合而用之是如爲臥乎所, (가례1718/263ㄱ03~05)...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주장(鑄匠)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주장(鑄匠)보다는 여러 장인과 분업적으로 작업하면서 물품을 만드는 주장(注匠)이 주로 활동했음을 알 수 있다. 18세기에 설행된 120곳의 도감 중 주장(鑄匠)은 12곳에 1∼2명만 동원되었다. 그중 1718년의 소현세자 강씨 복위에 동원된 내수사 소속...
    상위어경공장(京工匠), 공장(工匠), 관장(官匠), 사장(私匠), 외공장(外工匠), 장공인(匠工人), 장인(匠人) | 관련어주성장(鑄成匠), 주전장(鑄錢匠), 주철장(鑄鐵匠)

고서·고문서(2)

  • 민회빈복위의궤(愍懷嬪復位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의견을 수렴하여 추복하기로 결정하고, 복위(復位)을 설치하여 시호를 민회빈이라고 하고 그 신주(神主)를 소현궁(昭顯宮)에 함께 봉안하도록 하였다. 본 의궤는 세자빈의 복위 선시 의례를 전하는 유일한 기록으로, 숙종대 후반 정치사와 왕실 의례 연구에 중요한...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민회빈복위의궤(愍懷嬪復位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기로 결정하고, 복위(復位)을 설치하여 시호를 민회빈이라고 하고 그 신주(神主)를 소현궁(昭顯宮)에 함께 모시도록 하였다. 본 의궤는 복위 선시 절차의 전 과정이 기록되어 있으나, 이방의궤(二房儀軌)의 중간부터는 실려 있지 않아 일부 일실된 것으로 생각된...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기초학문(1)

  • 1718년(숙종 44) 昭顯世子嬪姜氏復位와《昭顯世子嬪姜氏[愍懷嬪]復位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정민, 게재일 : 2004
    01462 이정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4 1718년(숙종 44) 昭顯世子嬪姜氏復位와《昭顯世子嬪姜氏[愍懷嬪]復位儀軌》 https://www.krm.or.kr/krmts/
    유형논문 | 게재일2004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

    을 설치하였고, 복위 때에 복위을 설치하였다. 그렇지만 일반 관리의 경우에는 봉상시에서 주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