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선부수삼천” 에 대한 검색결과 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

사전(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무관을 천거하던 제도. [내용] 무과에 급제한 사람을 문벌에 따라서 선전관(宣傳官)‧부장(部將)‧수문장(守門將)의 세 가지로 나누어서 추천하였다. 선전관의 후보자를 추천하는 것을 선천(宣薦), 부장을 추천하는 것을 부천(...
  • 수문장(守門將)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수문장 수문장 守門將 궁성수문장(宮城守門將) 경관직(京官職), 무관(武官), 무장(武將) 수문군(守門軍) 왕궁수문장(王宮守門將) 부수천(部守薦), (), 수문군(守門軍), 수문장청(守門將廳), 수천(守薦), 운검차비(雲劒...
    상위어경관직(京官職), 무관(武官), 무장(武將) | 하위어수문군(守門軍) | 동의어왕궁수문장(王宮守門將) | 관련어부수천(部守薦), 선부수삼천(宣部守三薦), 수문군(守門軍), 수문장청(守門將廳), 수천(守薦), 운검차비(雲劒差備)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무관을 천거하던 제도. 무과에 급제한 사람을 문벌에 따라서 선전관·부장·수문장의 세 가지로 나누어서 추천하였다. 선전관의 후보자를 추천하는 것을 선천, 부장을 추천하는 것을 부천, 수문장을 천거하는 것을 수천이라고 하였다. 또한, 선전관과 부장의 후보자로 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