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선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96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사옹원
연구성과물(4,932)
사전(671)
- 船府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D_0182 船府 관직 舟楫之事, 舊制, 兵部, 別置 文武王 羅史 D_10_01_12 대동운부군옥 10권 1장 12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1장 1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선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신라시대의 관부. [내용] 선박‧항해관계의 업무를 관장하였다. 처음에는 병부(兵部)의 대감과 제감(弟監)이 선박관계의 업무를 담당하였으나 583년(진평왕 5)에 선부서(船府署)가 설치되면서 선부서의 대감‧제감이 그 업무를 맡게 되었다....이칭별칭선부서|이제부
- 선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있고, 차관으로 소경(少卿)이 1인 있었다. 그 밑에 구체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두 부서가 있었는데 그 명칭은 의부와 선부이다. 이때 의부가 중심 부서(正司)이며, 선부는 하위 부서(支司)였다. 각각 낭중(郎中) 1인과 원외랑(員外郎) 약간명을 두었다.
- 선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기능은 의조(儀曹)로 분리되었다. 그러나 1308년(충렬왕 34) 전조와 의조, 그리고 병조가 통합되어 선부로 되었다. 관원으로는 전서(典書) 1인, 의랑(儀郎) 3인, 직랑(直郎) 3인, 산랑(散郎) 3인, 주부(注簿) 2인을 두었다. 13...
- 선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사옹원(司饔院)의 종7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선(膳)은 선(善)과 통하며 미물(美物)을 진선(珍膳)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선부는 식관(食官), 즉 식사담당관의 우두머리를 의미한다. 문소전(文昭殿) 수라간의
단행본(1)
- 항일과 친일의 재일코리안운동 [재일코리안 100년사 -한민족으로서의 생활과 문화- | 청암대학교]저자 : 정혜경 ... | 출판사 : 도서출판 선인 | 출판일 : 20211231이 책은 ‘재일’의 형성에서 1945년 광복 이전 재일코리안의 일상을 통해 다양했던 재일코리안운동의 역사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일본은 한인들에게 비교적 열린 공간이었고, 다양한 사상과 조류가 결집하는 곳이기도 했다. 조선에서 엄두를 내지 못한 집회와 결사의 자유가 ...
고서·고문서(3,774)
- 선부(選賦)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두선부 묘지명 [국내외 출토 한국 고대 역사자료의 총집성과 통합 DB 구축 | 동국대학교]062두선부 묘지명두선부묘지명 개석(확장).jpg 두선부묘지명 지석(수정).jpg 두선부묘지명 지석(확장).jpg [1면] 大唐故豆府君墓誌銘 [2면] 大唐故忠武將軍攝右金吾衛郞將上柱國豆府君墓誌并序■■聞碣石岳峙滄溟殊隩雲雷振鼓間氣■和廪玆神靈克生賢智則我府君之謂也■君諱善...연대741 | 서체개석: 전서체 지석: ? | 소재지河南省 開封 박물관 | 자료문의동국대학교 윤선태 교수
- (嵩善副正)墓誌銘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十八 墓誌銘 21 (嵩善副正)墓誌銘 18_125_045.jpg (嵩善副正)墓誌銘 趙靜菴有畏友, 曰嵩善副正諱{氵+艹/聚} {氵+艹/聚}:초1‧초국2‧중규1‧중공2에는 “{氵+叢}”., 字淙之。 是光廟之孫, 而德源君曙之子也。 其曾孫培達, 從珥遊...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2 第二統統首朴璇復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67년_농서면(農西面) 1867년 농서면(農西面) 第十泉谷里 2 第二統統首朴璇復 第一戶 幼學朴璇復年肆拾柒辛巳本密陽父學生思雨祖學生性五曾祖學 生履燮外祖學生김坤本高靈妻崔氏年肆拾戊子本慶州父學生喆祖 學生尙峻曾祖學生砥浩外祖學生李運恒本淸安子時和年貳拾壹丁 未婦...연도_면이름1867년_농서면(農西面) | 면이름농서면(農西面) | 마을이름第十泉谷里
- 7 第七統統首金善富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95년_웅촌면(熊村面) 1795년 웅촌면(熊村面) 第十西倉里 7 第七統統首金善富 第一戶 主鎭軍金善富年伍拾肆壬戌本慶州父業武昌貴祖通政世光曾祖甚栽外祖金起弘本金海 妻朴姓年肆拾丙子本密陽父業武夢林祖枝永曾祖世伯外祖尹慶化本坡平率女召史年 陸庚戌等壬子戶口相准 ...연도_면이름1795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十西倉里
구술자료(40)
- 동동시선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첫 이야기는 짧았으나 입담은 좋았다. 상객 가서 실수한 이야기를 알고 있느냐고 물었더니“별 이야기를 다 알고 있다”고 하면서, 이야기를 하지 않으려고 했다.*조사일시1982-08-12 | 조사장소경상남도 김해군 상동면 | 제보자김순이
- 진주땅 강선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명 잣으며 삼 삼으며 부르던 노래다. 제보자의 친정인 성주읍 미미에서 어린 시절 어머니와 함께 일을 하며 부르고 익혔다.*조사일시1979-05-06 | 조사장소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운정2동 | 제보자배을영
- 구렁덩덩 시선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설화 1]이 끝나고 잠시 민요를 듣고 나서 조사자는 구성지다는 찬사와 함께 다시 옛날 얘기를 청했다. 준비한 과자를 대접하면서 구렁덩덩 시선부 얘기를 청했더니 아는 얘기인 듯 선뜻 응해 주었다. *조사일시1985-03-23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읍군 정우면 | 제보자송점순
- 구렁덩덩 시선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는 제보자에게 찾아온 목적을 설명하고 ‘구렁덩덩 시선부’얘기를 해 달라고 청했다. 제보자는 무엇에 쓰냐면서 사양하다가 거듭 청하자 얘기를 시작했다. 몸짓을 크게 하였으며 손에는 조사자가 권한 담배를 끼우고 있었다. *조사일시1985-03-30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읍군 신태인 | 제보자김학기
- 구렁덩덩 시선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의 기억을 돕기 위해 구렁이한테 시집간 세째딸 얘기를 해달라고 유도하자 아는 얘기를 왜 해달라고 하냐고 했다. 할머니의 얘기로 해달라고 하자 얘기를 시작했다. **조사일시1984-08-28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읍군 고부면 | 제보자시봉님
기초학문(3)
- 지방정부의 환경개선부문 지출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원일, 게재일 : 199912483 이원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지방자치학회 1999 지방정부의 환경개선부문 지출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유형논문 | 게재일1999
- 삼론종의 이원적 범주 연구-??大乘四論玄義記?? 제1권 「初章中假義」의 소밀(疏密), 횡수(橫竪), 단복(單複), 쌍척(雙隻), 통별(通別)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윤경, 게재일 : 201617395 조윤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불교학연구회 2016 삼론종의 이원적 범주 연구-??大乘四論玄義記?? 제1권 「初章中假義」의 소밀(疏密), 횡수(橫竪), 단복(單複), 쌍척(雙隻), 통별(通別)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유형논문 | 게재일2016
- 비농업인 환경개선비용 부담금의 이론적 기초― 공정원리를 근거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동일, 게재일 : 2016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64807&local_id=10073952 비농업인 환경개선부담금의 도덕적 기초: 공정원리를 근거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328)
- 還付本職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션원뎐 실화한 건으로 류 하엿든 봉시 리유태씨난 본즉을 환임하엿다더라게재일1901년 6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軍相單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로부임 일본군십삼단장강기즁장이 작일장츙단 부근에 연회를고 한일량국 고등관리를 일쳬쳥요얏 졍부각 대신즁에 군부대신 권즁현씨만왕참얏고 기외에 한셩부윤 박의병씨가 왕참얏다더라게재일1907년 5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印章還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부대신 임션쥰씨 부인쟝을 송농대집에 갓다 가두고 공를 쳐판더니 작일에 비로소 그인장을 부에 도로 보엿다더라게재일1907년 7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餘地還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군령부에셔황도봉산과 평안북도 텰산군에잇 당포뎡거장과 리화포 뎡거쟝 원뎡긔디외에가졈얏던디단은각소유쥬의게 환부라고로 부에셔각군에발훈야각뎐답쥬인에게져져 환부야 무폐경식케라 얏더라게재일1906년 8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永宗船覆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거월 삼십일에 인쳔 영죵도 나루에셔 풍랑이 대작야 나루가 복션되야 그에 올낫던 남녀 십명이 몰얏 부윤 김윤졍씨가 부에 휼금을 쳥얏다더라게재일1907년 10월 3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2)
- 18세기 중반 하국꽃[旋覆花]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891_18세기_중반_하국꽃[旋覆花] 경제_1891_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하국[旋覆花]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619_약재_15세기_중반_하국[旋覆花] 경제_67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기타자료(113)
- 김선부;金先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습과에 입학하여 졸업한 자 김선부;金先富 (현주소)경북 문경군 聞慶普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한선부;韓善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2225 남한 경성 이화여자전문학교 1-39 이화여자전문이화보육학교일람 1937 103면 1. 제7. 생도;1) 생도 성명, 원적 및 출신학교명;(5) 음악과 예과 한선부;韓善富 (원적)평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이화여자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유선부;柳善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2568 남한 경성 동덕여자고등보통학교 1-26 同德二十年 동덕여학교창립20주년기념축하회 1928―10―06 35면 1. 졸업생;2) 보통학교;(5) 제5회 77명 1928년 3월 유선부;柳善富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동덕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죽곡선부;竹谷善夫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6246 남한 경남 진주공립농업학교 2-48 진주공립농업학교 졸업대장 1회~32회 n.r. 96면 28. 제28회 졸업생(63명) 소화16년 12월 28일 죽곡선부;竹谷善夫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송촌선부;松村善夫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3299 일본 福岡 九州帝國大學 九州帝國大學一覽 1942년 1942―12―30 405면 송촌선부;松村善夫 조선 1941년 12월학교소재지역福岡 | 학교명九州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33)
-
선부 / 膳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사옹원의 잡직 종7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선(膳)은 선(善)과 통하며 미물(美物)을 진선(珍膳)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선부는 식관(食官), 즉 식사담당관의 우두머리를 의미한다. 문소전(文昭殿) 수라간의 반감(飯監)과 대전 다인방(多人房)의 반감이 임명
-
선부 / 選部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와 의조, 그리고 병조가 통합되어 선부로 되었다. 관원으로는 전서 1인, 의랑 3인, 직랑 3인, 산랑 3인, 주부 2인을 두었다. 1356년(공민왕 5) 공민왕의 관제개혁 때 문종 때의 관제로 복구되어 이부로 되었으나 1362년 전리사, 1369년 다시 선부로 되었
-
이선부 / 李善溥 [종교·철학/유학]
1646(인조 24)∼1721(경종 1). 조선 후기의 문신. 안인 증손, 할아버지는 잠, 아버지는 관하, 어머니는 이행원의 딸이다. 1673년(현종 14) 춘당대시에 병과로 급제하고 고창현감·지평·정언·헌납·사간·집의를 거쳐 1696년(숙종 22) 충청도관찰사와 경
-
구선복 / 具善復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무신(?∼1786). 1718년(숙종 44) 무과에 급제하여, 1748년(영조 24) 황해도수군절도사에 취임했으며, 충청도병마절도사·병조판서·의금부판사 등을 역임하였다. 정조의 조카 상계군을 지지하였다는 이유로 1786년에 조카 구명겸과 함께 처벌되었다
-
금불초 / 旋覆花 [과학/식물]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높이는 30∼60㎝로 근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한다. 잎은 어긋나고 긴타원형 또는 침상타원형이다. 꽃은 황색으로 7∼9월에 핀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꽃은 약으로 사용한다. 감기로 인하여 목에서 가래가 끓을 때 진해거담(鎭咳去痰)을